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기자 용매추출물과 구기자 매작과의 항산화 효과

        박복희(Bock-Hee Park),조희숙(Hee-Sook Cho),김동한(Dong-Ha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9

        구기자 용매추출물의 항산화력과 구기자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저장과정 중 항산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구기자 이용의 효율성 증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식용 대두유에 BHT와 α-Toc은 0.02% 첨가하였고, 구기자 용매 추출물 (MeOH, EtOH, EA, PE)은 0.05%씩 첨가하여 oven법으로 항산화효과를 살펴본 결과, 산가의 경우 대부분의 시료가 대조구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MeOH의 추출물은 뚜렷하게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비교되었다. 과산화물가는 저장 10일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그 후 25일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eOH 추출물은 가장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나 BHT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었고, TBA가는 구기자 용매추출물이 전반적으로 대조구와 α-Toc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 방법으로 구기자 용매추출물의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의 경우 253±0.02분, PE군은 256±0.18분, α-Toc군은 255±0.17분, EA군은 305±0.17분, BHT군은 309±0.05분, EtOH군은 316±0.01분, MeOH군은 320±0.05분의 순으로 나타나 BHT 첨가군보다 MeOH군과 EtOH군의 항산화효과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구기자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저장기간에 따른 산가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대조구보다 구기자 첨가군에서 더 낮았다. 과산화물가는 저장 30일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BA가는 구기자 3%, 6% 및 9% 첨가군은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 지방의 산화를 지연시켰으나 15%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높아 산가와 같이 산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Lycii fructus powder (LFP) solvent extracts and Maejakgwa made with LFP. The solvent extracts of LFP were added to soybean oil in the quantity of 0.05%. The solvents used were methanol, ethanol, ethyl acetate and petroleum ether. Soybean oil without the addition of LFP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Soybean oil with 0.02% butylated hydroxytolune (BHT) and α-tocopherol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s. Each sample was stored at 50℃ for 30 days. The oxidation level of these sample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The oxidation level of solvent extracts of 0.05% LFP was lower than both the negative control and α-tocopherol. Especially, methanol extract of 0.05% LFP was the lowest. The methanol extract (320 min) and ethanol extract (316 min) demonstrated longer induction periods, compared to the control (253 min), α- tocopherol (255 min) and BHT (309 min) by Rancimat method. Acid value of Maejakgwa was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time, but it was lower in Maejakgwa made with LFP than in the control group. Peroxide value was increased rapidly for 30 days and then decreased. TBA value was lower in Maejakgwa made with 3, 6, 9% LFP than in those made with 15% LFP and the control.

      • KCI등재

        가계 재정구조가 보험 과소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복희(Bokhee Park)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1

        본 연구는 가계의 소득대비 지출의 적정성 유지를 위해 위험대비지표인 보험료지출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보험 과소비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해 보험 과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보험 과소비 기준은 12%로 가처분소득과 월 보험료(저축성보험, 연금보험, 자동차보험 제외)를 활용한 위험대 비지표이다. 보험 과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인구통계 변수, 재정 변수, 생활패턴 변수, 보험 관련 변수인 19개 변수들을 고려하였다. 로지스틱회귀모형에 의해 선택된 보험 과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변수는 소득, 의료비, 보험 가입 건수이며 통제변수는 규칙적인 운동이다. 보험 과소비는 연소득 3천만원-5천만원 구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소득 5분위 중 3분위에 해당하는 중위소득으로 다수 가계의 보험 과소비를 확인하였다. 또한 의료비 지출이 많을수록 보험 과소비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의료비와 보험료의 이중지출로 저축 여력이 감소하면 가계 재정구조의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보험 가입 건수가 많을수록 보험 과소비는 더욱 높아지며 보험 한 건이 증가할 때 오즈는 1.06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통계적 변수들은 보험 과소비 모형에는 모두 포함하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위험대비지표에 근거한 적정한 보험료 지출은 건강한 가계 재정구조를 만드는 또 다른 리스크 관리이다. The study is designed to present the criteria for insurance premium spending, a risk-based indicator in order to check whether insurance is over-spending or not, and to maintain the appropriateness of household expenditure relative to income. The criterion for over-consumption of insurance presented in this study is 12%, which is a risk ratio index using disposable income and monthly insurance premiums excluding savings insurance, pension insurance, auto insurance. As factors that can affect insurance over-consumption, 19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financial, life pattern, and insurance were considered. The key variables that influence over-consumption of insurance selected by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are income, medical expenses, and the number of insurance subscriptions when regular exercise is used as a control variable. Insurance over-consumption was higher in the range of 30 million to 50 million won in annual income. In addition, the higher the medical expenditure, the higher the insurance over-consumption, so if the savings capacity decreases due to the double spending of medical expenses and insurance premiums, the financial structure of households may deteriorate. Appropriate premium spending based on risk ratio indicators is another risk management that creates a healthy household financial structure.

