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목(耳目) 관련 관용어(慣用語)의 발상(發想)과 표현(表現) -한,일,영어의 관용어 비교-

        박갑수 ( Kap Soo Park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5

        한·일·영 세 언어권의 이목 관련 관용어를 발상과 표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목 관련 관용어는 651개이며, 귀 관련 관용어에 비해 눈 관련 관용어가 압도적으로 많다. 한·일·영 세 언어권의 동의·동형의 관용어는 10% 미만이며, 두 언어권에 공통되는 것을 합쳐도 대체로 10% 대다. 세 언어권의 관계는 한·일 관계가 가장 밀접하고, 일·영 관계가 한·영관계보다 밀접한 경향을 보인다. 세 언어권의 관용어는 개념 면에서 유형화해 볼 때, 귀 관련 관용어는 주의·관심을 나타내는 유형이 가장 빈도가 높고, 이해·판단류, 청각 기능류, 표정·태도류의 순으로 빈도가 낮아진다. 언어권에 따른 경향은 대부분의 고빈도 유형이 일본어권에 속하고, 한국어권이 판단·이해력류 한 가지만 우세를 보인다. 눈 관련 관용어는 주의·관심류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감정류, 표정·태도류, 판단이해(력)류의 순으로 빈도가 낮아진다. 고빈도는 귀 관련 관용어와는 달리 언어권에 따라 분산된 경향을 보인다. 한국어의 감정류, 일본어의 시각 기능류, 태도·표정류, 영어의 판단·이해(력)류, 주의·관심류가 우세를 보인다. 귀 관련 관용어의 특징은 한국어권의 청각 능력류, 주의·관심류 등이 소극적 경향이 강하고, 경험류의 예가 많고, 영어권의 싸움류 아첨류 등 특이한 유형의 관용어가 많다는 것이다. 눈 관련관용어의 특징은 무엇보다 한국어권의 감정류가 두드러진 빈도를 보이며,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주의·관심류가 언어권에 따라 특징적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이렇게 이목 관련 관용어는 발상과 문화에 따라 표현을 달리한다. 韓·日·英語圈の耳目關聯慣用語を發想と表現を中心にしらべて 見た. 耳目かんれん慣用語は651個である, 耳かんれん慣用語が169 個, 目かんれん慣用語が481個であつて目かんれん慣用語が壓倒的に 多い. 韓·日·英同意同形の慣用語は10%未滿であり, 二つの言語に共 通する慣用語は耳目共に韓日關係がいちばん密接であり, 日英關係 が韓英關係より密接である. 韓·日·英慣用語を槪念的に類型化すると耳かんれん慣用語は注 意·關心, 判斷·理解等の頻度がたかいし, 目かんれん慣用語の頻度 は注意·注目·關心, 感情, 視線·表情·態度等が高い. このような 現象は發想に原因があるといえる. 言語圈によつた傾向は耳かんれ ん慣用語は高頻度の慣用語が日本語に偏向されているのにだいして, 目かんれん慣用語は韓國語の感情, 日本語の視覺機能, 英語の判斷· 理解等が高い頻度を示して分散された傾向がある. 槪念的類型の特性は耳かんれん慣用語のばあい第3類(判斷·理解力)と第8類(經驗)の韓國語慣用語の頻度が高い. 第4類(注意·關心) は韓國語のばあい日·英語とは異なつて消極的聽取態度をみせる. 第9類(感情)は目かんれん慣用語とちがつて例がすくない. 第11類以 下第16類は英語慣用語にあらわれるだけて發想と文化的差をみせ る. 目かんれん慣用語は感情を現わす韓國慣用語, 注意·關心をあら わす日·英語の慣用語がたかい頻度を示すのが特徵的現象である. 第4類(注目·關心)はいちばん頻度が高いのであつて韓國語は關心, 日語は注視·注目, 英語は注意·警戒をあらわすのが多くて差を示 す. 第9類(感情)は皆たかい頻度をみせるが韓國語のほうが壓倒的で ある. 現わす感情は韓·日·英語圈に差がある. 第16類(秋波), 第17類 (あらそい)は英語圈だけの特殊な慣用語である. 耳と目は同じく感覺器官であるが言語圈の發想と文化によつて慣 用語には以上調べて見たように差が生ずる. したがつて效果的な疏 通をする爲には發想と表現に注意すべきである.

