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羅王陵의 風水的 特性 硏究

        박대윤(Park, Dae-Yoon) 비교민속학회 2017 비교민속학 Vol.0 No.62

        본 연구는 경주역사유적지구 남산지구 내 신라 박씨 왕릉의 지리적 입지환경을 현대 풍수이론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박씨 왕릉은 자연과 조화로운 풍수적 조건을 갖춘 지형에 배산임수의 풍수원리가 적용된 정서향의 묘좌유향(卯坐酉向)으로 확인된다. 풍수적 특성으로는 첫째, 경주오릉과 배동삼릉은 동일혈장 내 군집형(群集形) 왕릉으로서 그 특이성이 있다. 둘째, 형세론에 의하면 일성왕릉과 배동삼릉은 중급왕릉, 경주오릉과 지마왕릉은 보통급왕릉, 경애왕릉은 빈약한 하급왕릉으로 구분된다. 셋째, 자연 친화적인 장법(葬法)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신라 왕릉은 국가안위와 번영을 위해 왕궁과 인접한 곳에 조영함으로써 백성과 더불어 호국정신의 지주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신라 박씨 왕릉의 풍수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문화유산적 가치를 증대시키고, 풍수지리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는 등 문화유산 연구에 합리적인 방안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신라 박씨 왕릉의 풍수적 입지환경을 이해하는데 있어 좀 더 친근해 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analysis based on modern Feng Shui of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of the Park’s royal tombs in the Namsan district within Gyeongju Historic Area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rk’s royal tombs belong to Myojwayuhyang(卯坐酉向), with a mountain in the back and water in the front, forming harmony with the nature. Regarding Feng Shui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First, Gyeongjuoreung (慶州五陵) and Baedongsamreung(拜洞三陵) have the characteristics as ‘cluster type’ royal tombs within Hyeoljang (穴場) of the same area. Second, according to the locational condition theory, Ilseongwangreung(逸聖王陵) and Baedongsamreung(拜洞三陵) are classified as middle class royal tombs; Gyeongjuoreung(慶州五陵) and Jimawangreung(祗摩王陵) as normal-level royal tombs; and Gyeongaewangreung(景哀王陵) as a low-class royal tomb. Third, the tombs were found to have used an environmentally-friendly burial method. Based on the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Silla royal tombs were built near the royal palace as a wish for national security and prosperity, acting as foundation of patriotism for the people.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value of the Park’s royal tombs of the Silla dynasty as cultural heritage by analyzing the Feng Shui characteristics, and provided academic basis for research on Feng Shui and cultural heritage. Also,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help better understand the location and environment of the Park’s royal tombs of the Silla dynasty based on theories of Feng Shui.

      • KCI등재

        조선 성종 태봉(胎峰)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박대윤(Park Dae-yoon),천인호(Cheon In-h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3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성종 태실의 초장지와 이장지를 풍수지리적으로 상호 비교하여 그 특징을 규명하는데 있다. 장태풍속은 인간생명에 대한 외경과 존중심을 나타내는 고유문화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장태의 의미는 풍수적 명당에 태를 안치함으로써 동기감응에 의한 왕실의 번성, 무병장수, 무탈한 성장 등을 기원하는 것이었다. 풍수지리 이론에서 음택 풍수는 조상의 체백을 길지에 매장하여 땅의 생기를 받고 이것이 후손과의 감응을 통한 발복이라는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태봉풍수는 당사자의 태가 명당 길지의 생기에 접하여 감응하므로서 본인이 발복한다는 양택풍수의 발복 메커니즘과 유사하다. 기본적으로 장태는 풍수에 근거하고 있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주로 고미술사학, 역사학, 민속학적 측면에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풍수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 왕실의 태봉 중 이장경력이 있는 성종 태실의 초장지와 이장지를 풍수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 성종 태봉은 초ㆍ이장지 모두 지기가 강하게 응축되어 있는 돌혈(突穴)명당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장풍국의 산곡돌혈에서 득수국의 평지돌혈로 이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장지인 산곡돌혈은 장풍국으로서 사신사 등의 국세를, 이장지인 평지돌혈은 득수국으로서 수세를 더욱 중요시하여 ‘산곡에서는 장풍, 평야에서는 득수가 중요’하다는 풍수고전 이론이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선국왕의 초ㆍ이장지 태봉에 대한 최초의 연구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으나 지역적 한계점과 초ㆍ이장지만을 가지고 풍수적 판단을 내리는 것은 논리적 비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조선왕의 태봉을 모두 조사하여 풍수적 판단과 적용된 풍수이론을 규명하는 연구가 향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ed on Taebong(胎峰: mountaintop where placenta is buried) of Sungjong(成宗), the 9th King of Joseon(朝鮮), performs comparative analysis on feng-shui geographical position of initial and moved Taebong and purpose of it is to retain appropriate feng-shui implication. Reason for selecting Taebong of Sungjong as the research subject is because Taebong holds record of being moved and thus is appropriate for stating the feng-shui difference. The custom of burying placenta(胎) is a living ritual expressing respect upon human life and it can be seen as an exclusive culture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burying placenta is to wish for abundance and development of descendants, and influence of feng-shui geographics was considerably great. Feng-shui theory is a mechanism which works in process of allowing descendants to encounter good fortune by burying their ancestors in a good land. Accordingly, to bury placenta underground is an attempt of receiving a good fortune by forming harmony with the energy of land. In Korea, research on Taebong has been progressed mainly in the fields of art history, historical studies, and folklore. However, feng-shui research, one of the most important backgrounds, is insufficient as of today. As a result of research, initial Taebong of Sungjong and Taebong of Sungjong moved afterwards share a commonness that the energy of land is strongly gathered at Dol Hole(突穴: shape of risen hole). However, It has been indirectly analyzed that the initial Taebong is located at a mountain whereas the moved Taebong is located at a primary pla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ashinsa(四神砂: shape of hole surrounded by four mountains) was considered important for Taebong located at a mountain and the flow of water was considered important for Taebong located at a flatland.

