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한국 서비스산업의 산업내무역 결정요인 연구

        박범철(Park Beom-cheol),주이화(Joo E-wha),심상렬(Shim Sang-ryul) 한국무역학회 2015 한국무역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5

        OECD 및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서비스업의 수출입 규모는 지난 30년 동안 약 23배 성장하였다. 하지만 무역 수지 측면에서 볼 때 서비스 수지는 1990년 적자로 전환한 이후 1998년과 2012년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국내 서비스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다른 선진국 및 신흥국들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서비스무역에 대한 관심 유도와 정책적 대안 마련이 절실하나 서비스산업에 있어서의 무역에 대한 연구는 제조업 무역 연구에 비해 매우 저조한 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먼저 국내외 산업내무역의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한다. 그리고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한 후 실증 분석하고 결과를 해석한다. 즉 선행연구의 이론적, 실증적 결과를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위한 연구모형의 설계 및 연구가설의 설정,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변수의 선정, 표본자료의 통계처리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서비스무역의 산업내무역 결정요인 및 모형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raindustry trade of Korea’s service industry in comparison with major 21 OECD countrieto understand the intraindustry determinants of service trade using GrubelLloyd IIT (IntraIndustry Trade index). W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trade structure of Korea’s service industry by assessing service trade’s IIT (IntraIndustry Trade index) against 21 OECD countries and comparing changes in index by industry. The following is a set of suggestion drawn from the study. Hypothesis 1: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Gross Domestic Production and IIT. Hypothesis 2: An invers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difference in per capi tal income and IIT. Hypothesis 3: IIT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distance between counties. Hypothesis 4: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IT. Hypothesis 5: An invers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human development index and IIT. Hypothesis 6: IIT is positively related to product differentiation. Hypothesis 7: IIT is positively related to foreign direct investment. Hypothesis 8: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labor productivity and IIT. Different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were revealed from the two groups. From the analysis with Group I, Hypothesis 1, 2, 4, 5 and 8 are accepted at a 95% significant level. And hypothesis test results for Group II show that Hypothesis 1, 2, 4, 5 and 8 are accepted at a 95% significant level. Finally,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mong IIT and the product differentiation,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showed different results from those of previous research for other industry like manufacturing. It is supposed that the results are caused by weaknes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of Korea’s service industry and the problem of data loss or integrity in service trade.

      • 한국 서비스산업의 산업내무역 결정요인 연구

        박범철(Park Beom-cheol),주이화(Joo E-wha),심상렬(Shim Sang-ryul) 한국무역학회 2015 무역학자 전국대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5

        OECD 및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서비스업의 수출입 규모는 지난 30년 동안 약 23배 성장하였다. 하지만 무역 수지 측면에서 볼 때 서비스 수지는 1990년 적자로 전환한 이후 1998년과 2012년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국내 서비스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다른 선진국 및 신흥국들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서비스무역에 대한 관심 유도와 정책적 대안 마련이 절실하나 서비스산업에 있어서의 무역에 대한 연구는 제조업 무역 연구에 비해 매우 저조한 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먼저 국내외 산업내무역의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한다. 그리고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한 후 실증 분석하고 결과를 해석한다. 즉 선행연구의 이론적, 실증적 결과를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위한 연구모형의 설계 및 연구가설의 설정,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변수의 선정, 표본자료의 통계처리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서비스무역의 산업내무역 결정요인 및 모형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raindustry trade of Korea’s service industry in comparison with major 21 OECD countrieto understand the intraindustry determinants of service trade using GrubelLloyd IIT (IntraIndustry Trade index). W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trade structure of Korea’s service industry by assessing service trade’s IIT (IntraIndustry Trade index) against 21 OECD countries and comparing changes in index by industry. The following is a set of suggestion drawn from the study. Hypothesis 1: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Gross Domestic Production and IIT. Hypothesis 2: An invers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difference in per capi tal income and IIT. Hypothesis 3: IIT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distance between counties. Hypothesis 4: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IT. Hypothesis 5: An invers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human development index and IIT. Hypothesis 6: IIT is positively related to product differentiation. Hypothesis 7: IIT is positively related to foreign direct investment. Hypothesis 8: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labor productivity and IIT. Different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were revealed from the two groups. From the analysis with Group I, Hypothesis 1, 2, 4, 5 and 8 are accepted at a 95% significant level. And hypothesis test results for Group II show that Hypothesis 1, 2, 4, 5 and 8 are accepted at a 95% significant level. Finally,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mong IIT and the product differentiation,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showed different results from those of previous research for other industry like manufacturing. It is supposed that the results are caused by weaknes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of Korea’s service industry and the problem of data loss or integrity in service trade.

