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강성(剛性)이 다른 다층토(多層土) 지반(地盤)의 변형(變形) 및 응력전달(應力傳達)

        박병기,장용채,박종천,박선배,Park, Byong Kee,Chang, Yong Chai,Park, Jong Cheon,Park, Seon Bae 대한토목학회 199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12 No.2

        본문은 점토지반에 기초를 통해 하중이 전달 될 경우 기초의구조(강성기초 및 요성기초), Geotextile, Sand Mat, 다층구조의 지반 등이 점토 기초지반에 어떤 거동을 일으키는가를 모형재하시험을 통해 관찰하고 수치계산을 시도한 것이다. 총 14개의 시험을 통해 수직, 수평변위를 기초형태별, 기초처리별, 강성차이별로 고찰하고 이들 변형을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변형과 응력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는 지반지지력은 강성기초가 유리하지만 이보다는 지반 강성이 큰 다층 구조지반이 가장 유리하며 수평, 수직, 변위에 대해서는 G/T, S/M의 병용공법이 가장 유리하고 S/M 공법만 단독으로 이용할 경우는 연직변위 억제 효과가 탁월하다. 그리고 강성이 큰 다층구조 지반은 이를 G/T와 S/M의 병용공법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강성이 큰 지반(여기서는 Rubber층)이 상층에 있고, 두께 또한 두꺼울수록 지반의 침하가 크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측방변위에서도 강성차이도 중요하지만, 이보다는 강성지반의 두께에 더 깊은 관계가 있다. 모형 토조실험을 통한 실측치와 수치해석 결과가 연직변위에 대해서는 서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 다층토 지반의 침하예측이 가능하다. Load tests for fourteen small-scale foundation models combined with geotextile, sand mat and rigid mat were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geotextile(G/T), sand mat(S/M), and foundation types on deformation of foundation soil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numerical analysis using a software program. The main conclusion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traint effect on G/T is more outstanding on the lateral displacement than on the vertical one. 2. The single use of S/M has better effect on the restraint of vertical displacement than lateral one. 3. The use of both S/M and G/T is required for the restraint of lateral and vertical displacement. 4. Multi-layered foundation with large rigidity shows similar tendency to that of foundation reinforced with S/M and G/T.

      • KCI우수등재

        포화점토(飽和粘土)의 변형(變形)에 있어서 시간의존성(時間依存性)에 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究)

        박병기,이진수,Park, Byong Kee,Lee, Jin Soo 대한토목학회 198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 No.3