      • KCI등재

        世界遺産 半月城의 風水的 分析과 活用에 관한 硏究

        박대윤(Park, Dae-Yo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1

        This research analyzed geographical natural environment of a thousand year old capital Gyeongju Banwolseong based on modern Feng Shui theory. As the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Banwolseong was located by the influence of Feng Shui idea. Feng Shui characteristics of Banwolseong are, first, it is a state well prepared with Sasinsa(四神砂: shape of hole surrounded by four mountains), as the best Feng Shui propitious site in royal district. Second, Jusan(主山) and Hyunmoo(玄武) are lucky stars(吉星) as Geumseongche(金星体), while Ansan(案山) is bigger and more grand than Hyunmoo(玄武), as well as threatening. Third, SuSe(水勢: capacity of water and appearance to embrace) is a U-shaped semi-archer, however it is the well(有情) to phenomenon of Muncheondosa(蚊川倒沙). Fourth, Hyunmoo(玄武) has a strong collective characteristic of land energy as a cubic structure, and the royal palace is facing the south. Also, as the Feng Shui supplementa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Banwolseong, this research suggested for Feng Shui Bibo(風水裨補) plan, such as restoration of castle wall, installing Sujungbo(水中洑) in Muncheon(蚊川) upstream, and forest in the water entry(水口), etc, and created a storytelling scenario of Feng Shui tour based on Feng Shui characteristics of Banwolseong as a plan for uti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As the above,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hat it expanded historical value of Banwolseong by suggesting the frame of Feng Shui analysis, supplementation and utilization plan of World Heritage Banwolseong, and more activated prosperity of Feng Shui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in Gyeongju.

      • KCI등재

        世界遺産 慶州 佛敎遺跡의 風水的 特性 硏究

        박대윤(Park, Dae-Yoon)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101 No.-

        본 연구는 세계유산에 등재된 경주 석굴암•불국사•황룡사지의 자연지리 환경을 현대 풍수이론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사찰의 입지배경은 당시 정치•사회적 현상, 불교사상적 현상 등 복합적인 작용과 풍수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 사찰의 풍수적 특성으로는 첫째, 입지형태가 상대의 평지 사찰에서 중•하대로 갈수록 산지 사찰로 변화하고 있다. 가람배치는 산지 사찰은 배산임수의 풍수원리에 적합하고, 평지 사찰은 방위우선의 남향을 선호하고 있다. 둘째, 주산(主山)은 목성과 금성체의 길성(吉星)이고, 안산은 눈썹과 가슴 높이 사이에 있어 이상적이다. 셋째, 산지 사찰은 용세와 국세, 혈장사신사가 잘 갖추어진 장풍국에, 평지 사찰은 득수국에 위치하고 있다. 넷째, 혈의 형태는 석굴암은 유(乳)혈, 불국사는 겸(鉗)혈, 황룡사지는 와(窩)혈로서 각 지형지세에 부합한다. 이와 같이 이들 사찰은 공통적으로 배산임수의 풍수원리와 자연 친화적으로 조성되었다. 그리고 풍수적 특성에 따라 석굴암은 기도처로서, 불국사는 국민통합을 위한 화엄 사찰로서, 황룡사는 호국 사찰로서의 각 역할이 확인된다. 본 연구는 석굴암•불국사•황룡사지의 풍수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문화유산적 가치를 증대시키고, 풍수적 입지 환경을 이해하는데 보다 더 친근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natural geographic environment of registered World Heritage Sites including Seokguram, Bulguksa, and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with modern feng shui theory. The results show that the locational backgrounds of the temples were affected by feng shui thought and complex effects including sociopolitical phenomena and Buddhist thought. The feng shui characteristics of the temples include, first of all, a transition from a locational form of flatlands early on to gradually mountainous areas in the middle to late periods. In terms of temple arrangement, mountain temples are suitable for the feng shui principle of Baesanimsu, while flatland temples prefer a southward direction that prioritizes defense. Second, the Jusan(主山) is the auspicious star of Jupiter and Venus, while Ansan(案山) is ideal as it is at a height between the eyebrows and chest. Third, mountain temples are located in Jangpoongguk(藏風局) which are well equipped with Yongse(龍勢), Gukse(局勢), and Hyeoljang-Sashinsa(穴場四神砂), while flatland temples are located in Deuksuguk(得水局). Fourth, in terms of the form of Hyeol(穴), each match their geographical features, with Seokguram at Yuhyeol(乳穴), Bulguksa at Gyeomhyeol(鉗穴), and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at Wahyeol(窩穴). In such a way, these temples were commonly created to be naturally friendly with the feng shui principle of Baesanimsu. Furthermore, each role of the temples were confirmed according to their feng shui characteristics, with Seokguram as a place of prayer, Bulguksa as a Hwaom(華嚴) temple for national unity, and Hwangnyongsa Temple as a patriotic temple. The present study increases cultural heritage values by analyzing the feng shui characteristics of Seokguram, Bulguksa, and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and aids understanding toward the locational environments of feng shui.

