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인성 및 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박리나 ( Park Reena ),황해익 ( Hwang Hae-i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2001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수행된 유아인성 및 유아인성교육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여 현재 요구되어지는 과제를 논의함으로써 향후 유아인성 관련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나가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CI에 등재된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유아 인성을 주제로 한 논문 137편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따라 유아인성과 유아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인성 관련 학술지 연구는 최근 2012년을 기점으로 급증하였다. 둘째, 유아인성 관련 연구들은 주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을 주제로 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인성 관련 연구는 양적연구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주로 만 5세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과정에서 활용된 인성 검사 도구는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개발되어진 것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넷째, 유아인성 관련 연구들에서는 관계적 인성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으며, 하위 인성내용별로는 존중, 친사회성, 배려 등의 순으로 빈번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in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for finding direction of researches in the future, in academic journals(registered in KCI) from 2001 to 2016. In total, 137 researches were analyzed, prosociality,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ginning in 2012, the researches started increase rapidly. Second, most researches done for practice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Third, most researches used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literature method, and examined 5 years old. Forth, most talked about character in the researches was respect, prosociality,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 KCI등재

        유아인성과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암묵적 지식 연구

        박리나(Reena Park),황해익(Hae-ik Hw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유아인성과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주관적 지식과 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암묵적 지식을 탐색하였다. 서울 및 경상남도 소재 유아교육기관 교사 200명을 임의표집하여 질문지를 배부한 후 최종 129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의 인성을 일반적 인성개념과 인성내용요소를 기반으로 유아기 특수성과 함께 자신의 신념과 경험론적 판단을 반영하여 정의하고 있었으며, 둘째, 유아인성교육의 목적을 사회유지 및 발전, 유아기적 특성(인성발달의 결정적 시기), 유아 개인의 성장, 발달증진에서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인성을 ‘배려’ ‘친사회성’, ‘예절’, ‘긍정성’ 등에 초점을 두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드러난 유아인성과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암묵적 지식에 기반하여 유아인성과 유아인성교육의 개념을 도출하 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인성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s implicit knowledge of young children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129 teachers engaged in open-ended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4 speciali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young children character is defined based on the generic definition of character, contents of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2.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hould be implement for social maintenance and evolution, and growth of young children, because early childhood is critical period of character development. 3. young child be judged good character by their teacher has consideration, prosociality, manner, positive and passion in order.

      • KCI등재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최혜진(Hyejin Choi),박리나(Reena Park)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도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교사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 그릿, 교수창의성은 모두 서로 간에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은 교수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그릿이 직무자율성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서 직무자율성 뿐만 아니라 그릿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교수창의성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outh Korea. Around 224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Gangwon, and Gyeongsang were recrui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4.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autonomy, teaching creativity, and grit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 their job autonom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creativity, and some aspects of job autonomy were found to affect teaching creativity through gri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eaching creativity by confirming the role and importance of grit as well as job autonomy as variables that can affect teaching creativity.

      • KCI등재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제희선 ( Je Hui-seon ),박리나 ( Park Reen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담론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인성교육의 내용 및 실천과 관련된 비판적 사유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인성교육 프로그램에서 활용한 그림책 9권을 중심으로 Faircough의 담론분석을 활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서를 위한 통제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다. 둘째, 목적을 위한 협력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다. 셋째, 공존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으나 타인과 환경에 대한 대상화, 타자화 하는 모습이 드러났다. 넷째, 동질화된 주체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으며 이는 고정화된 주체에 대한 담론으로 확대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담론에 따라 인성교육이 다원적인 가치를 존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선회를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인성교육을 위해 동화책을 사용하는 성인 역시 담론의 재생산자가 아닌 반응적인 청자로서 유아의 반응과 배움의 과정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aise critical thinking about the contents and practice of personality education by analyzing discourse focusing on picture books which are used in children’s personality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used Fairc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cused on 8 children' s books that were used in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scourse reveals that the individual has to conform to and follow the control. Second, discourse about the passive role of individuals for macro goals was revealed. The value of cooperation is a priority rather than individual voluntary and free negotiation. Third, uniformity of subjectivity of elderly people and women appeared. Fourth, for the coexistence and co - operation, the discourse emphasizing the normalized and idealized standards was revealed, and separation and exclusion appeared if they did not meet these standar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urn personality education in a direction that respects the pluralistic value. Thus, the adult who mediates the picture book needs to listen to the reaction and learning process of the child as a responsive audience.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최혜진(Hye Jin Choi),박리나(Reena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G도에 근무 중인 어린이집 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행복을 측정하는 자기평정척도로 구성된 구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하였고,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와 행복과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와 행복 간에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주변 관계에서 다양한 지지를 이끌어 내고 이러한 사회적 지지는 교사효능감과 행복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a Google survey consisting of a self-evaluation scale to measure teacher efficacy,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was conducted on 240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G-do.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then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cess macro 4.0. Results First, teacher efficacy,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were all above average, and teacher efficacy,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all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has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and it was found that a part of teacher efficacy affects happiness through social suppor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by confirming the role and importance of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s variables that can affect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