        본문(本文)은 재생성(再生成)한 해성점토(海成粘土)에 대한 점토(粘土)의 시간효과특성(時間?果特性)과 정규압밀(正規壓密)된 점토(粘土)의 시간의존성거동(時間依存性擧動)을 보편적(普遍的)으로 설명(說明)할 수 있는 구성방정식(構成方程式)과 관계(關係)가 있다. 따라서 본문(本文)에서는 T. Adachi와 F. Oka가 제안(提案)한 구성식(構成式)을 채택(採擇)하였으며 이 구성방정식(構成方程式)은 Cam-clay 이론(理論)을 Perzyna외 탄일점소성연속체이론(彈一粘塑性連續體理論)에 적용(適用)하여 수립(樹立)된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방정식(構成方程式)이 재생성(再生成)한 무안점토(務安粘土)에 대하여 어떻게 적용(適用)될 것인가를 실험적(實驗的)으로 연구(硏究)한 것이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어진 결론(結論)의 주요(主要)한 것은 다음과 같다. 1. 등방압밀(等方壓密)과 등방응력완화시험(等方應力緩和試驗)의 결과(結果)로부터 정적(靜的), 동적(動的)인 강복면(降伏面)이 각각 존재(存在)함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2. 일정변형전단시험(一定變形剪斷試驗)과 응력완화시험(應力緩和試驗)의 결과(結果)로부터 시간효과(時間?果)의 특성(特性) 즉 응력(應力)-변형율(變形率)-시간간(時間間)의 유일(唯一)한 관계(關係)가 존재(存在)함을 알 수 있다. 3. Cam-clay 이론(理論)에 의한 응력경로(應力經路)와 변형율(變形率) 추정(推定)에 있어서 이론치(理論値)와 실험치간(實驗値間)에는 차이(差異)가 있다. 4. Cam-clay 이론(理論)을 Perzyna의 탄일점소성체이론(彈一粘塑性體理論)에 적용(適用)시킨 구성방정식(構成方程式)(6)은 비배수상태(非排水狀態)의 등방응력완화과정중(等方應力緩和過程中) 발생(發生)하는 간극수압(間隙水壓)의 거동(擧動)을 설명(說明)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同一)한 혹은 다른 압밀이력(壓密履歷) 받은 점토(粘土)에 대하여 다른 변형속도(變形速度) 적용(適用)한 비배수(非排水) 3축시험(軸試驗)의 결과(結果)를 예측(豫測)하는데 상당한 적합성(適合性)이 있음을 알았다. 5. 이 구성방정식(構成方程式)에는 8개의 재료상수(材料常數)가 있는데 3축압축시험(軸壓縮試驗)을 통하여 쉽게 얻어진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strain characteristics of the time effect on the remoulded saturated day sampled from the downstream of the Yeongsan river, and the constitutive equation that can generally explain time-dependent behaviors of norma1ly consolidated clay. This paper examines whether or not the afore-said constitutive equation can be applied to the remoulded Mooan-clay. Throughout this study, the conclusion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roughout the isotropic consolidation test for 7 days and the isotropic relaxation test, the existence of the static and dynamic yielding surfaces is confirmed respectively. 2. The characteristics of time effect of the deformation, namely, the existence of a unique stress-strain-time relation, is conform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on the Mooan-clay. 3. The prodictions of the stress path and the strain on the Cam-clay theory is not consistent with those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s. 4. Constitutive equation(2-3-12) obtained by applying Cam-clay theory to Perzyna's elastic-viscoplasticity theory can explain the behavior of pore water pressure during isotropic stress relaxation, concerned with time dependency under undrained condition. The equation can also explain the results of the undrained triaxial compression test for the clay with different strain rate under the same or different consolidation history. 5. This constitutive equation has eight material parameters which can be determined from triaxial compression tests.

      • KCI우수등재

        2 차원(次元) 압밀해석법(壓密解析法)의 비교연구(比較?究)

        박병기,정진섭,박해근,Park, Byong Kee,Chung, Jin Sup,Park, Hae Kuen 대한토목학회 198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5 No.3

        본문(本文)은 연약점토지반(軟弱粘土地盤)에 이차원성토(二次元盛土)를 할 경우 지반(地盤)의 심하(沈下) 및 변위(變位)를 FEM으로 해석(解析)하는 프로그램의 연구에 대한 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구성방정식(構成方程式)으로서는 Cam-clay, Modified Cam-clay, 탄점소성(彈粘塑性)의 3 모델에서 각각 취하여 Biot의 압밀방정식(壓密方程式)과 결합(結合)시켜 이들간의 정도(精度)를 비교(比較)하고 또한 1982년(年) Magnan 등에 의해 불(佛)의 Cubzac-les-ponts에서 시험성토(試驗盛土)를 실시(實施)하여 실측(實測)과 해석결과(解析結果)를 발표(發表)한 바 있는데 그 결과(結果)와 비교(比較)한 것이다. 그 결과(結果)는 본(本) 프로그램이 보다 더 실측치(實測値)에 가깝다는 것이 확인되고 간극수압(間隙水壓)의 처리(處理)는 Christian-Boehmer 계(系)의 FEM 해석(解析)이 그들이 사용(使用)한 Sandhu-Wilson 계(系)보다 더 실제에 가깝고 성토부(盛土部)를 유한요소화(有限要素化)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판단된다. In this paper, a FEM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to solve the consolidation phenomena of embankment on the soft foundation. The developed FEM model was based on the Biot's consolidation equation which was coupled with one of three stress-strain constitutive relationships. In order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newly developed FEM model, the program input data were used by a test embankment which had been already constructed at Cubzac-les-ponts in France by Magnan et al. The FEM results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which were obtained by the Magnan's group at Cubzac-les-ponts. The results compared showed that the consolidation phenomena were well explained by the author's FEM model which results were more accurate than the others. As for the pore water pressure, Christian-Boehmer's method used in this paper was considered preferable to Sandhu-Wilson's used by Magnan.

