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능적 소득분배와 장기 경제성장 - 노동소득분배율과 지출부문별 GDP의 공적분 분석 -

        박강우(Kangwoo Park),서영선(Youngseon Seo) 한국경제발전학회 2018 經濟發展硏究 Vol.24 No.1

        본고에서는 기능적 소득분배를 나타내는 노동소득분배율과 전체 및 지출부문별 GDP 간 장기 균형관계의 존재 여부와 방향을 검증하기 위해, OECD국가의 자료를 이용하여 패널 공적분 검정 및 추정과 인과관계 검정을 수행하였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edroni(1999, 2004)의 패널 공적분 검정을 수행한 결과, 노동소득분배율과 전체 및 지출부문별 GDP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노동소득분배율은 전체 GDP는 물론, 대부분의 지출부문별 GDP와 장기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공적분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의 유의성 정도는 지출부문별로 다소 차이가 있는데, 소비가 가장 강하고 투자와 수출의 경우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Toda and Yamamoto(1995)의 인과관계 검정을 시행한 결과, 노동소득분배율에서 전체 GDP 및 소비, 투자로의 일방향 인과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장기 성 장전략으로서 ‘임금주도형 성장’ 또는 ‘소득주도성장’의 유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최근 상황에서, 본고의 장기추세 분석 결과는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기한다.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relation between functional income distribution and long-run growth, this paper tests and estimates the cointegration of labor income share with GDP and its demand components, employing OECD panel data.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pplying Pedroni(1999, 2004) panel cointegration test, we find that labor income share is significantly cointegrated with GDP and its demand components. Second, as for the sign of cointegrating coefficients, labor income shar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DP and most of its demand components. However, there exist some differences in the magnitud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cross GDP’s demand components; private consumption is the most robustly cointegrated with labor income share, while investment and export are relatively weakly cointegrated. Third, applying Toda and Yamamoto(1995) causality test procedure, we find that there exists significant one-way causality from labor income share to GDP, private consumption, and investment. Recently, when the ‘wage-led’ or ‘income-led’ growth is suspected of its effectiveness as a long-run growth strategy, the long-run trend analysis of this paper has remarkable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노동소득분배율 변동의 총수요 효과 : 대안 지표 및 OECD국가와의 비교

        박강우(Kangwoo Par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5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노동소득분배율이 지출항목별 GDP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성장체제에 대한 평가를 시도한다. 특히 Gomme and Rupert(2004)와 Gollin(2002)의 방법을 준용하여 자영업 소득을 조정한 대안적 노동소득분배율을 도출하고, 이들 지표와 국민계정의 공식적인 노동소득분배율과의 차이에 주목하였다. 우리나라 시계열자료(1975-2013)에 대한 자기회귀시차분포모형(ARDL모형) 추정 결과, 공식 노동소득분배율은 전체 GDP 및 개별 지출항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대안적 노동소득분배율은 소비, 투자, 수출 등 개별 지출부문은 물론 전체 GDP에도 유의한 양(+)의 효과를 미치는 등 임금주도형 성장체제의 성격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개별 OECD국가들에 동 분석을 적용한 결과, 국가별로 노동소득분배율의 총수요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OECD국가 전체 자료를 대상으로 한 패널 분석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의 상승이 투자 및 수출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는 크게 대조되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임금주도형 성장모델의 적용가능성이 비교적 높다는 정책적 함의와 함께, 한 나라의 성장체제를 분석함에 있어 자영업 소득 비중과 같은 개별 국가의 특수성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방법론적 시사점을 동시에 제기한다. We assess the growth regime of Korean economy (1975-2013) by estimating an ARDL(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fluctuations in labor share of income on the demand components of GDP. Evaluating the alternative labor share indicators adjusting sole proprietor"s income based on the method of Gomme and Rupert(2004) and Gollin(2002), we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lterative indicators and the official labor share from the National Account of Korea.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lternative labor share exhibit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aggregate GDP as well as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 which supports the wage-led growth regime, while the effects of the official labor share are mostly insignificant. Second, applying the same analysis on individual OECD countries, we find striking differences in the demand effects of labor share across countries. Finally, estimating the same model for OECD panel data, we find that labor share exhibits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investment and export, contrary to the results for the Korean econom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owth regime in Korea was strongly wage-led, in contrast with most OECD countries, and represent policy implications in favor of the applicability of the wage-led growth model in Korea. The results also suggest a caveat that heterogeneities across countries, e.g., the varying share of sole proprietor"s incom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the growth regime of an individual country is assessed.

