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리더십 및 정서조절전략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명신 ( Myeung Sin Park ),한상훈 ( Sang Hoon Han ),김영미 ( Young Mi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인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리더십 및 정서조절전략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로모형으로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일상적 창의성을 외생변수로, 리더십 및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부권에 소재한 대학의 재학생들 3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의 영향력 크기를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각 경로의 표준회귀계수는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토하기 위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리더십, 정서조절전략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적 창의성은 직·간접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적절한 창의성 개발 교육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 everyday creativity, leadership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problem-solving ability. The participants on this study were 255 students of university. As for a research method, SPSS win 20.0 was employ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alulation for Cronbach`s coefficient, and correlation. Als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structural equating model seeking for the most appropriate measurement variable in refining procedure. After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o evaluates the fit index of the research model and calculating of parameter estimat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covariance matrix by using AMOS 20.0, path analysis of causal relation among variables and effect of prediction variables were confirmed. The results of SEM analysis, college student everyday creativity, leadership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v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n problem-solving abilit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students of the proper development of creativity through edu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could be improved.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구조적 분석

        박명신 ( Park Myeung S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구조적 분석을 위해 대전지역에서 평생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만2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 553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생교육의 서비스 질은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의 서비스 질이 가치, 신뢰, 관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의 가치, 신뢰, 관계몰입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의 서비스 질은 가치, 신뢰, 관계몰입을 통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서비스 질, 가치, 신뢰, 관계몰입 등이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평생교육의 서비스 질, 가치, 신뢰, 관계몰입의 향상을 위한 다각도의 지원 및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평생교육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에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기초자료 제공과 평생교육 참여율 제고, 평생교육의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53 adult learners aged 20 years or older with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in Daejeon for structural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the continuing intention of adult learners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Studies have shown that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intention of adult learners to participate, but that the quality of lifelong learning can affect the value, trust, and relationship immersion of adult education based on the intention of lifelong learning. This means that quality of service, value, trust, and relationship immersion are preceded in order to affect adult learners’ continue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values, trust, and relationship immersion in lifelo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 for the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increased rates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평생교육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성인학습자의 학습실재감,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박명신 ( Myeungsin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평생교육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성인학습자의 학습실재감,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385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5.0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평생교육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성인학습자의 학습실재감,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미치며, 학습실재감, 문제해결능력은 평생교육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성인학습자의 비판적 사고성향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학습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을 고양시키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선행되어야 하며, 성인학습자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시킬 수 있는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 of lifelong educators’ the facilitator competency, on adult learners’ sense of learn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To this end, 385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Daejeon were surveyed from March to May 2021,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According to the study, lifelong educators’ faculties effect adult learners’ sense of learn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and sense of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have a medium effect between lifelong educators’ faculties and adult learners’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of adult learners, lifelong educators' the facilitator competency, should be preceded, and capacity-build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of adult learners.

      • KCI등재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박명신 ( Park Myeung Sin ),한상훈 ( Han Sang Ho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대전·충남지역 4년제 대학교에서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392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사회적지지는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 사이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적지지뿐만 아니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진로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과 취업률 제고, 평생교육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security suppor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career maturity of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In order to acquire the certificate of lifelong education at the 4-year university in Daejeon and Chungnam area, 392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course for lifelong education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in the following sentences. First, the security support of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has a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maturity. Seco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has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maturity. Thir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has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maturity. Fourt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ve meaningful mediation effects between the security support and career maturity. This finding can be interpreted as the security support of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can create an effec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again creates a positive effects on career maturity. This suggests that it should be followed in order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security suppor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ative level of career education, improvement of employment rate and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articipants of the training course for lifelong educator.

      • KCI등재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가족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및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분석

        박명신 ( Park Myeung S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가족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및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분석을 위해 대전·충남지역 4년제 대학교에서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39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가족탄력성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자기결정성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가족탄력성과 진로결정수준사이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들의 진로결정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 제공과 취업교육 및 진로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 그리고 취업률 제고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We conducted a structural analysis on the family resili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and on career decision level of who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courses from lifelong educat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92 students at 4-year college, Daejeon, Chungna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in the following sentences. First, the family resilience of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courses for lifelong educato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courses for lifelong educato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Third, the self-determination of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courses for lifelong educato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Fourth, the confirmed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have meaningful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family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This suggests that it should be followed in order to improve career decision level of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courses for lifelong educators family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vocational educ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and employment career.

