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기사료원료로서 소나무껍질 추출물 피타민의 브로일러에 대한 항생제 대체효과

        김병완,오진석,한완택,박상오,박병성,Kim, Byong-Wan,Oh, Jin-Seok,Han, Ohan-Taek,Park, Sang-Oh,Park, Byung-Sung 한국유기농업학회 2009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7 No.1

        소나무껍질 추출물, 피타민은 인간의 생체 내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높여주는 항산화성 및 항균성 소재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브로일러에 대한 유기사료 첨가제로서 소나무 껍질 추출물, 피타민의 첨가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피타민 프리믹스가 첨가된 사료를 부화 후 35일 동안 섭취한 브로일러의 혈중지질, 생산성, 도체특성 및 맹장미생물 변화를 연구하였다. 병아리는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 피타민 프리믹스 0.1%, 피타민 프리믹스 0.2% 첨가구로 구분하였다. 브로일러 혈중지질은 피타민 프리믹스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브로일러의 체중은 P 0.1% 첨가구와 항생제 첨가구가 서로 비슷하였으며 P 0.2% 첨가구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중, 도체율, 도체중에 대한 가슴살과 다리살 무게비율은 P 0.1% 첨가구와 항생제 첨가구가 서로 비슷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복강지방 무게비율은 P 0.1%, P 0.2% 첨가구가 항생제 첨가구 및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흉선 무게지수는 P 0.1%, P 0.2% 첨가구와 항생제 첨가구가 서로 비슷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장 내 Bifidobacteria는 P 0.1% 첨가구와 항생제 첨가구가 대조구 및 P 0.2%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시험에서 나타난 중요한 점은 피타민 5.0%를 함유하는 프리믹스 0.1%를 브로일러 사료에 부화 후 35일 동안 첨가 급여해 줌으로서 항생제 첨가와 동일한 브로일러의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Pitamin is a component of pine bark extract that exhibits antimicrobial activity and a variety of physiological effects. This study was earn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itamin as an organic livestock feed additive in broiler chickens. A 35 day trial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ietary premix containing 5% pitamin; investigated parameters included blood lipids, growth performanc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rcasses, and changes of caecal microbials in broiler chickens. Chick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that were untreated (control), treated conventionally with antibiotics in the absence of premix, received 0.1 % or 0.2% premix containing 5% pitamin. Plasma lipids were lower in groups fed diets with pitamin premix (p<0.05). The body weight gain from broiler chickens fed with the diet containing 0.1% pitamin premix and antibiotics was similar,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p<0.05). The weight of breast muscle and thigh meat of carcasses was similar, an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Abdominal fat and thymus index from chickens receiving either pitamin-supplemented premix was significantly lower and increased, respectively, that of the antibiotic and control groups (both p<0.05). The chickens on the pitamin premix-supplemented diets evidenced significantly higher caecal levels of Bifidobacterium species as compared with the chickens on the control diet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eding a diet supplemented with a 0.1% premix containing 5.0% pitamin for 35 days maintains the production of broiler chickens at a level comparable to that obtained from the use of antibiotics.

      • KCI등재

        연속조명과 폭염 스트레스가 육계의 혈액지질 및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상오 ( Sang Oh Park ),황보종 ( Ong Hwangbo ),류채민 ( Chae Min Ryu ),윤재성 ( Jae Sungyoon ),박병성 ( Byung Sung Park ),강환구 ( Hwan Ku Kang ),서옥석 ( Ok Suk Seo ),채현석 ( Hyun Seok Chae ),최희철 ( Hee Chul Choi ),최양호 ( Ya 한국유화학회 2013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연속조명과 함께 폭염 스트레스(extreme heat stress, EHS)에 노출된 브로일러에서 폭염사료 급여가 혈액지질, 성장능력, 면역기관, 혈청 면역물질, 맹장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일반 환경온도 (25℃) 또는 폭염스트레스 (33±2℃)하에서 사육한 병아리는 일반사료(chow diet, CD)와 폭염사료(extreme heat diet, EHD)를 섭취하였다. 부화 당일 Ross 308 병아리 500 마리를 5 처리구 4 반복(반복 펜 당 25 마리)으로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T1 (일반환경+CD), T2 (EHS+CD), T3 (EHS+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및 당밀 5%를 함유하는 EHD), T4 (EHS+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5%,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CD의 1.5 배씩 함유하는 EHD), T5 (폭염+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5%,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CD의 1.5 배씩 추가 및 비타민 C 300 ppm 을 함유하는 EHD)로 구분하였다. EHS는 체중 및 사료섭취량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액지질, 혈액 면역 물질, F 낭, 흉선 그리고 비장의 무게는 브로일러를 EHS에 노출하였을 때 유의하게 낮아졌다. 일반 환 경온도 처리군과 비교할 때 EHS 처리군에서 맹장 Lactobacillus sp.는 낮았으나 Escherichia sp., Salmonella sp. 및 총호기성균은 높게 나타났으며 각 처리구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extreme heat diet on growth performance, lymphoid organ, blood immunoglobulin and cecum microflora change in broilers exposed to continuous lighting and extreme heat stress (EHS) was studied. Broilers raised under normal environment temperature (25℃ or extreme heat stress temperature (33±2℃, and consumed chow diet (CD) or extreme heat stress diet (EHSD). Five hundred Ross 308 day-old commercial broilers were arrang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of 5 treatment groups with 4 repetitions (25 heads per repetition pen). The broilers were divided into: T1 (normal environment+CD), T2 (EHS+CD), T3 (EHS+EHSD in which the tallow in CD was substituted by soy oil and contained 5% molasses), T4 (EHS+EHSD in which the tallow in CD was substituted by soy oil and contained 5% molasses, and 1.5 times more methionine and lysine than CD), and T5 (EHS+EHSD in which the tallow in CD was substituted by soy oil, contained 5% molasses, 1.5 times more methionine and lysine than CD, and 300ppm of vitamin C). The EHS significantly reduced the body weight gain and feed intake. The blood immunoglobulin, bursa of Fabricius, thymus, and spleen weight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broilers were exposed to EHS. Compared to the normal environment temperature group, the cecum Lactobacillus sp. was low in the EHS treatment group, while Escherichia sp., Salmonella sp. and total aerobic bacteria in the EHS treatment group were hig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acknowledged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 KCI등재