      • SCOPUSKCI등재

        연육용 무화과 잼 개발 연구 - 쇠고기 연화용 무화과 콘서브(Fig Conserves) 개발 연구 -

        박복희(Bock-Hee Park),박원기(Won-Ki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6

        무화과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인 ficin (EC 3.4.22.3)의 변성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연육용 무화과 콘서브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이의 효소활성도, 시제품 처리육의 관능검사 및 질소화합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무화과 콘서브 제조시 적절한 재료의 비율은 무화과, 설탕, 구연산 및 소르빈산칼륨이 각각 1,000, 600, 1.0 및 0.67이었다. ficin의 활성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콘서브의 재료를 55℃하에서 감압가열ㆍ농축함이 필요하였다. 관능검사한 결과에 의하면 쇠고기를 무화과로 재운 경우가 가장 연하였고, 그 다음이 55℃ 콘서브, 70℃ 콘서브, 설탕 및 대조구의 순이였으며, 이들 시료구간에 0.1%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연육효과를 보였다. 시제품 처리육의 결합조직 질소는 무화과, 55℃ 콘서브에서 적었으나, 이와 반대로 수용성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은 무화과, 55℃ 콘서브, 70℃ 콘서브, 설탕 및 대조구의 순으로 나타나 무화과의 ficin 활성이 높은 순서와 비슷하였는데 이는 ficin에 의해 근육의 구성 단백질이 분해되어 용해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 method for the process of making fig conserves to prevent the denaturation of ficin (EC 3.4.22.3) that is a proteolytic enzyme in fig (Ficus carica L.) has been developed. The suitable composition ratio of materials such as, fig, sugar, citric acid and potassium sorbate, to make fig conserves was 1,000, 600, 1.0 and 0.67g, respectively. To maintain the ficin activity, it was necessary that these materials were heated on 55℃ and concentrated in the reduced pressure. At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meat treated with fig was the softest among samples. Then the treated beef with 55℃ conserves, 70℃ conserves, sugar and control have been shown the decreased rate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ffect of tenderness between each groups (0.1%). The nitrogen content of connective tissue was relatively low in the groups of the treated beef with fig and 55℃ conserves. The content of soluble nitrogen and amino acid nitrogen decreased in order : the treated beef with fig, 55℃ conserves, 70℃ conserves, sugar and control, which was similar to the order of the ficin activity. This research revealed that the constituent protein of meat muscle was decomposed by ficin and its solubility was relatively higher than before.

      • KCI등재

        구기자 분말이 첨가된 유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효과

        박복희(Bock-Hee Park),양효현(Hyo-Hyun Yang),조희숙(Hee-Sook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6

        유과의 저장성 향상과 기능성 효과가 있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구기자 분말( Lycii fructuspowder)을 첨가한 유과를 제조하여 50℃에서 40일 동안 저장하면서 유과의 저장과정 중 항산화효과와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기자 첨가 유과 중 구기자 5% 첨가 유과의 밀도와 부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조군에 비해 구기자 첨가 유과의 퍼짐성과 수분함량이 더 많이 증가하였다. 색도에서 구기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L값은 낮게, a값과 b값은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감은 구기자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구기자 유과의 관능평가에서는 유과의 색, 맛, 풍미, 조직감에서 구기자 5% 첨가 유과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대조군이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저장 기간 중 구기자 유과의 산가를 살펴보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대조군보다 구기자 첨가군에서 훨씬 낮았으며 구기자 5% 첨가 유과에서 가장 낮은 산가를 나타냈다. 과산화물가는 저장 20일까지는 약간씩 증가하다가 그 후 30일까지는 급격히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과산화물가 역시 구기자 5% 첨가 유과에서 가장 낮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냈다. TBA가는 대조군에 비해 구기자 첨가군이 낮은 값을 나타내 지방의 산화를 지연시켰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구기자 분말을 유과에 첨가 제조 시 저장성 향상과 기능성 효과를 갖는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Yukwa prepared with Lycii fructuspowder (LFP). The Yukwaswere stored at 50oC for 40 days. Yukwadough prepared with 5% LFP demonstrated higher pH and density valu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d control. For color values, as more LFP was added, the L-value decreased, whereas the a-value and b-value increased. The hardness of Yukwamade with 7% LFP was the highest among all samples. The results of a sensory evaluation test showed that Yukwaswith 5% LFP was most preferable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to the others. The acid, peroxide,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s were lower in Yukwaprepared with 5% LFP compared to Yukwa prepared with 3% or 7% LFP, as well as control Yukwa.