      • KCI등재

        교육복지대상 중학생을 위한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박명신 ( Myeung Sin Park ),임선희 ( Sun Hee L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교육복지대상 중학생을 위한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를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 멘토, 멘티를 중심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는 기존의 선행연구 등에서 대상학생 생활태도의 긍정적 형성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학교만족도 및 자존감, 우울,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과 학업성취도 향상,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 일상생활습관, 학교적응력, 결석률과 문제행동감소, 수업태도개선,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인식개선 및 연계· 협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것과 같이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의 투입-활동-산출-성과 간의 단계를 거쳐 멘티는 성적향상, 자아존중감 향상, 학업성취욕, 자존감 등이 향상되었으며 문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는 프로그램이 학점이수에 도움과 학습경험 및 리더십, 교수활동경험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교사가 되기 위한 목적의식이 보다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은 첫째, 투입의 예산 및 재정지원으로 멘토에게 최소한의 교통비와 봉사료 지원과 멘토 선발과정의 평가체제 수립, 프로그램시작 전 사전정보제공과 멘토·멘티 간의 상호작용, 멘토 전문성을 키우기 위한 시스템 구축, 지역대학과의 연계·협력체제가 마련되어져야 한다. 둘째, 활동의 멘토링 활동지원 및 자원봉사자 지원과 멘토 교육, 훈련, 슈퍼비전 등의 시스템이 구축되어져야 한다. 셋째, 산출의 멘토·멘티 인원수를 수준별 1:1 학습멘토링 관계가 될 수 있도록 지원,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시간, 횟수, 기간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성과의 지역사회와의 연계·협력을 통해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고, 다양한 측면에서 포괄적인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제가 마련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복지대상 중학생을 위한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기반 확대와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이 멘토·멘티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의 점진적인 확대에 필요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논리모델을 토대로 교육복지대상 중학생을 위한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를 실시함으로서 실천현장에서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운영과 평가체제를 확립할 수 있는 사례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mentoring program which is one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nd to propose improvement of the program. The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research and the interviewees were education welfare specialist, mentors and mentee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s a result, the learning mentor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self-esteem, academic achievement need, etc, and mentees` learning understanding was increasing. The mentors got a lot of help with the learning experience, leadership, teaching experience, completing college credit, etc. Also, they could have a firm conviction of purpose for becoming a teacher. In spite of these effects, several methods for improving the learning mentoring program as follows. First, the mentoring program budget and allowance for mentors should be secured such as transportation fee. Besides the program needs to have a mentor selection process with a systematic assessment and offers information before the beginning. Training system for professionalism and 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are necessary. Second, supporting program for mentors` and volunteers` activities should be involved, and education program for mentors, training system and vision of the programs are also necessary. Third, implementing a level-based individual mentoring program and expanding the amount, duration, and the number of times for the mentoring should be done. Fourth, cooperating with community is a way to enhanc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nd a various assessment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evaluate the program. This study is for extending the recognition of learning mentor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argeted education welfare, and for offering the improvement of learning mentoring program. It also presents basis for the gradual expansion of learning mentoring program which is a kin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bove al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ase based on a logical model which is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evaluation system and implementing the program in the field.

      • KCI등재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역량 및 생애능력의 구조적 분석

        박명신(Park Myeung S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역량 및 생애능력의 구조적 분석을 위해 전국 17개 시ㆍ도 지역의 평생교육기관 및 시설에서 평생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 1,213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은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은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역량은 생애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역량은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이 성인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역량을 기반으로 생애능력에 더 많은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The subjects were 1,213 adult learners who were over 20 years old. They had a lifelong learning experience in various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and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located in 17 municipal and provincial areas. The statistical method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long learning educators' Adult learners recognized core competency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adult learners' life competencies. Second, the lifelong learning educators' core competency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adult learners' cognitive learning competency. Third, the adult learners' cognitive learning competency significantly affects on life competencies. Fourth, the adult learners' cognitive learning competency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lifelong learning educators' core competency and the adult learners' life competencies. In other words, the lifelong learning educators' core competency based on the adult learners' cognitive learning competency has great effect on life competencies.