      • KCI우수등재

        접합요소(接合要素)를 이용(利用)한 기초지반(基礎地盤)의 변형해석(變形解析)

        박병기,이진수,임성철,Park, Byong Kee,Lee, Jean Soo,Lim, Sung Chull 대한토목학회 199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10 No.1

        강성(剛性)이 서로 다른 지반(地盤)이나 재료(材料)가 끼어있는 불연속(不連續) 접합면(接合面)에서의 변형거동(變形擧動)을 합리적(合理的)으로 해석(解析)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연속체(連續體) 개념에 의한 해석(解析)만으로는 만족할 만한 결과(結果)를 얻기 힘들다. 접합요소(接合要所) 해석(解析)은 이와같은 경우에 이용되는 계산기법(計算技法)의 하나이다. 원래는 암반(巖盤)의 절리(節理)라든가 구조물간(構造物間)의 불연속성(不連續性) 해결(解決)하기 위해 인접(隣接) block 간의 강성(剛性)이 크게 다른 접합면(接合面)의 해석(解析)을 위해 제안(提案)된 것인데 본문(本文)에서는 이를 지반구조물(地盤構造物)의 접합면(接合面)에 적용하고자 접합면(接合面)의 물리적(物理的)인 거동(擧動)을 정의(定義)하고 해석(解析)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開發)하여 기왕(旣往)의 발표논문(發表論文)에 적용하여 그 정도(精度)와 접합요소(接合要素)의 적용성(適用性) 및 타당성(妥當性)을 확인(確認)한 것이다. In analysis of deformation in which the stiffness is greatly different between the adjacent materials, the desired results have been obtained by using the interface element method compared with those secur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of the concept of continua. However the interface element method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he behavior of rocks. This study deals with the deformation analysis of foundation with sand drain by the introduction of interface element. The physical conditions of interface element are devided into three categories by Mohr-Coulomb failure criterion ie. sliding, separation, and contact. Finally the accuracy of the program proposed in this paper is proved highly accurate by performing the comparison of the theoretical values and numerical results of a model element with simplified boundary conditions.

      • KCI등재
      • 全南地方 Earth Dam 用土에 關한 硏究 : 第1報 用土의 選定과 土性物理學的 硏究 First Report: Soil physical Study of Earth Dam Soils and Selection

        朴炳基 全南大學校 農漁村開發硏究所 1965 農業科學技術硏究 Vol.3 No.-

        Most of Earth Dams in Chonnam District are constructed with Core Wall Type. These Earth Dams, most of all, constructed by simply experiences without having considerable studies of Soil Engineering, therefore should be repaired largely every year. Point of view, this paper is trying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safe design of Earth Dam and Construction in Chonnam District based on the studies of Soil Engineering. And this is the report about Soil-Physical-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as follow. 1. The results of Grain size Analysis shown table-1 and these Physical Characteristic shown table-2, too. 2. Most of Earth Dam soil in Chonnam District classify clay or clayloam and so much with this-soils, to built earthdam with Homogeneous Type or Zone Type in much more secure and economical than that of Core Wall Type. 3. The value of optimum Moisture content ratio by compaction testing is lower than that of field moisture content ratio. This result had measured by contineous measure during past several months. Therefore exactly control about water content is required in Soil-Rolling. 4. I propose to avail following Equation or Nomogrm(shown Fig. 1-2) when choosing Earth Dam soils in field directly in Chonnam District. According to these Equation or Nomogram measuring sticky limits simply, we find easily required optimum Moisture content and maximum Dry Den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