      • KCI등재

        에너지 전환에 의한 동축 섬광관 펌핑 Rhodamine 6G 색소 레이저의 출력 증가

        장원권(Won Kweon Jang),이민희(Min Hee Lee),박대윤(Dae Yoon Park) 한국광학회 1993 한국광학회지 Vol.4 No.2

        Rh-6G(Rhodamine 6G)를 주색소로 하고 C-546(Coumarin 545)를 첨가색소로 하는 펄스형 혼합 색소레이저의 출력을 조사하였다. 동축형의 섬광관을 펌핑 광원으로 이용하였으며 Rh-6G 단일 색소로 발진할 경우 전기 입력 에너지가 346 J일 때 첨두 출력과 에너지는 각각 27 ㎾, 50 mJ이었다. Rh-6G의 흡수스펙트럼과 일치하는 형광 스펙트럼을 갖는 C-545를 에너지 주개로 선택하였다. Rh-6G의 농도를 최적농도인 1×10-⁴ ㏖/l로 고정하고 C-545의 농도를 1×10^(-7) ㏖/l부터 변화시키면서 혼합 색소에 대한 레이니저의 출력 특성을 조사하였다. C-545의 농도가 Rh-6G 농도의 0.4%일 때 출력 에너지는 약 70% 증가하였다. The output energy of Rh-6G dye laser was enhanced by the energy transfer in the mixture of Rh-6G and C-545. The laser was pumped by coaxial flashlamp filled argon gas.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Rh-6G was 10-⁴ ㏖/l without mixing. The output energy was enhanced about 70 % at 0.4% C-545 mixture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of Rh-6G. The peak output power and the output energy were 27 ㎾ and 50 mJ at the pumping energy of 346 J.

      • KCI등재

        XeCI 엑시머 레이저에서의 Pulse Stretching 효과

        주홍(Hong Chu),김동환(Dong Hwan Kim),이수만(Soo Man Lee),전영민(Young Min Jhon),최상삼(Sang Sam Choi),박대윤(Dae Yoon Park) 한국광학회 1993 한국광학회지 Vol.4 No.4

        용량이행형 방전회로를 이용하여 장펄스 XeCI 엑시머 레이저를 발진 시켰으며, 펄스폭은 150㎱ (FWHM)이었다. 펄스폭에 영향을 미치는 가스분압 및 capacitance의 비에 따른 펄스폭의 변화를 관측하였으며, 이로부터 단펄스에서 장펄스로의 발진을 쉽게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일정 가스 혼합 비율 ([Xe]/[HCI]=15)의 상태에서 HCI과 Xe가스의 분압이 감소함에 따라 광 펄스폭의 최대 변화량은 125㎱이었고, 일정 압력 하에서의 capacitance비(Cm/Cp) 변화에 따라 늘어나는 광 펄스폭의 변화량은 60㎱이었다. Long pulse XeCI excimer laser with 150㎱ (FWHM) pulse duration is developed using a simple capacitor-charge transfer circuit. We measured the laser pulse width varying the gas mixture ratio and capacitance ratio, which dominantly affect the pulse width. In this way we can easily stretch the pulse width from short pulse to long pulse. The pulse width was stretched by 120㎱ as the partial pressure of HCl and Xe gas was reduced under constant gas mixture ratio ([Xe]/[HCI]=15), and by varying the capacitance ratio (Cm/Cp) under fixed pressure, the pulse width was stretched by 6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