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키스탄의 농업현황

        박무언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89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 No.2

        1. 파키스탄은 面積 805천 ㎢, 인구 104, 960천명 ('87)의 회교국으로서 아리안족이 대부분이며 다양한 언어체계(국어-우루드, 공용어-영어, 통용어-푼잡어, 신디어, 페루스투어, 발루치어등 다수)를 가지고 있다. 2. 熱帶乾燥氣候에 속하는 파키스탄은 북부 일부지방을 제외하면 降水量이 대부분 600㎜이하이기 때문에 農耕地가 국토의 26.8%인 20,700천㏊에 지나지 않는다. 3. 파키스탄농업은 인더스강 流域을 중심으로 발달되었으며 기후와 토양특성을 고려한 作物環境帶는 11개의 相異한 지대로 대별되며 主要作物은 벼, 밀, 면화, 사탕수수, 수수등이다. 4. 파키스탄 농업은 國民總生産의 27%, 총인구의 54%, 총수출액의 30%, 총수입액의 21%를 점하고 있으며 最近 3년간의 농업 신장율은 전체 경제성장율 7%에 미달된 5.9%였다. 5. 灌漑依存度가 큰 파키스탄에는 크고 작은 많은 댐과 64,000㎞의 canal, 89,000개의 水路가 造成되어 있고 總耕地面積의 77.5%에 해당하는 16백만 ㏊가 관개의 혜택을 받고 있다. 6. 파키스탄은 對外關係는 정치적으로 中立 등거리 외교를 표방하고 있으나 경제적 협력관계는 미국, 일본, 중공 등에 偏重되어 있다. 7. 파키스탄은 한국의 農業技術移轉이 절실히 요구되는 농업기술 후진국이며 현재 한국인으로서는 蠶業專門家 1명, 灌漑專門家 2명이 UN 또는 IBRD의 후원으로 일하고 있다. In order to provide brief information for persons who is going to work in Pakistan as agricultural experts or engineers, socio-economical and agricultural conditions of Pakistan were reviewed through references and author's opinions were also commented on the basis of his field experience in Pakistan. Agricultural conditions in Pakistans quite inferior to those of Korea.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Korean agre technical assistance to Pakistan will be greately helpful and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Pakistan agriculture.

      • KCI등재

        구획경계선(區劃境界線)의 횡단면(橫斷面)에 따른 토양특성(土壤特性)과 작물생육(作物生育)에 관한 공간변이성(空間變異性) 분석(分析) 연구(硏究) I.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의 공간변이성(空間變異性)

