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범발성 홍반성 낭창과 임신

        김경태(KT Kim),박병호(BH Park),전정일(CI Chun) 대한산부인과학회 197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8 No.3

        저자들은 가톨릭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 임상적, 이학적 소견이 전신성 홍반성 낭창과 일치하고 전형적인 L.E 세포가 발견된 34세의 다산부에서 2회의 임신을 관찰할 수 있었다. Although disseminated lupus erythematosus is a relatively uncommon disease , it has a predilection for young women during the childbearing age, and the association of lupu pregnancy should not be overlooked. The following case is noe in which pregnancy was complicated by S.L.E this 35 year old multiparous women (2-0-1-2), in amenorrhea 36 weeks,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complications of occipital headache, severe generalized edema and butterfly rash for 5 year she delivered her first baby at home without specific complications 7 years ago, second baby at our hospital with mild S.L.E manifestations 3 years ago, and third baby with pronounced S.L.E manifestations. Typical L.E cells were found in peripheral blood smear of mother, but not of fetus. During admission she was treated with diuretics, antihypertensive drugs and prednisolone, but no improvement was found until puerperal period. NOw she revealed good condition but sustained hypertension and microscopic hematuria.

      • KCI등재

        절박유산 환자에서 hCG의 외부투여가 내인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값에 미치는 영향

        강병철(BC Kang),박병호(BH Park),김기원(KW Kim),이진우(JW Lee),김창이(CY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11

        1. 임신 제 6-10주의 고위험 절박유산 20예중 정상임신으로 이행한 12예에 있어서의 혈정 estradiol-17B의 hCG투여전 기초수준은 1143.3±455.67 pg/ml이었으며 최초의 hCG 5000 I.U 투여후 1시간에 1996.2±724.01 pg/ml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기초수준의 187.1±61.84%에 해 당하였다. 2. 이들 12예에 있어서 최초의 hCG투여후 제 5 및 제10일의 혈중 estradiol-17B는 각각 1440.3±571.22 pg/ml 및 1793.0±512.6pg/ml로 증가하여 각각 기초수준의 132.9±41.22% 및 172.9±57.63%에 해당하였다. 3. 이들 12예에 있어서 혈중 progesterone의 hCG투여전 기초수준은 38.9+-20.58 ng/ml이었으 며 최초의 hCG투여후 1, 2 및 3시간에는 유의한 증가를 볼 수 없었다. 4. 이들 12예에 있어서 최초의 hCG투여후 제 5일 및 제 10일의 혈중 progesterone은 각각 49.0±17.31 ng/ml 및 61.6±20.31 ng/ml로 증가하여 각각 기초수준의 142.5±44.63% 및 182.5±68.08%에 해당하였다. 5. 임신 제 11-15 및 16-20주에 잇어서는 임신주수가 증가하고 투여전 기초수준이 높아질수 록 최초의 hCG투여후 1,2 및 3시간과 제 5, 제 10일의 혈정 estradiol-17B 및 progesterone 의 증가폭은 점점 감소하여 통계적 의의를 상실하였다. 이상의 관찰로 보아 절박유산환자에서 투여한 hCG에 대하여 estrogen은 민감한 반응을 즉 시 보이나 progesterone은 서서히 반응하여 이는 주로 초기 임신에서 더 현저하고 임신주수 가 증가할수록 미약한 반응을 나타냄을 측정할 수 있었다. 1. Serum estradiol-17B responsed immediatly to the administered hCG ; basal value of 1143±455.67 pg/ml increased to 1996.2±724.01 pg/ml corresponding to 187.1±61.84% of basal level 1 hour after first administraion of hCG in the group of 6-10 weeks gestation 2. The level of serum estradiol-17B on the 5 and 10 days after first administraion increased from the basal level to 1440.3±571.22 pg/ml and 1793.0+-512.6 pg/ml corresponding to 132.9±41.22% and 172.9±57.63% of basal value respectively. 3. Serum progesterone did not revealed such as early response 1 hour after administration of hCG as estradiol-17B and no significant increase was noted even 3 hours after the first administration of hCG. 4. The level of serum progesterone on the 5 and 10 days after the first administration of hCG increased from the basal value of 38.9+-20.58 , to 49.0±17.31ng/ml and 61.6±20.31 ng/ml corresponding to 142.5±44.63% and 182.5+-68.08% of basal value respectively. 5. Both early response at 1 hour and late response on 5 and 10 days after first administration of hCG become gradually neligabl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gestational weeks, the groups of 11-15 and 16-19 weeks gestation and basal hormonal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