      • 한국 서비스산업의 산업내무역 패턴 연구

        박범철(Park Beom-cheol),주이화(Joo E-wha),심상렬(Shim Sang-ryul) 한국무역학회 2015 한국무역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2

        무역자유화 추세에 따라 세계무역이 크게 확대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서비스산업의 글로벌화 역시 크게 진척되었고, 서비스무역의 위상 또한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이 발달된 OECD 주요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산업내무역지수와 여러 결정요인들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서비스 무역의 산업내무역을 비롯한 비교우위 패턴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는 물론 서비스산업이 발달된 OECD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산업내무역 지수를 활용하여 전체 서비스산업 및 각 서비스산업 부문별 비교분석을 하였다. 또한 서비스무역에 있어 우리나라 대 OECD 주요 국가 간의 무역비교우위 패턴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후보

        인권교육에 기반을 둔 고등학교 다문화 이해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2013년 경문고 따봉(따뜻한 봉사활동)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박범철 ( Beom Cheol Park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4 漢城語文學 Vol.33 No.-

        이 연구는 인권교육에 기반을 둔 다문화 이해교육으로 주류사회에 속한 학생들이 소수 문화를 통해 자기이해를 증진시켜 다문화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다문화 교육은 이해와 지식을 통해 각 문화에 대한 존중을 추구하여 자신의 문화적, 인종적 편견을 극복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2년간의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 다문화 체험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다문화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연구 방법론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사회가 다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음에 주목하였다. 한국 사회는 20세기 후반부터 크게 늘어나고 있는 이주 노동자, 아시아계 결혼이주여성, 국제난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비 인간적인 처우나 차별적 요소에 의한 인권 침해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차별, 편견, 인종주의 현상에 대한 이해가 다문화 현상을 이해하는데 전환점을 제시해 줄 것이다. 그리고 다문화 이해 교육을 인권교육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인종차별적인 정서는 언론이나 미디어를 통해 이주민을 잠재적 범죄자, 왕따, 도움이 필요한 대상으로 차별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 차원의 정책적 검토에 우선하여 일선 학교, 가정, 사회에서 다문화가족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이해 교육, 인권 교육 등의 필요성이 점점 커져 가고 있다. 다문화 이해교육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주류사회를 이루고 있는 다수자들의 인식 전환이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급증하고 있지만 유독 우리의 다문화주의는 동화주의를 바탕으로 한 다문화 정책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학교에서 실시하는 다문화 교육 역시 이주민 중에 일부를 차지하는 결혼이주여성과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원론적인 교육에 머물러 있다. 한국 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 이해교육’을 기초로 고등학교에 적합한 다문화 이해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하고 실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의 대상이 ‘누가’되어야 하는가에 문제제기를 통하여 다문화 교육이 도입된 경위를 고찰한 후, 한국 다문화 담론의 한계를 통해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구성, 다문화 수업에 대한 이론을 분석하고 다수자를 위한 다문화 이해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급격한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이 편견과 차별의식을 낳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이 다문화 이해교육이라고 볼 때, 편견과 차별의식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 이해교육은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교육을 기반으로 인간의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근본적인 교육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hows that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based on human-right education makes students in the majority culture understand their culture through the minority culture and accomplish the goal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ursues respect for each cultures through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nd makes students overcome the cultural and racial prejudice. For 2 years, multicultural human-right education programs and multicultural volunteer activity programs are run to enhanc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evaluate the suitability of various study methodologies. First, this study realizes the limit to understand Multicultural Phenomena in korea. In Korea, the case of human rights infringement has grown dramatically. Because immigrant worker, The married migrant women in Asia, refugee, displaced people from the North Korea has grown dramatically and has been treated in humanly discriminatively. The understanding of discrimination, prejudice and racism phenomena will be a turning point to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Phenomena. The human-right education in schools can be a solution to understand multicultural in Korea. Media brands immigrants as potential criminals, outcasts or someone who need help and make discrimination repeat. Therefore,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human-right education in the first-line schools, families, society prior to policy stud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unity the societ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has to put emphasis on change of recognition of the majority. Though The attention and support to multicultural education has increased, multiculturalism in Korea has limit that Korean multicultural policies are based on assimil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is focused on The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And The government and civic group have the similar limit, even though they run various programs. This study estabilishes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suitable for hugh school students, finds the way to develop curriculum and practices the curriculum. based on the present condition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in Korean high schools. This study gives attention to who has to be educated and, analyzes the sit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the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The study trie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suggest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program for majority.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o immergrants in Korea comes from the rafid entry to multiculture. The education to deal with these problems i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the understanding about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problems is a major task. Therefor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is a fundment education to promote the change of a view of the world through the introspection of human nature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that pepole have to live togeth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