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사계성 딸기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CO<sub>2</sub>와 ClO<sub>2</sub>가스의 전처리 효과

        박도수,정천순,Park, Do Su,Jeong, Cheon Soon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5

        본 연구는 여름철에 사계성 딸기품종인 'Goha'와 'Flamengo'의 수확 후 신선도 유지를 위해 $CO_2$(90%)와 $ClO_2$ 가스($5{\mu}L{\cdot}L^{-1}$)의 복합전처리를 통한 신선도 연장 기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CO_2$ 및 $CO_2$ + $ClO_2$ 처리구에서 'Goha'와 'Flamengo' 2 품종 모두 저장기간 동안 비교적 낮은 호흡률을 보였다. 수분손실률의 경우 $CO_2$ + $ClO_2$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1% 가량 낮았으며, 'Goha'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가장 적은 수분손실을 보였다. $CO_2$ + $ClO_2$ 복합전처리가 당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과실 경도는 $CO_2$ 및 $CO_2$ + $ClO_2$ 처리구에서 'Goha'는 저장 15일 약 2.15N, 'Flamengo'는 2.37N으로 나타나서 타 처리구에 비해 약 30% 가량 높게 유지되었다. 부패과는 저장 6일부터 관찰되기 시작했으며, 대조구에서는 두 품종 모두 저장 10일째 부패과 발생율이 20%를 상회하였다. 그러나, $ClO_2$ 처리 및 $CO_2$ + $ClO_2$ 처리구는 저장기간 동안 가장 낮은 부패율을 나타냈으며, 특히 'Goha'에서 저장 10일까지 5% 내외의 부패율을 보여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사계성 딸기의 신선도 연장을 위해서는 $CO_2$ + $ClO_2$ 복합전처리를 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intain the postharvest shelf-life of summer strawberry cultivars 'Goha' and 'Flamengo' through $CO_2$ (90%) and $ClO_2$ gas ($5{\mu}L{\cdot}L^{-1}$) pre-treatment. The respiration rate of 'Goha' and 'Flamengo' treated with $CO_2$ and $CO_2$ + $ClO_2$ was the lowest during storage. The weight loss with $CO_2$ + $ClO_2$ treatment was about 1%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Goha' was the lowest during storage. The pre-treatments effect on soluble solids contents was minimized. The firmness with $CO_2$ and $CO_2$ + $ClO_2$ treatments was only about 30% higher than $ClO_2$ and control. The firmness of 'Goha' was about 2.15N and 'Flamengo' was 2.37N, 15 days after storage. Decayed fruit was shown from after 6 days after storage in control. Control group lost quality 10 days after storage due to decayed fruit rate 20% of 'Goha' and 'Flamengo'. $CO_2$ and $CO_2$ + $ClO_2$ treatments showed the lowest decay rate during storage. Especially, 'Goha' showed around 5% decay fruit rate 10 days after storage. As a result, $CO_2$ + $ClO_2$ pre-treatment is recommended to extend the shelf-life of the summer strawberries.

      • KCI등재

        에틸렌 발생 tablet 제조 및 활성 최적 조건 구명

        박도수,정천순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6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3 No.2

        Ethylene (C2H4) is a naturally occurring hormone in some frui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nufacture ethylene-producing tablets. The Ethylene-producing tablets were manufactured from ethephon and excipient mixtures, including Prosolv,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PMC) and Crosscamellose. Ethylene produc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s in temperature. In the aspect of pH condition, ethylene productions at pH 7.0 and pH 9.0 were less than 2 ppm. On the other hand, at pH 13.0, ethylene production from the Prosolv, HPMC, and Crosscamellose tablets was 94.05, 126.28, and 100.11 ppm, respectively. The friability of the Prosolv and HPMC tablets were 0.1 and 0.3%, respectively, while the Crosscamellose tablet was 54.1%. indicating that the Crosscarmellose tablet was not appropriate as an ethylene production tablet. In addition, there were huge variations in disintegration times; the Prosolv, Crosscamelose, and HPMC tablets took 1, 5 min, and 7 min more than respectively. Ethylene production was gradually increased up to 20 hr for the Prosolv tablet and then remained stable.

      • Alloxan 당뇨병가토에 있어서 Tolbutamide 투여가 신장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박도수,손태중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5 慶北醫大誌 Vol.16 No.1

