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플라톤 독해의 기본전제에 관한 재검토

        박동천(Dong-chun Park) 한국정치학회 2001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3

        플라톤에 관한 전통적인 해석에 담겨 있는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전통적인 해석에서는 플라톤의 정치사상을 다음과 같이 압축한다. (1)개인이 가지는 개별적 의견을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타당한 지식이 존재한다. (2) 그러한 지식만이 우리로 하여금 올바른 정치적 판단에 이르게 한다. 이에 대하여, 본고는 두 단계의 주장을 펼친다. 우선, 그런 식으로 파악되는 “올바른 정치적 판단”이 얼마나 옳은지는 차치하더라도, 그것이 그다지 “정치적”인 것으로 보이지 않는 점을 지적한다. 그런 연후에, 플라톤이 그토록 무리한 주장을 일방적으로 펼쳤다고 볼 수 없는 증거로서, 플라톤의 대화 중에서 몇 구절을 들어 해석한다. 이를 통하여, 플라톤 철학의 본질이 이치(logos)의 본질적인 내용을 우리에게 주입하는 데에 있기보다는 우리가 원하는 이치를 우리가 원하는 만큼 스스로 찾아가라는 데에 있다는 함축을 본고에서는 주장한다. This paper purports to bring into relief some difficulties inherent in the traditional way of reading Plato. Traditional reading delineates Plato's suggestions that: (1) there is a special kind of knowledge which is universally valid and transcendent of particular opinions and (2) only such knowledge will lead us to the correct political judgment. Against this view, this paper sets forth a two-dimensional argument. First, setting aside the question of how correct the "correct political judgment" so understood might be, it does not seem quite "political" at all. Then, I will bring into light some pieces of evidence from the text to demonstrate that Plato did not make such an untenable set of suggestions. By implication, I will try to establish that the gist of Platonic political philosophy is not so much intended to insinuate into us whatever substance of the logos as it is to recommend us to find the kind of logos that we want as much as we want.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소크라테스의 의무

        박동천(Dong-chun Park) 한국정치학회 1995 한국정치학회보 Vol.28 No.2

        사형선고가 부당하니 거기에 복종할 의무가 없다는 크리톤의 권고에 상반되게, 소크라테스는 독배를 기다려 마시겠다고 고집한다. 「크리톤」의 이 장면으로부터 소크라테스가 악법도 법이라는 입장을 취했다는 추론이 행해져 왔다. 이 추론이 얼마나 논리적으로 타당한지를 검토하는 것이 본고의 주제이다. 본고에서 제기되는 주장은 세 부분으로 요약된다. 첫째, 악법에 대한 시민의 정치적 의무라는 철학적 문제가 구체적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취할지의 문제와 동일하지는 않다. 「크리톤」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이 양자를 구분하지 않고 추론을 행함으로써, 해석자의 관심이 원문해석의 내용을 예단하는 오류를 범한다. 둘째, 「크리톤」에 나타나는 대화의 내용에 주목하면 옥중의 소크라테스가 직면한 문제는 철학적 문제라기보다는 삶의 문제임이 분명하다. 본고에서는 우즐리(Woozley)의 해석을 소재로 삼아, 정치적 의무에 초점을 맞추어 「크리톤」을 해석할 때 발생하는 난점을 지적한다. 나아가 삶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면 그 난점들이 어떻게 해소되는지를 보인다. 셋째, 법에 대한 복종의무보다는 정의 및 삶의 의미에 대한 의무를 상위에 놓는다는 점에서, 본고의 해석은 알렌(Allen)이나 콜슨(Colson)의 해석과 상통하는 일면이 있다. 하지만 알렌 등은 소크라테스의 의무를 “...에 대한 의무”라는 식의 언표로 기술할 수는 없음을 간과하고 있다.