      • KCI등재

        소득불평등과 총수요의 관계

        박강우(Kangwoo Par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7 산업경제연구 Vol.30 No.2

        본 논문에서는 OECD 국가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지니계수 등으로 측정되는 소득불평등 정도가 소비·투자·수출의 부문별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특히 상위 10%의 소득 비중을 대안적인 불평등 지표로서 설명변수에 추가하여, 동 지표와 지니계수의 총수요 효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소득불평등 지표의 종류에 따라 불평등의 총수요 효과가 상반되게 나타났다. 상위 10%의 소득 비중을 불평등 지표로 사용한 경우 소득불평등 증대가 투자와 수출을 중심으로 총수요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지니계수를 불평등 지표로 사용한 경우에는 소비와 투자에 부정적 영향, 수출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는 등 효과의 방향이 혼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평등 지표의 종류에 따른 총수요 효과의 차이는 소득불평등 증대가 대내적으로 교육에 대한 투자 감소 등을 통해 소비 및 물적자본 투자를 저해하는 반면, 대외적으로는 노동소득분배율 하락과 이로 인한 가격경쟁력 강화를 통해 수출과 투자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여 설명할 수 있다. Employing OECD panel data, this paper assesses the effect of measured income inequality on aggregate demand consisting of private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 In particular, we focus on comparing the demand effect of two inequality indicators: benchmark Gini index and the alternative one, the income share of the richest 10%.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income inequality on aggregate demand significantly varies depending on the measure of inequality used as an explanatory variable. An increase in Gini index exhibits a negative effect on private consumption and investment, while a positive effect on export. Meanwhile, an increase in the income share of the richest 10% exhibits a positive effect on aggregate demand in general, especially centering on investment and export. This distinction in the demand effect by the explanatory inequality indicator can be interpreted in two-fold: Domestically, inequality may reduce consumption and capital investment by impeding expenditure on education. However, externally, it can favorably affect export and investment by reducing labor share of income and consequently enhancing export price competitiveness.

      • KCI등재

        형법상 자초위난의 유형과 긴급피난의 성립여부

        박강우(Park, Kangwoo)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8 No.1

        The Criminal Law of Korea is not providing a clear provision for self-incurred emergency evacuation, so various opinions are arguing for its permissibleness. This paper will not only review the various opinions on this topic of German and Japanese academics and try to propose a resonable solution. Also, the current opinions of Korean cases and academics on this problem are reviewed. The opinions on this topic are divided into 3 categories which fully grant, fully denying, and partly grant the legality of self-incurred emergency evacuation. The German academic Koeper proposes a combined theory which try to solve this problem by combining the theory of interest-comparison and the theory of illegality in its cause. This theory is prima pacie right, but it is problematic, because the criterion to justify or to punish the actor is not clear. So, this paper support the ‘abuse of right’ theory and propose to divide the 3 categories of self-incurred emergency evacuation which are determined by the subjective element of the self-incurred emergency, that is the intentional emergency, the deliberate emergency, and the emergency by negligence. The theory of ‘abuse of right’ is now being applied to solve intentional self-defense situation, so it can be also applicable to self-incurred emergency evacuation. This theory is more excellent than the theory of interest-comparison theory or the purpose theory which consider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self-incurred emergency evacu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emergency evacuation.