        저자는 백색 숫놈 가토에 체중 1 ㎏당 130㎎의 alloxan을 투여하여 alloxan 당뇨가토를 만든 후, 항경구 당뇨제인 tolbutamide를 체중 1㎏당 100㎎ 및 200㎎을 3개월 및 6개월간 투여하고 신장의 영향을 검색 하여 얻은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광학현미경으로는 alloxan 당뇨가토나 여기에 tolbutamide를 계속 투여한 군에서나 다같이 사구체에 있어서는 충혈 부분적인 혈전형성이, 그리고 세뇨관주부에 있어서는 공포성 변성이 일어났으나 이들은 모두 경하였다. 2. 전자현미경으로는 alloxan 당뇨가토에 있어서는, 사구체에는 foot process의 부분적인 융합, 내피세 포 변연의 불규칙 mesangial matrix의 비대와 그내의 기저막양 fibrils의 증가, mesangial cell에는 교 원원섬유와 기저막양 filament의 증가가 있었고 세뇨관주부세포에는 mitochondria의 모양 및 배열의 불 규칙과 종창, lysosme의 증가 그리고 microvilli의 불규칙등이 있었는데 이는 경한 것이었으나, 3개월 투여군 보다는 6개월 투여군에서 좀더 현저한 편이었다. 그리고 alloxan 당뇨가토에 tolbutamide를 계속 투여한 군에서는 상기한 alloxan 당뇨가토에서 볼 수 있는 변화가 더 심하였고, 그 외에 alloxan 당뇨가 토에서는 볼 수 없던 mesangial matrix 내의 높은 전자밀도를 가진 물질의 저류, mesangial cell의 ER의 심한 확장등이 있었다. 이변화들은 tolbutamide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하여지는 경향이었다. 3. PAM 염색으로는 mesanigal cell내의 교원원섬유와 세뇨관주부세포내에서 PAM 양성으로 나타나는 물질 을 확인하였다. 4. 이상의 연구성적으로 보아 alloxan 당뇨가토에 tolbutamide를 계속투여하면 alloxan 당뇨가토에 볼 수 없던 변화들이 주로 mesangium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mesangium에 나타난 상기한 변화들은 tolbutamide 투여와 관계가 있지 않을까 생각되며, 더우기 사구체에 있어서의 이 세포의 역할을 고려할 때 고혈압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 변화는 주목할만한 소견이 아닌가 생각된다. The author studied the effects of tolbutamide on the fine structures of the alloxan-diabetic rabbt kidney. Diabetes was induced by The administration of alloxan 130 ㎎ per ㎏. of body weight to the rabbits. And then the diabetic animals were administered 100㎎ and 200 ㎎ per ㎏. of body weights of tolbutamide for 3 and 6 months,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1. Light microscopically, congetion and partial formation of thrombus in the glomeruli, and vacuolar degeneration in the renal tubules were observed in both alloxan-diabetic and tolbutamide administered rabbits. But the changes were mild. 2. Electron microscopicrcally, alloxan-diabetic rabbit renal glomeruli showed pertial fusion of the foot processes, irregularities of the endothelial margins, hyperplasia of the mesangial matrix with increase of basment membrane like fibrils within the matrix, and increase of collagen fibers and basement membrane like within the mesangial cells. The proximal convluted tubular cells showed swelling and irregular arrangement of the mitochondria, increase of the lysosomes, and irregularity of the microvilli. All of the changes were mild, but they were more marked in the 6 month administered group than in the 3 month group. In the tolbutamide administered diabetic animals, more marked similiar changes were also observed. In addition to the above changes, re tention of electron dense materials within the mesangial matrix, and marked dilatation of the ER of mesangial cells were also observed in tolbutamide treated animals. These changes were more severe in high dosage administered animals. 3. With PAM staining, collagen fibers in the mesangial cells and PAM positive materials in the proximal convoluted tubular cells were confirmed. 4. According to these findings, toltutamide treatment on the alloxan-diabetic rabbits may inducthe changes of mesangium, because alloxan-diabetes alone do not make such changes. Since these cells are intimately related to hypertension, these findings are to be very important.

      • KCI등재

        에틸렌발생 타블렛이 토마토 후숙에 미치는 효과 검증

        박도수 ( D S Park ),정천순 ( C S Jeong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5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에틸렌 가스와 개발한 에틸렌 발생 타블렛을 토마토 수확후 후숙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색도 변화는 에틸렌 및 타블렛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착색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Hunter ``a`` 값의 경우 수확직후 -13.69에서 저장 3일 대조 구는 -3.78로 증가한 반면, 에틸렌 처리구 7.93, 타블렛처리구 8.65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경도변화는 8.02 N에서 처리직후 대조구는 5.06 N, 에틸렌 처리구 2.78 N, 타블렛 처리구 3.26 N으로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라이코펜 함량 또한 대조구에 비해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에틸렌 발생 타블렛과 에틸렌 가스 처리가 토마토 수확후 후숙에 미치는 효과는 유사하였고, 15℃ 보다는 25℃ 조건에서 처리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existing shortcomings ethylene treatment to supplement ethylene producing tablet development and verify the effects on tomato ripening. The coloring was speeding in ethylene gas and ethylene producing tablet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ase of hunter ``a``, the store three days control group increased from -13.69 to -3.78. On the other hand, ethylene treatment 7.93, ethylene producing tablet 8.65,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ase of firmness, the store one days control group decreased from 8.02 N to 5.06 N. Ethylene gas treatment group 2.78 N, ethylene producing tablet treatment group 3.26 N, declined immediately after harvest in the 8.02 N. Lycopene content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Ethylene gas and ethylene producing tablet effect on the tomato ripening were similar. The treatment effect of 25℃ was clear than 1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