      • SCOPUSKCI등재

        녹차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한 김부각의 산화안정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박복희(Bock-Hee Park),최희경(Hee-Kyung Choi),조희숙(Hee-Sook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3

        녹차 수용성 추출물을 첨가한 김부각을 제조하여 60℃의 항온기에서 40일간 저장하면서 김부각의 산화안정성 및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산가와 과산화물과는 저장기간 동안 FKBG-5% AGT군이 control이나 FKBG-10% AGT군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녹차 수용성 추출물로 만든 김부각을 튀겼을 때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C_(18:2)), oleic acid(C_(18:1)), palmitic acid(C_(16:0))의 순으로 많았다. Control은 녹차수용성 추출물을 첨가한 김부각에 비해 포화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불포화지방산 중 monoene의 함량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polyene의 함량은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Carotenoid와 chlorophyll a 모두 녹차 수용성 추출물이 첨가된 김부각이 대조군보다, 튀기지 않은 김부각이 튀긴 김부각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녹차 수용성 추출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chlorophyll a의 함량은 높았으나 carotenoid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에서 김특유의 냄새와 후미는 튀긴 부각과 튀기지 않는 부각 모두 5% 녹차 수용성 추출물 첨가군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튀긴 부각과 튀기지 않는 부각 모두 녹차 수용성 추출물로 만든 김부각이 control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xidative stability of kimbugak, a traditional Korean food, made of aqueous green tea (KBG-AGT). The kimbugak was stored at 60℃ for 40 day. When 5% AGT was added, the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were lower than both the control and the KBG-10% AGT. Fried KBG-AGT contained mostly linoleic acid (C_(18:2)), followed by oleic acid (C_(18:1)) and palmitic acid (C_(16:0)). The pro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 was higher in the control compared to both the 5% and the 10% KBG-AGT. Among the unsaturated fatty acids, monoenes only slightly decreased while polyenes greatly decreased in particular, in the control. The proportion of carotenoid and chlorophyll a was higher in KBG-AGT than both in the control and in the fried KBG-AGT. When the aqueous green tea content was increased, the content of chlorophyll a increased but that of the carotenoid did not change. The seaweed's original and after taste scored highest in the KBG-5% AGT. Overall, the KBG-AGT and the fried KBG-AGT were preferred more than the control.

      • KCI등재

        제3보험의 가입 요인: 간병보험을 중심으로

        박복희 ( Bok-hee Park ),전희주 ( Heuiju Chun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018 리스크 管理硏究 Vol.29 No.3

        고령사회 진입과 소득수준의 향상은 장기 생존 시 필요로 하는 노후 자금과 노후간병기에 대한 필요자금의 준비욕구를 증가 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장기간병보험 가입자 예측모형 적합을 통해 계약분석을 하였다. 간병보험 가입율은 31.3%로 가입자 1인당 약 1.4건의 계약을 보유하고 있으며 생명보험을 통해서 2배이상 더 많이 가입하고 있었다. 상품유형은 간병보험을 단독으로 보장하는 중점보장형태보다 특약부가 형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모형에 의한 분석 결과, 간병보험 가입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질병보험 보유이고 두 번째 요인이 상해(재해)보험의 보유이었다. 또한 월 납입보험료가 높은 고객일수록 간병보험 가입가능성이 높아져 간병보험 가입률에 영향을 주지만 연 의료비 지출액은 간병보험 가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험소비자의 생활 패턴으로는 규칙적인 운동을 할수록 간병보험 가입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 건강한 사람은 역선택이 아닌 순선택(advantageous selection)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인구통계학적 요인으로는 거주지, 연령, 세대주 유무 순으로 결정되었다. 거주지가 서울, 대구, 광주 지역일수록 세대주일수록 간병보험 가입가능성은 큰 현상을 보였다. 연령은 50대가 간병보험 가입 가능성이 가장 높고 60대 이상과 20대는 낮은 결과를 보였다. 50대의 7천만원~1억원의 소득을 가진 대도시에 거주하는 세대주 그룹을 간병보험 가입자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규칙적인 운동과 질병보험 가입으로 적극적으로 건강리스크를 관리하고 있다. The entry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income level are increasing the need to prepare the necessary funds for nursing the aged and the old age funds needed for long-term survival. In this study, the contract analysis is performed through the fitting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buyer forecasting model. The rate of nursing insurance coverage is 31.3%, with 1.4 contracts per person, more than twice as many as life insurance. The product type showed preference to the special supplement type rather than the guarantee type that guarantees the care insurance alon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participation in long-term care insurance is disease insurance and the second factor is injury (accident) insurance. In addition, the higher the monthly premiums,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joining long-term care insurance, which affects the rate of long-term care insurance coverage. As the life pattern of the insurance consumer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exercise regularly,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uy long-term care insurance. However, the annual medical expenditure did not affect the long-term care insurance coverage rate. In the life pattern of insurance consumers, the more regular exercis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nursing insurance coverage, and the healthy person shows the possibility of making an advantageous selection rather than the adverse selection. Demographic factors were determined by the residence, age, and householder. In Seoul, Daegu and Gwangju regions and case of householder, the possibility of joining long-term care insurance showed a big phenomenon. Age is likely to be in the 30s to 50s for long-term care insurance, but it is lower for those in their 60s and 20s. Householder, lives in a big city with an income of 70,000 and 100 million won in the 30s and 50s and monthly household expenditure premium of over 1 million won can be regarded as a characteristic of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contractor. They actively manage health risks through regular exercise and disease insurances.