      • KCI등재

        실업률 변동성 및 비대칭성의 요인분해

        박강우(Kangwoo Park) 한국계량경제학회 2014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25 No.2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 데이터를 대상으로 Shimer(2012)의 방법을 적용하여 비관측 실직확률 및 구직확률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업률 변동을 실직확률에 기인한 부분과 구직확률에 기인한 부분으로 요인분해하였다. 실업률 자체의 요인분해와 함께 실업률 변동의 분산(2차 적률) 및 왜도(3차 적률)에 대한 실직확률과 구직확률의 기여율을 산출하였으며 연령별 실업률에 대해서도 동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직확률의 변동성과 왜도가 구직확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실업률과의 동행성도 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ㆍ장기적으로는 실직확률과 구직확률 둘 다 실업률의 비대칭성에 상당부분 기여하는 반면, 단기적인 실업률의 비대칭성은 주로 실직확률의 비대칭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업률의 적률요인분해 결과, 변동성은 물론 비대칭성의 측면에서 구직확률보다는 실직확률이 실업률 변동에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러한 기여도의 차이는 실업률 수준보다 단기동학을 반영하는 실업률 변동 분에서 보다 두드러졌다. 넷째, 연령별 실업률의 요인분해 결과, 대체로 연령이 낮아질수록 실업률 변동성 및 비대칭성에 대한 구직확률의 상대적 기여도가 상승했다. 다섯째, 기존 해외 실증연구 결과와 상반되게 우리나라의 경우 구직확률이 실직확률에 선행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본고의 요인분해 결과가 실직확률→구직확률 방향의 내생성에 따른 편의(bias)로부터 비교적 강건함(robust)을 시사한다. Applying Shimer's (2012) measurement method to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data(1986Q1∼2011Q4) in Korea, we estimate the unobserved job separation and finding rate, with which we decompose unemployment fluctuations into the parts driven by two labor flows: inflows to unemployment( the Ins) and outflows from unemployment(the Outs). Furthermore, we estimat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each flow to unemployment volatility (variance) and asymmetry(skewness), and the same analysis is implemented on unemployment data by ag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volatility and asymmetry of job separation rates predominate over those of job finding rates. Second, while in the medium and long run, both rates contribute remarkably to asymmetric movements of unemployment, the short-run asymmetry in unemployment fluctuations mainly originates from significant positive skewness in job separation rates.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es confirm that in terms of both volatility and asymmetry, inflows to unemployment play a more dominant role in explaining unemployment fluctuations than outflows from unemployment do. Finally, decomposing unemployment rates by age, we find that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job finding rates are inversely related to the ages of the unemployed.

      • KCI등재

        노동소득분배율의 변동요인

        박강우(Kangwoo Par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5

        본고에서는 Antras(2004)와 Lawrence(2015)의 생산함수 모형과 추정 및 모의실험 방법론을 우리나라 전 산업 및 제조업 시계열 자료에 적용하여 노동증대적 또는 자본증대적 기술진보를 반영한 CES 생산함수를 추정하고, 추정 결과에 기초한 모의실험을 통해 최근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생산함수 추정 결과, 전 산업과 제조업 모두에서 자본-노동 간 대체탄력성이 1보다 유의하게 작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전 산업과 제조업에서 자본과 노동은 서로 보완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노동증대적 기술진보율과 자본증대적 기술진보율의 차이는 전 산업과 제조업 모두에서 0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노동증대적 기술진보가 자본증대적 기술진보에 비해 더 빠르게 진행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모형을 이용한 모의실험 결과, 추정된 CES 생산함수를 통해 최근 노동소득 분배율 하락분의 거의 대부분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 산업의 경우 노동소득분배율 하락분의 83∼88%를, 제조업의 경우 하락분의 절반에서 100%까지 설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최근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 추세는 자본-노동 간 보완관계 하에서 노동증대적 기술진보의 속도가 자본증대적 기술진보를 능가하면서 유효 자본-노동 비율이 하락한 것을 통해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Based on the methodology of Antras(2004) and Lawrence(2015), this paper estimates a CES production function with factor-augmenting technological progress for the Korean aggregate and manufacturing time series; with those estimation results, a model simulation is implemented to account for the recent declining trend in labor income share.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between capital and labor is estimated to be significantly below one, for both total economy and manufacturing industry. It implies that, as factors of production, capital and labor are complements, rather than substitutes. Meanwhile, for both total economy and manufacturing industry, labor-augmenting technology is estimated to have progressed faster than capital-augmenting one. Model simulation reveals that the estimated CES production function can account for the greater part of the recent decline in labor income share;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estimated model can account for about a half or even one hundred percent of changes in labor income share, while 83∼88% for the total economy. The simul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recent decline in Korean labor income share may be almost fully attributed to the fact that effective capital-labor ratio has been decreasing, which occurs because the labor-augmenting technology has progressed faster than the capital-augmenting one, under the condition that capital and labor are complements.