      • KCI등재

        비례대표 선거제도의 간추린 역사

        박동천(Park Dong Chu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9 No.-

        비례대표의 발상은 로마 시대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으나, 이 발상을 선거제도로 연결하기 위한 선구적인 노력은 라몬 률과 쿠사의 니콜라우스가 기울였다. 미국과 프랑스에서 혁명이 일어난 후 선거제도의 비례성을 높이려는 본격적인 고안들이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가 유럽 대륙을 풍미하게 되었고, 아일랜드는 단기이양식 투표제를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는 그 변형인 대안투표제를 채택했으며, 독일과 뉴질랜드는 보상식을 사용하고 있다. 인류의 역사에서 비례대표 선거제도는 최근에 시작된 일로서 장차 무한한 갈래의 전개가 가능하다. The inkling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an be traced back in ancient Rome. First designs of voting system based on the idea of proportion were contrived by Ramon Llull and Nicolaus Cusanus in the middle ages. After revolutions in America and France, a variety of electoral methods to enhance proportionality have been conceived and put into practice. Today, most European countries use party lis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reland has adopted single transferable vote since independence from U. K. and alternative voting system has been evolved in Australia as an adjustment from STV. A compensatory form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was synthesized by the Germans in 1949 to be exported to New Zealand later in 1990's.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ame into being at a very recent stage of human political history. There are plenty of rooms for further diversification and evolution.

      • KCI등재
      • KCI등재

        라이프니츠의 이신론적 기독교관과 색은주의 유교관의 상호 영향

        박동천(Dong-chun Park),홍순용(Soon-Yong Ho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14 정치사상연구 Vol.20 No.1

        유럽 문명과 중화 문명이 조우하는 과정에서 영향은 쌍방향으로 흐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19세기 이래 서세동점의 프레임이 지배하다 보니, 이 관계가 일방적이었다는 추정이 만연한 상태다. 본 연구는 17세기에 라이프니츠가 중국에 가졌던 관심에 주목하면서 이 관계가 쌍방향이었다고 주장한다. 그가 중국 문명을 기독교의 사유형식에 맞춰 이해하려고 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동시에 중국에 대한 그의 이해가 깊어질수록 그 자신의 기독교 이해 또한 종전에 비해 보다 포괄적인 방향으로 바뀔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는 유교의 문헌들 속에서 기독교로 추정되는 계시신학의 흔적을 찾아냈고, 이를 통해 중국 철학 속에도 세계를 계획하고 창조한 신의 진리가 숨어있을 것이라는 색은주의의 가설을 세웠다. 라이프니츠의 색은주의적 유교해석은 목적론적 세계관과 기계론적 세계관 사이의 화해라고 하는 그가 평생 추구했던 기획에 대한 극동의 증거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이렇게 중국 문명까지 포섭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된 라이프니츠의 기독교 이해는 일각에서 이단으로 간주되기도 했지만, 그만큼 유럽 문명에는 하나의 의미심장한 갈래를 첨가하였다. When the European and the Chinese civilizations met with each other, influences must have flowed in bilateral ways. This paper tries to show how Leibnitz"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was influenced by his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civilization. He found tinges of Christian revelation in Confucian texts on the basis of which his Figurist interpretation of Christianity could take its final shape. His version of deism was an epistemological merge that played a crucial part in the pursuit of his lifetime to reconcile mechanism with teleology. His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provided a significant extension to European self-understanding as much as was regarded by some as heretical.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윤리적 이데아