        박무언,류순호,Park, Moo-Eon,Yoo, Sun-Ho 한국토양비료학회 198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구획경계선(區劃境界線)이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의 공간변이(空間變異)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10년전 구획정리(區劃整理)로 논을 전전환(田轉換)한 맥류연구소(麥類硏究所)의 시험포지 화동(華東)미사질식양토(Fine clayey, mixed, mesic family of Aquic Hapludalfs)를 공시토양으로 하여 필지경계선(筆地境界線)을 횡단(橫斷)하여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을 조사하고 조사성적을 고여(古與) 통계학적(統計學的) 방법(方法)과 지질(地質) 통계학적(統計學的) 방법(方法)으로 공간변이성을 해석하였다. 토양입경분포(土壤粒徑分布)는 10m 간격으로 $15{\times}15$ Grid의 교차 225 지점에서 채취한 토양시료를 이용하였고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 전용적밀도(全容積密度), 포화수리전도도(飽和水理傳導度)등에 대한 물리성은 조사대상면적의 일부분에 대하여 2.5m 간격으로 $18{\times}33$ Grid의 교차지점중 594지점에서 포장조사법으로 직접 측정하였다. 시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의 변이계수(變異係數)는 4.8%에서 128.8%범위였다. 변이계수(變異係數)는 크기로 보아 포화수리전도도(飽和水理傳導度)는 고변이군(高變異群)으로 분류되었고, 전용적밀도(全容積密度)는 저변이군(低變異群) 그리고 기타 다른 물리성은 중변이군(中變異群)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측정된 값의 평균치로부터 신뢰수준 95%에서 허용오차 10%이내의 정확성을 나타낼 수 있는 시료수는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이 1개로 가장 적었고 포화수리전도도(飽和水理傳導度)는 687개로 가장 많은 시료수가 요구되었다. 기타 다른 물리성(物理性)은 6-69개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3. 도수분포곡선(度數分布曲線)과 Fractile diagram의 분석 결과 포화수리전도도(飽和水理傳導度)는 대수변환시(對數變換時) 정규분포성(正規分布性)을, 기타 다른 물리성은 실측치(實測値)가 정규분포성을 보였다. 도수분포곡선(度數分布曲線)상에서 평균치(平均値), 중앙치(中央値) 및 최빈치(最頻値)가 차이를 나타내는 특성의 산술평균(算術平均)은 곡선상의 평균에 비해 오차를 유발할 가능성이 컸다. 4. 계열상관(系列相關) 분석(分析)에 의하면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은 모두 유의성 있는 종속성(從屬性)이 인정되었다. 자기상관(自己相關) 분석(分析) 결과(結果)는 남북방향으로 정상성(定常性)을 가지며 7.5~40m의 영향권(影響圈)을 보였고 토양 깊이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특히 토양의 깊이 50~60cm에서 대부분의 물리성이 비정상성(非定常性)을 보였다. 동서방향으로는 30㎝의 주기성(週期性)을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며 구획폭(區劃幅)과 일치하여 구획에 따른 영농관리가 토양의 공간변이성(空間變異性)을 유발하는 원인들중 하나로 생각되었다. In order to study spatial variability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ccross the land-partitioned boundary on Hwadong silt clay loam soil (Fine clayey, mixed, mesic family of Aquic Hapludalfs), all measur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kriging, fractile diagram, smooth frequency distribution, and autocorrelation. Sampling for soil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sis was made at 225 intersections of $15{\times}15$ grid with 10m interval. Field capacity, bulk density and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were measured in situ at 594 intersections of $33{\times}18$ grid with 2.5m interval in only $6,000m^2$ reselected from $22,500m^2$ of sampling area f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sis. Sampled or measured soil depths were 0 to 10cm 25 to 35cm and 50 to 60cm at each intersectio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efficient of variance (CV) of various physical properties ranges from 4.8 to 128.8%.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s classified into the high variation group with CV greater than 100%, while the low variation group with CV smaller than 10% consists of bulk density. Other properties belong to the medium variation group with CV between 10 and 100%. 2. The appropriate number of soil samples for the determination of various physical properties with error smaller than 10% are calculated as one for bulk density, six for field moisture capacity, 16 for silt, 19 for clay, 69 for sand and 686 for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3. Smooth frequency distribution and fractile diagram show that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s in lognormal distribution while other physical properties are in normal distribution. 4. Serial correlation analysis reveals that the soil physical properties have spatial dependence between two nearest neighbouring grid points. Autocorrelation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measured between the serial grid points in the direction of south to north following section boundary shows that the zone of influence showing stationarity ranges from 7.5 to 40m. In the direction of east to west across section boundary, the autocorrelogram of many physical properties shows peaks with the periodic interval of 30m, which are similar to the partitioned land width. This reveals that the land-partitioned boundary causes soil variability.

      • 대청도 옥죽동 사구의 이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 연구

        박무언,장용선,현근수,강안석,권혜진 (사)두레마을 친환경농업연구원 2007 친환경농업연구 Vol.9 No.1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physic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btaining information for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management of a sand dune formed at near Okjukdong beach of Daechong island, Ongjingun in Korea. Soil particles of the studied dune soil were very well sorted into medium sand and fine sand which were finally occupied more than 95%. Mineral composition of sands was consisted in 18∼59% of quartz, 36∼71% of feldspar and 5∼14% of mica. Weathering ratio(WRL) of light minerals in the studied dune soil was lower than 0.9 for the studied dune soil and its neighbour seaside soils in Daechong island, while that was more than 1.0 for the seaside soils in Baekryung island of Ongjingun and inland sand dunes, and also for yellow sand dust flown China. Soil fertility of the studied dune soil was lower than average of upland soils in Korea, and it is considered that low fertility will be major limitation for futur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rop land and planting preparation of win-break forest for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management of the studied area. Mineralogical composition and weathering ratio and also particl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tudied dune soil are very similar to contiguous beach soils in Daecheong island, but different from seaside soils of neighbouring "Baekryong island" and fluvial deposit soils or aeolian deposit soils in inland of Korea and also yellow sand dust flown from China.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the studied dune soil in Daecheong island is may not be a far aeolian deposit soil of yellow sand dust flown from China but the local aeolian deposit soil flown from the contiguous beach(Okjukdong), which was caused by both effects of specific climate with strong wind and less precipitation and also particular topography with wind-concentrative valley type. According to climate data recorded by the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the Baekryeong island located in 7.5km far from the studied area has strong wind more than 4.1mㆍs-1 and lower precipitation than 720㎜ in climatic characteristics. If climatic data of Baegryeong island were used for the estimation of wind erosion, C-value was higher than 18.5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