        대두유 사료와 역전점등이 폭염 육계의 짧은 사슬지방산 및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재성 ( Jae Sung Yoon ),강환구 ( Hwan Ku Kang ),류채민 ( Chae Min Ryu ),박상오 ( Sang Oh Park ),박병성 ( Byung Sung Park ),황보종 ( Bo Jong Hwang ),서옥석 ( Ok Suk Seo ),채현석 ( Hyun Seok Chae ),최희철 ( Hee Chul Choi ),최양호 ( 한국유화학회 2013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폭염 스트레스(extreme heat stress, EHS, 33±2℃)에 노출된 브로일러에서 대두유, 당밀, 아미노산, 비타민 C를 적절하게 함유하는 폭염사료 (extreme heat stress diet, EHSD)급여가 짧은 사슬지방산 및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부화 당일 Ross 308 병아리 500 마리를 5 처리구로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각 처리구는 4반복을 가졌으며 각 반복은 25마리씩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역전점등과 함께 T1 (일반환경+기초사료 basal diet, BD), T2 (EHS+BD), T3 (EHS+B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및 당밀 2%를 함유하는 EHSD), T4 (EHS+B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2%,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일반사료의 1.5배씩 함유하는 EHSD), T5 (EHS+B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2%,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일반사료의 1.5배씩 추가 및 비타민 C 200 ppm을 함유하는 EHSD)로 구분하였다. 브로일러의 증체량은 T1, T2와 비교할 때 T4, T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면역기관, F낭, 흉선, 비장의 무게는 서로 비슷하였다. 또한 혈청 IgG, IgA, IgM 농도는 T4, T5가 T1, T2에 비교할 때 높았으나 코르티코스테론 농도는 유의하게 낮아졌다. 특히 맹장의 Lactobacillus는 T4, T5가 T1, T2에 비해서 증가하였으나 Escherichia, Coliform, Total aerobic bacteria는 오히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초산, 프로피온산 및 총 짧은 사슬지방산 함량은 T4, T5가 T1, T2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높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eding the broilers that are exposed to extreme heat stress (EHS, 33±2℃) with extreme heat stress diet (EHSD) containing adequate amount of soy oil and other nutrients on their growth performance. 500 broiler chickens (Ross 308) were randomized into five dietary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a randomized block design on the day they were hatched. Each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four repeat pens with each repeat pen comprising 25 chickens. The five dietary treatment groups were: T1 (Normal ambient condition + basal diet (BD), T2 (EHS +BCD), T3 (EHS + extreme heat stress diet (EHSD) prepared from BD with tallow replaced with soy oil and containing molasses 2%), T4 (EHS + EHSD prepared from BD with tallow replaced with soy oil and containing molasses 2% and methionine and lysine of 1.5 times greater quantities than in BD), and T5 (EHS + EHSD prepared from BD with tallow replaced with soy oil and containing molasses 2%, methionine and lysine of 1.5 times greater quantities than in BD, and vitamin C 200 ppm) with inverse lighting. The body weight gain of the broiler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4 and T5 as compared with that in T1 and T2. Weights of the lymphoid organ, bursa of Fabricius, thymus, and spleen were similar between all groups. Serum concentrations of IgG, IgG and IgM were higher in T4 and T5 than inT1 and T2, but the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m. In T4 and T5, Lactobacillus in the cecum increased, but Escherichia, coliform, and total aerobic bacteria decreased rather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in T1 and T2. Contents of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total SCF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4 and T5 than in T1 and T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