      • SCOPUSKCI등재

        가열 및 저장조건에 따른 호박즙의 이화학적 성분변화

        박복희(Bock-Hee Park),김현아(Hyun-A Kim),박영희(Young-Hee Park),오봉윤(Bong-Yun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1

        전남지역 주부들을 대상으로 건강원에서 제조한 건강음료의 소비상황에 대해 선행조사한 결과 호박즙의 소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박즙에 대해 영양상 및 기호상 적합한 제조조건을 알아 보고자 늙은 호박을 3,4,5,6, 및 7시간 가압솥에서 가열ㆍ착즙하여 레토르트 파우치에 포장하고 4℃와 28℃에서 30일간 저장하여 호박즙의 성분변화를 관찰하였다. 호박과 호박즙의 주된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asparagine, aspartic acid, glutamine, arginine 및 serine이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3시간 가열한 호박즙을 제외한 4, 5, 6 및 7시간 가열한 호박즙의 경우 착즙당시, 4℃ 및 28℃의 저장순으로 높았다. 호박의 주된 구성지방산은 behenic acid, linolenic acid, eruc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heneicosanoic acid 순이었으나 호박을 3시간 이상 가열함에 따라 palmitic acid와 linolenic acid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4℃와 28℃ 저장조건에 따라서는 착즙당시의 호박즙에 비하여 behenic acid와 palmitic acid가 증가하여 포화지방산 함량이 약 2배로 증가하였다. 호박의 carotenoid는 호박즙으로 제조되면서 거의 파괴됨을 볼 수 있었고, 가열시간이 긴 호박즙일수록 carotenoid의 파괴율이 더 높았다. 금속이온의 함량은 K, Na, Ca, Mg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호박의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L, a 및 b값이 모두 낮게 나타났으나 호박즙을 4℃에서 보관하면 색도의 변화를 다소 줄일 수 있었다. 총 균수 검사에서 3시간 가열한 호박즙에서만 3~4CFU/ml의 균이 발견되었고, 28℃에서 보관시 1×10^9CFU/ml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포장과정시 미생물의 접촉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관능검사에 의하면 5시간 가열한 호박즙이 전체적인 기호도, 단맛 및 향긋한 냄새가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stewed pumpkin juice(SPJ) in terms of nutrition and taste. Well ripened pumpkin was heated for 3, 4, 5, 6 and 7 hours in a pressure cooker and then extracted and packed in retort pouches. These were kept at 4℃ and 28℃ for 30 days, respectively and changes of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SPJ were investigated.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of pumpkin and SPJ occupied asparagine, aspartic acid, glutamine, arginine and serine in increasing order of abundance. Except SPJ heated for 3 hours, SPJ stored at 28℃ had the most abundant free amino acids, followed by SPJ stored at 4℃, and SPJ not stor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umpkin occupied behenic acid, linolenic acid, eruc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heneicosanoic acid, in order of abundance. When SPJ was heated over 3 hours, palmitic acid and linolenic acid decreased greatly. SPJ stored at 4℃ and 28℃ increased contents of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behenic acid, palmitic acid than SPJ not stored. As SPJ was heated for a long time, carotenoid was mostly destroyed and the Hunter “L”, “a” and “b” values of SPJ decreased. Among the mineral constituents of SPJ, Na and Ca were dominantly occupied. It was found that the range of the total visible cell count was 3~4CFU/ml from the SPJ which was heated for 3 hours and it increased by 1×10^9CFU/ml when the SPJ was stored at 28℃. It seems that the contamination by microorganism have occurred at packing process. In sensory evaluation, the SPJ which was heated for 5 hours had the highest scores in overall preference, sweet smell and sweetness.