        박동천(Dong-chun Park) 한국정치사상학회 2002 정치사상연구 Vol.6 No.-

        소크라테스가 모종의 합리주의적 윤리를 제창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한, 누스바움의 비판처럼 “인간중심적” 시각에 입각한 비판들이 성립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소크라테스에게 윤리란 어떤 합리적 노력에 의하여 해소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는 주장을 개진한다. 외견상으로 볼 때 그가 계속하여 제기하는 질문들은 모두 어떤 합리주의적 전제를 깔고 있는 듯이 보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한 질문과 대화에서 그의 주지는 윤리적 문제들의 실질내용에 대하여 합리주의적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데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핵심적인 대목에 이를수록 얼버무림으로 빠져버리는 우리들의 언어 습관으로 인하여 윤리에 관한 논의들이 금세 벽에 부딪히게 된다는 점을 노정하는 데에 있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그의 시도가 지식과 행동 사이에 문법적 관계를 세우려는 시도임을 우선 이해하는 것이 윤리 및 정치에 관한 그의 언표들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조건인 것이다. 앎과 삶 사이의 그러한 문법적 관계를 노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이득 하니는 앎과 삶 사이의-외부적이거나 도구적이 아니라-내면적 관계을 볼 수 있도록 우리의 시선이 인도될 수 있다. Inasmuch as one takes Socrates to be setting forth a rationalist ethics, criticisms like Nussbaum's in terms of "Anthropocentric" point of view must make sense. The argument in this paper is that ethics for Socrates was not something that could be solved by any rational effort. Although he kept asking in apparently rationalist interrogatives, his point is rather to show that ethical discussion quickly comes to a deaklock because of our habit of linguistic obscurantism than to suggest any substantive possibility of rationalist solution to ethical problems. In other words, understanding that he is trying to establish a grammatical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s an absolute condition for understanding his remarks about ethics and politics. An advantage of revealing such a grammatical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life is to lead us to see the internal - not the external or instrumental - connection between knowledge and life.

      • KCI등재

        한국 민주주의의 개념과 현실

        박동천(Dong-chun Park) 한국정치사상학회 2006 정치사상연구 Vol.12 No.2

        한국의 현대 정치사에서 민주주의라는 단어는 주로 모종의 정치적 이상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되어 왔다. 독재가 아닌 정치를 지향하는 소극적인 의미는 한국인의 정치의식에서 분명하게 공유되었지만, 대의, 부패의 제거, 법치, 사회적 의사소통, 양극화의 해소 등과 같은 실질적 정책현안들에 관하여 민주주의라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느냐고 하는 적극적인 방향의 관심은 발전하지 못하였다. 이 때문에 현재 일각에서 벌어지고 있는 민주주의 공고화 담론이 현실에 대한 적실성을 가지지 못한다. 독재의 우려가 불식된 현재의 한국 사회에서는 민주주의를 일단 하나의 특정한 정치제도로 이해할 필요가 있고, 절차적 민주주의에 내재하는 수많은 “문제점”들에 관한 논의들은 민주주의의 문제로 뭉뚱그려 논하기 보다는 각각의 세부주제로 논하는 것이 정치적 의사의 결집을 위해 도움이 될 것이다. The term of “democracy" has been used to designate a certain political ideal in modern Korean political history. While the negative sense of democracy as something in opposition to dictatorship has been widely shared in Korean political consciousness, it has been rarely asked and discussed what democracy should have to do positively with such practical policy agenda as representative government, management of class polarization, the rule of law, social communication, etc. Hence, discourses around so called “democratic consolidation” do not seem to be sufficiently relevant to the way in which Korean political society find and deal with its own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that democracy had better be understood minimally as a certain form of proceduralistic organization of society in the present Korea where any fear of dictatorship is practically needless, and that each of all the problems which could be posed to exist in an only procedurally democratic society should be taken separately on its own rather than as a part of the over-arching problem of democratization.