      • 소득불평등의 총수요에 대한 영향 : OECD 국가 패널 분석

        박강우(Kangwoo Par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1

        본 논문에서는 OECD 국가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지니계수 둥으로 측정되는 소득불평등 정도가 소비 · 투자 · 수출의 부문별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특히 상위 10%의 소득 비중을 대안적인 불평등 지표로서 설명변수에 추가하여, 동 지표와 지니계수의 총수요 효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소득불평등 지표의 종류에 따라 불평등의 총수요 효과가 상반되게 나타났다. 상위 10%의 소득 비중을 불평등 지표로 사용한 경우 소득불평등 증대가 투자와 수출을 중심으로 총수요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지니계수를 불평등 지표로 사용한 경우에는 소비와 투자에 부정적 영향,수출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는 등 효과의 방향이 혼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평등 지표의 종류에 따른 총수요 효과의 차이는 소득불평등 증대가 대내적으로 교육투자 감소 등을 통해 소비 및 물적자본 투자를 저해하는 반면, 대외적으로는 노동소득분배율 하락과 이로 인한 가격경쟁력 강화를 통해 수출과 투자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여 설명할 수 있다. Employing OECD panel data, this paper assesses the effect of measured income inequality on aggregate demand by expenditure: private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 In particular, we focus on comparing the demand effect of between the benchmark Gini index and the income share of the richest 10%, used as an alternative measure of income inequality. We find that the effect of income inequality on aggregate demand significantly varies depending on the measure of inequality used as an explanatory variable. An increase in Gini index exhibits a negative effect on private consumption and investment, while a positive effect on export. Meanwhile, an increase in the income share of the richest 10% exhibits a positive effect on aggregate demand in general, especially on investment and export. This distinction in the demand effect by the inequality index can be interpreted in two-fold: Domestically, inequality may reduce consumption and capital investment by impeding expenditure on education. However, externally, it can favorably affect export and investment by reducing labor share of income and consequently enhancing export price competitiveness.

      • KCI등재후보

        개인의 노력 및 선호를 반영한 불평등 측정: 등가소득 분석

        박강우 ( Park Kangwoo ),서영선 ( Seo Youngseon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7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31 No.-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노동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로시간으로 대표되는 개인의 노력수준과 여가-노동에 대한 선호 차이를 반영한 후생수준을 나타내는 등가소득을 추정하고, 등가소득과 실제 관측소득의 분포 및 불평등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표본기간에 걸쳐 근로의 비효용을 반영한 후생수준을 나타내는 등가소득의 불평등도가 관측소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고소득층의 근로시간이 중저소득층의 근로시간에 비해 평균적으로 짧을 뿐만 아니라, 같은 소득을 버는 개인 간에도 근로시간의 격차가 매우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개인의 노력을 대표하는 변수로서 근로시간과 함께 교육수준을 고려한 경우에도 불평등도의 절대수준은 소폭 감소하나 여전히 등가소득의 불평등도가 관측소득에 비해 높았다. 한편 시간에 따라 불평등도가 대체로 일정한 관측소득과 달리 등가소득에 따른 불평등도는 금융위기 이후 최근으로 오면서 뚜렷하게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아울러 연도별 회귀분석을 통해 등가소득과 관측소득의 결정요인을 추정·비교한 결과, 성별 소득격차의 경우 등가소득이 관측소득에 비해 불평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인이나 아버지 또는 가구주의 학력에 따른 소득격차의 경우 등가소득이 관측소득에 비해 불평등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인의 학력과 가정배경 등 환경요인에 따라 고소득을 벌어들이는 직업을 가진 사람은 대체로 근로시간도 짧은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Employ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data, we evaluate the equivalent income of individual wage-earners, which indicates the welfare level accounting for the difference in individual effort and leisure-labor preference. Comparing the distribution between the observed income and the equivalent income, we fin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equivalent income, reflecting the disutility from labor effort measured by hours worked, is more unequal than that of the observed income over the whole sample period. The reason is two-fold: high-income earners, on average, work less hours than middle-or-low-income earners, and there are huge differences in hours worked among the workers earning the same level of income. In addition to hours worked, when educational achievement is accounted for as another factor representing individual effort, there is no qualitative change in our main results. While the degree of inequality in the observed income is stable across the sample period, that of inequality in the equivalent income is strikingly mitigate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hen we estimate the determining factors of inequality, the degree of inequality by father`s or householder`s educational achievement as well as that of one`s own is markedly higher in the equivalent income than in the observed income, while the degree of inequality by sex is lower in the equivalent income than in the observed income. This implies that the well-bred or well-educated workers tend to earn higher income and simultaneously work l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