      • KCI등재

        저축성 보험과 보장 보험에서의 소비자의 채널 선호 분석: 구매의사결정과정을 중심으로

        박복희 ( Bok Hee Park ),전희주 ( Heuiju Chun ) 한국보험학회 2017 保險學會誌 Vol.109 No.-

        본 연구의 목적은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의 단계별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하위 요소들을 파악하여 마케팅전략을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툴은 Engel et. al. (1986)의 EBM 모델을 기반으로 본 연구자가 제시하는 모형을 사용하였다. 보 장성보험과 저축성보험의 보험 상품 구매의사결정과정의 단계별 선호채널과 그 이 유는 무엇인지 카이제곱검정과 대응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각 단계 내에서는 저 축성보험과 보장성보험간의 선호채널의 차이는 없으나 단계별 선호채널이 달라지 는 것을 볼 수 있다. 저축성보험과 보장성보험 모두 정보탐색과 대안평가 단계에 서는 인터넷채널이 구매단계에서는 설계사채널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채널선호 이유는 저축성보험과 보장성보험 모두 동일하게 접근성과 편리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계사의 영향력에 의하여 의사결정과정이 생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매 후 평가단계에서 저축성보험과 보장성보험 간에 만족과 불만족에 대한 의사표현 경로는 차이가 없으나 의사표현을 함에 있어서 만족보다는 불만족인 경우에 더 적 극적임을 알 수 있다. 만족 시 의사표현은 가족 · 지인, 보험설계사 경로를 이용하 고 불만족 시 의사표현은 콜센터,보험설계사 경로를 이용한다. 대응분석결과 보장 성보험은 불만족에 저축성보험은 만족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arketing strategy that functions as a step-by-step decision-making process on the purchase of insurance consumers` search for sub-components. The analysis tools used the model presented by researcher based on the EBM model of Engel et al. (1986). At the step-by-step decision-making process for purchase as to coverage insurance and saving insurance, this research identifies favorite channels and their reasons by using statistical chi-square tests and correspondence analyses. There is no difference in preference channels between saving insurance and coverage insurance but preference channels are differently chosen in each step-by-step decision-making process. At the information collecting and the alternative assessment stage internet channel is most preferred, while at the buying stage insurance planner channel is most preferred. The reasons of channel preference ar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t saving and coverage insurance. Also, it is confirmed that some of the step-by-step decision-making processes for purchase are omitted by the insurance planner`s influence. At the stage of post-purchase evaluation, there is no difference in channels to expres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between saving and coverage insurance, but there exists difference in channels to express dissatisfaction than satisfaction. The channels such as family acquaintance or insurance planner are used to express insurance customers` satisfaction, while the channels such as call-center or supervisory agency are used to express their dissatisfaction. As the result of correspondence analysis, coverage insurance is close to dissatisfaction while saving insurance is very close to satisfac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연잎 분말 첨가가 국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복희 ( Bock Hee Park ),전은례 ( Eun Raye Jeon ),김성두 ( Sung Doo Kim ),조희숙 ( Hee Sook Cho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0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5 No.2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whe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otus leaf powder (LLP) were added to the wheat flour, thereby determining which noodle recipe was preferred. The cooking quality, mechanical texture properties, and viscosity were measured, and then a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the prepared noodles. The gelatinization points of the composite LLP-wheat flours were shown to have an increased, viscosity at 95˚C after 15 minutes. As measured via amylograph, the maximum viscosity values of those samples were decreased as the LLP content was increased. As well, when increased amounts of LLP were added, both the L and a values were reduced, whereas the b value was increased. The color values, weight and volume of the cooked noodle increased, as did the turbidity of the soup. With regard to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LLP additive increased hardness and cohesiveness, and reduced adhesiveness and springiness. Over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sensory evaluation, the noodles prepared with 5% LLP were preferred over the other nood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