      • KCI등재후보

        인문학과 정치학

        박동천 ( Dong Chun Par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6

        어떤 사회이든지 공동기획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사업을 어느 정도는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진실을 확인하는 역량이 필수적이다. 진실을 확인하는 역량을 시민들이 어느 정도로 보유하느냐에 따라 공동체의 깊이가 좌우된다. 특히 프레임의 존재에 대한 비판적 인식, 진실을 발굴할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를 분별하는 균형감각, 그리고 권력과 진실이 현실에서 결부될 수밖에 없지만 양자를 개념적으로 구분하는 능력 등이 중요하다. 이러한 능력을 사회적으로 배양하는 주역은 인문학의 몫이다. 인문학은 한편으로 외부적 영향에 휘둘리지 않고 주제의 진상에만 집중하는 임무와 동시에, 언어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공동체 안에서 실존적인 위치를 설정해야 하는 임무를 지닌다. 이 때문에 사회연구는 과학보다는 인문학에 속한다. 사회를 연구한다는 것은 인간을 이해하는 것이며,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서는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인간의 행태에 관한 연구자의 서술을 행위 당사자들이 이해할 수 있느냐는 문제가 과학에서는 불필요한 반면에 사회연구에서는 필수적인 고려사항이다. 정치학은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삼을 때에 정치학 본연의 임무를 더 잘 수행할 수 있다. Every society has to perform some form of project in the name of community from time to time. And truth matters, at the least, as to whether the project is indeed to the interest of the community. The societal capability to find truth when it matters regarding the common project signals the depth of commonality of a society. This paper stresses three points in terms of which the truth-finding capability can be developed in individual minds: critical understaning of grammatical frames in which our language make sense, a certain sense of balance to discern when it is worthwhile to dig into the truth of the matter and how far, and conceptual clarity to distinguish between voices of truth and power contained in every statement one happens to come across. Developing this capability is one of the main tasks of intellectual pursuits called humanities. The role in human societies of humanities is to elaborate, on the one hand, the outlook from which truths of whatever matters are put in view independently of external and irrelevant influences, and, on the other, the perspective in which the student sees where he or she stands in relation to the linguistic community he or she belongs to. Here arises the point as a corollary that political studies are characteristically closer to humanities than to sciences. To study societies is to study human beings, and to study them in their languages. Descriptions of human behavior ought to pass the test what sense the actors make of them, whereas it is simply irrelevant to ask what sense the subjects whose behavior is described by scientists make of the descriptions. Political studies is more like to hit close the mark when it proceeds as a form of human studies.

      • KCI등재

        권위의 개념에 대한 외면적 접근과 내면적 접근

        박동천 ( Park¸ Dong-ch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0 가톨릭철학 Vol.0 No.14

        권위는 영향력의 한 형태이지만 영향력 중에서는 수용자 편의 주체적인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권위를 단순히 영향력의 한 형태로 여기는 데서 그치면 이 특징을 전혀 건드리지 못한다. 권위의 종류를 분류하는 방식으로도 역시 권위 자체가 무엇인지에는 침투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외면적인 접근에 대비해서 본고에서는 내면적인 접근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내면적 접근은 어떤 개인이 어떤 사람이나 정책 또는 제도나 관습을 권위적이라고 받아들이는 데에는 그것이 어떤 정도로든 옳다는 감각이 작용한다는 차원을 강조한다. 물론 이 차원에 주목하게 되면, 무엇에서 어떤 권위를 얼마나 받아들이느냐는 문제가 각 개인이 어떤 성향을 가지고 무엇을 추구하느냐의 문제와 내면적으로 얽혀있다는 측면 역시 중시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권위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작업이 진행하다보면 결국 일정한 활동분야에 실존적으로 참여한 상태의 판단을 피할 수 없는 지점을 만나지 않을 수 없다. 정치적 권위를 탐구하는 사람이라면 해당 사회의 정치적 현안에 대한 나름의 평가를 피할 수 없는 지점을 만나게 되는데, 그 지점이야말로 철학과 정치가 서로 소통해야 하는 지점이다. Authority is a form of influence whose main characteristic consists in the fact that some role as an actor is conceptually presupposed on the part of the recipient if what is being received is to be properly called authority. Any account which stops at regarding authority as a form of influence can never touch on this characteristic while attempts to classify different kinds of authority neither are able to penetrate into the gist of what authority is. In contrast to these approaches from the external outlook, this paper suggests an approach that may help to bring into view what can only be seen of authority from the internal perspective. The internal approach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dimension that a sense of right plays an important part in one’s taking somebody or a certain set of policies, institutions, or customs as authoritative. Sensitivity to this dimension is likely to lead our attention to another that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uthority is internally connected with such particular considerations as what authority matters to who engaged in what sort of pursuits with what propensities and values, etc. Therefore, an inquirer into what authority is has to meet in the course of the inquiry a point at which he has to participate in evaluating things in the first-person terms. If the inquiry is about political authority, that point is exactly where philosophy and politics hav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