      • KCI등재

        논리모델을 적용한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사례연구

        박명신(Park Myeungsin),한상훈(Han Sangho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사례분석기법인 논리모델을 적용하여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대전․ 충남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서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생 12명(남자 6명, 여자 6 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투입과정에서는 실습생들의 실습비용은 실습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대부분 표준화된 실습 매뉴얼 없이 실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한 기관에서 1명 정도의 실습생만을 선발하고 있었다. 또한 실습 전 사전정보․상호작용이 부족하였으나, 실습지도자의 전문성 은 어느 정도 갖추고 있었다. 활동과정에서 실습지도자는 평생교육법에 규정되어 있는 평생교육사의 업무 에 충실히 수행하고 있었으나, 실습생들은 실습지도자의 지도에 따라 실습지도자의 업무들을 보조하는 역 할을 하였으며, 실습생에 대한 실습지도자의 교육․훈련․슈퍼비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과정에서 실습지도자와 실습생의 매칭은 대부분 1:1로 이루어졌고, 실습시간․횟수, 기간은 충분하였으나, 실습지도 자의 슈퍼비전 횟수․기간은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과정에서 실습생들은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에 대체로 만족 및 효과가 있었으며, 평생교육사의 직업 선택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프로그램, 평생교육사들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연계․협력 및 세대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선사항으로는 평생교육사 양성교육기관을 선정․지정하여 프로젝트 공모 혜택과 예산 지원 등의 적극적인 지원과 혜택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평생교육 사 양성을 위한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향상과 전문성을 갖춘 평생교육사 양성에 대한 이론 적이고 실증적인 자료에 시사점을 준다. This study selected 12 persons who had an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program and then made an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cases of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program using logic model, cas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input, trainees' practicum cos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practicum site. And most of practicum is taken without standardized practicum manual. A site selected only 1 trainee or so. Advance information․interaction was insufficient before practicum. However, practicum instructor had expertise to some extent. Second, in activity, a practicum instructor faithfully performed lifelong educator's tasks specified in Lifelong Education Act. However, trainees played a role in assisting the practicum instructor with tasks according to the practicum instructor's instruction. And it was shown that practicum instructor's education․training․ supervision of trainees was insufficient. Third, in output, for the most part, practicum instructor was 1:1 matched with trainee. And the hours, frequency and duration of practice was sufficient. However, it was shown that more frequency․duration of supervision was required. Fourth, in outcome, trainee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program and an effect was produced. And they became interested in choosing the long educator job. It was shown that, through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lifelong educators, connection․cooperation with community and interaction between generations was accomplished. Fifth, with regard to improvements, it was necessary to select․designate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raining a lifelong educator, and actively give support and incentive such as budgetary support and incentive in inviting the public to a prize contest for best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theoretical and empirical data on training a lifelong educator who has expertise and an increase in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program to train a lifelong educator.

      • KCI등재

        AHP기법을 이용한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 중요도 분석

        박명신(Park, Myeung-Sin),한상훈(Han, Sang-Hun),윤종찬(Yoon, Jong-C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AHP기법을 이용한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 중요도 분석을 위해 대전시 평생교육 실천현장의 평생교육전문가와 평생교육기관장, 평생교육담당자 및 평생교육사 32명을 대상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방법을 활용하여 추진과제의 영역과 하위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조사하고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추진과제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는 1)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2) 온·오프라인 평생학습 종합지원체제 구축 3) 사회통합을 위한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4)지역사회의 학습역량 강화 순으로 나타났다. 추진과제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는 1)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체제 전환 2) 온라인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3) 지역대학의 평생교육 역할 강화 4) 세대별‧대상별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5) 기초·광역 지자체의 평생교육 추진체제 강화 6) 전문성·투명성 강화를 통한 평생교육 질적 향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행에 있어서 추진과제의 영역 및 요소들이 모두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영역과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체제 전환’ 요소 등에 대한 비중 있는 수행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an in-depth study on sensitivity analysis based on promoting activities,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setting in their sub-elements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For this purpose, lifelong education experts, education administrators, lifelong educators from Daejeon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is Priority Analysis on the Lifelong Education Enhancing Plan using the AHP. The analysis resulted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promoting activities; 1) realizing of lifelong education system oriented by universities, 2) setting up the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lifelong education, 3) strengthening the lifelong education of local universities, 4) offering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by generation and target group, 5) strengthening the lifelong educ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6) advancing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professionalism and transparency. This suggests that realization of a lifelong education system oriented by universities and the reorganization of an university system for adult learners have greater importance among other tasks and elements in carrying out the 3rd lifelong education enhancing plan.

      •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과 리더십 및 생애핵심능력 간의 구조적 분석

        박명신(Myeung-sin Park),한상훈(Sang-hoon 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과 리더십 및 생애핵심능력의 구조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은 생애핵심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리더십은 생애핵심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평생교육의식과 생애핵심능력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을 통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다시 생애핵심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 전환과 그들의 삶에 필요한 리더십 및 생애핵심능력 함양을 위한 평생교육에 활용될 수 있으며, 대학생들이 졸업 후에도 평생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평생교육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교의 평생교육사 양성과정과 평생교육 운영에 현실감 있는 이론적·실천적 함의로서 평생교육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