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BK21 사업 방향과 과제

        박남기,Park, Nam-Gi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6 大學敎育 Vol.139 No.-

        인문사화과학 분야 사업이 훗날 긍정적인 평가를 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금 하고자 하는 것이 학자는 물론 교육부도‘꼭 해야 하고 반드시 하고 싶은 것’인가를 생각하며 해야 한다.

      • 미국의 고등교육개혁

        박남기,Park, Nam-Gi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7 大學敎育 Vol.150 No.-

        고등교육개혁에 대한 강한 요구는 세계 각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추세이며, 미국 또한 고등교육 이수자 공급의 부족, 높은 등록금으로 인한 계층 간 격차 심화 및 비효율성의 문제, 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약화 등과 관련하여 개혁의 목소리가 높다. 여기에서는 미국 고등교육의 이러한 문제점들과 미국 사회가 고등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방정부나 주정부차원에서 어떤 노력을 행하고 있는지, 또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 교수의 역할과 자질

        박남기,Park, Nam-Gi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6 大學敎育 Vol.140 No.-

        대학교수는 강의, 학생지도, 연구, 봉사 등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학교수는 사회의 깨어있는 파수꾼의 역할이다. 사회가 바른 방향으로 나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수가 늘 깨어있는 지성인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공지능과 윤리적 이슈

        박남기(Namkee Par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0 언론정보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이슈에 대해 알아보고 철학, 윤리학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와 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과 관련한 윤리적 이슈의 이해와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인공지능이나 로봇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이 가장 중요한 틀과 기준이 됨을 제시하였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윤리적 이슈가 제기되는 세부 영역과 쟁점들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로봇 저널리즘과 인간-인공지능 상호작용 영역을 들어, 주요 이슈와 관련 연구의 현황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경험적 연구의 부족을 보완하고 향후 연구를 진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탐색적 연구를 통해 연구 어젠다의 제시와 함께 경험적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탐색적 연구는 전국 대표표본을 이용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인공지능 사용자들은 본인이 비윤리적 행동이나 비윤리적 언어를 사용하더라도 인공지능 로봇은 윤리적인 측면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반응해 줄 것을 기대함을 발견했다. 또한 비윤리적 행위나 언어사용의 행위자가 본인일 때보다 제3자일 때 인공지능 로봇이 더 높은 수준의 도덕적 기준을 적용할 것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의 비윤리적 행위나 언어사용에 대해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주기를 기대하는 사회적 인식을 보여준다. 이는 또한 사용자들이 부분적으로나마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공지능의 역할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인공지능과 관련된 윤리문제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적 측면에서 현실에 적용될 수 있는 기준과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ethical issu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us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recent years. First, the study explored the research and discussions from the disciplines of philosophy and ethics. It found that ontological perception toward AI and robots could be the most important framework and standard for the understanding of, and the solution for ethical issue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AI.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sub-areas and their ethical issues in the study of communication, including robot journalism and human-AI interaction. Finally, the study introduced an exploratory study that examined users" attitude toward the responses and role of AI robot when the users committed unethical behaviors or unethical language use. The exploratory study uncovered that the users expected socially desirable responses and ethical guideline from AI robot even when they were involved in unethical behaviors or unethical language use. Moreover, the users expected a higher moral standard when unethical behaviors or language use were committed from the third person, compared to when such behaviors were committed from the users themselv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I users perceive AI robots as partially moral and responsible ag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tudy of communication in that it offers both an ethical guideline that can be applied to the use of AI and an opportunity that promotes empirical studies relevant to ethical issues in the study of communication.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의 정책과 방향 탐색

        박남기(Park Namgi) 한국리터러시학회 2011 리터러시 연구 Vol.- No.3

        이 논문은 우리나라 대학 교양교육이 당면한 과제를 밝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탐색하되 궁극적으로는 글쓰기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우리나라 대학 교양교육의 당면과제와 그 극복방안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정책 방향을 탐색해보았다. 당면과제는 대학 교육과정 개편 주체의 한계, 대학 교양 담당교수, 대학 신입생 수 감소와 교양교육 위기, 그리고 대학 교양교육 내용 문제 등의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 방향을 탐색했는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교양교육의 도구적 가치(유용성)의 의미를 재해석하였다. 이어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 차원에서 교육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finding out challenges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suggesting policies to overcome those challenges. This research categorizes the challenges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s resistance from faculty members who have power to revise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lecturers’ quality and motivation problem, crisis of liberal arts education caused by students’ requests and decreasing demand, and contents of liberal arts.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policy directions of writing education as one of liberal arts education. Finally, it suggests the way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y.

      • KCI등재

        대통령의 내각운영 유형과 장관 임명 배경에 따른 교육부장관 리더십 사례 연구

        박남기(Park, Namgi),임수진(Lim, Soo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3

        이 연구는 우리 교육을 이끌어가는 수장인 교육부장관의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어 대통령의 내각운영 유형과 임명 배경에 따른 교육부장관 리더십 사례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역대 교육부장관 5인과 전직 교육부 공무원 4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집담회라는 직접면담을 수행하였고, 추가로 간접면담과 문헌 분석도 함께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제왕적 대통령제 하에서 교육부장관은 법적 권한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은 임명 배경(실세형/전문가형)이나 대통령과의 관계, 대통령의 내각운영 유형(집권형/위임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대통령이 위임형 통치를 하고 교육부장관을 신뢰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대통령과 청와대의 정치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교육 수장인 교육부장관이 긴 호흡으로 교육과 국가의 미래를 밝혀가기 위해서, 그리고 교육의 정치적 중립이라는 헌법적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행정적 정치적 리더십의 균형감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leadership of the education minister, who leads our education, to explore examples of leadership based on the background of appointment and the type of presidential leadership.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former education ministers and four public officials of MOE(Minister of Education), and indirect interviews with literature analysis show that under the imperial presidency, the education minister resembles an avatar of the president, who is in Blue House despite his legal authority. Although the legal status is higher than that of education superintendent, it has been confirmed that he has less power to exercise. Of course, it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f the president has a mandate and trusts the education minister. Despite the political demands of the president and Blue House, this characteristic is that the education minister, will keep the constitutional values of education and political neutrality of the nation through long breath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