      • KCI등재

        한국어의 세계화, 그 실상과 새로운 추진 방안

        박갑수 ( Kap Soo Park ) 택민국학연구원 2012 국학연구론총 Vol.0 No.10

        한국어 세계화는 문민정부 이래 논의되기 시작하여, 2005년국어기본법이 제정되고, 2007년 세종학당 계획을 추진하며 본격적인 단계에 접어들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어 세계화는 그 역사가 짧고, 수행된 결과도 그리 많지 못하다. 2012년 현재 세종학당은 34개국 75개소가 설치된 데 불과하다. 이는 2011년 현재 프랑스의 Allience Francaise가 137개국에 1,040개소, 영국의 British Council이 110개국에 250개소, 독일의 Goethe Institute가 83개국에 147개소, 중국의 공자학원이 91개국에 321개소인점을 고려할 때 이제 발걸음을 떼어 놓은 데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밖에 국내외의 한국어 교육은 주로 대학에서 행해지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약 60개 대학의 부설 언어교육원과 10여개 사설 학원에서 행해지고 있고, 해외에서는 60여 개국 700여개 대학과, 8개국 1,500여 개 중고등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다. 한국어 세계화는 그간 여러 가지 방안이 제기되었으나, 여기서는 그간 논의 되지 않은 새로운 추진 방안을 5가지 제시하였다. 이는 기발한 방안이라기보다 그간 놓쳤던 세계화의 핵심적 방안이라 할 것들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① 해외의 교육정책에 대응하여 적극적 조치를 강구한다. ② 해외의 중고등학교에 대한 한국어교육 정책을 강화한다. ③ 재외동포를 한국어 세계화의 역군으로 적극 활용한다. ④ 한국어를 다른 한류 문화와 연계하여 보급하도록 한다. ⑤ 언어문화에 대한 충격에 대해 문화적 완화 조치를 강구한다. 한국어 세계화는 자문화 중심 아닌, 문화적 상대주의적 입장을 바탕으로, 위에 언급한 새로운 추진방안을 적극 활용함으로 추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韓國語世界化は文民政府以來論議が始つて, 2005年國語基本法が制定され, 2007年世宗學堂計劃を推進しながら本格的段階に入つた. それで韓國語世界化はその歷史が淺いし, 遂行された結果もそれほど多くない. 2012年現在世宗學堂は34個國, 75個所が設置されているにすぎない. これは2011年現在プランスのAllience Francaiseが137個國に1,040個所, 英國のBritish Councilが110個國に250個所, 獨逸のGoethe Instituteが83個國に147個所,中國の孔子學院が91個國に321個所であるのを考慮する時但今始つたのに過ぎないといえる. このほか國內外の韓國語敎育は主に大學で行なわれでいるが, 國內では約60個大學附設言語敎育院と10個餘りの私設學院にで行なわれでいるし, 海外では60餘國700餘りの大學と, 8個國1,500餘りの中高等學校で行なわれでいる.韓國語世界化は此の間いろんな方案が提起されたが, 本論稿では今まで論議されながつた新しい推進方案5種を提示した. 此は奇拔な方案というよりはこの間忘れた世界化の核心的方案であると云える. それは次の樣なものである.① 海外の敎育政策に對應して積極的措置を講究する.② 海外の中高等學校に對した韓國語敎育政策を强化する.③ 在外同胞を韓國語世界化の役軍として積極的に活用する.④ 韓國語を他の韓流文化と連繫して普及する.⑤ 言語文化に對する衝激に對して文化的緩和措置を講究する.韓國語世界化はなによりも自文化中心ではなく,文化的相對主義の立場をとつて, 上の新しい推進方案を積極的に活用するのが望ましいと思われる.

      • KCI등재

        한국어교육(韓國語敎育)의 현실과 미래(未來) -한국어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박갑수 ( Kap Soo Park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6

        이 글은 한국어교육의 지난날을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본 글이다. 한국어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의 방법, 한국 언어문화의 세계화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근대적 의미의 한국어교육은 19세기에 채 준비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피동적으로 시작되어 20세기에 들어와 비로소 교육 여건이 개선되고, 체계를 잡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학습 자료는 33개국에서 약 3,400종이 개발되었다고 하나, 여전히 취약한 형편이다. 교수법은 외국어교수법이 원용되어 그나마 큰 문제가 없는 편이다. 문법-번역법, 구두-청각법, 의사소통법이 주로 활용된다. 교원은 외국의 경우 자격을 갖춘 사람이 턱 없이 부족하여 문제다. 이것이 오늘날의 한국어교육의 현실이다.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볼 때, 그것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다문화, 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현안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첫째, 국가수준의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안을 서두른다. 둘째, 한국의 언어문화 교육을 강화해 나간다. 셋째, 특수목적 한국 언어문화교육을 강화함으로 그 능력을 향상시킨다. 넷째,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강화하고,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을 육성한다.다섯째, 한국어의 세계화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한국어교육을 강화한다. 이러한 방향 가운데도 문화교육과 세계화를 강화해야 한다. 열강이 자국어의 세계화에 열을 올리는 동안 우리는 한국 언어문화의 세계화를 방치해 왔다. 오늘날은 다문화시대요, 세계화시대다. 고립해서는 살수 없는 시대다. 상호간에 언어·문화를 교류하며 살아야 한다. 자문화중심주의, 자문화우월주의의 폐쇄적 태도를 버리고 문화적 상대주의적 입장에서 상대방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자세로 언어문화를 교류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우호적 사해동포(四海同胞)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한국 언어문화교육자들은 앞으로 더욱 열린 마음으로 상호간에 언어문화를 교류함으로 세계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고, 지구촌의 모든 시민이 共存共榮하는 삶의 場을 만드는 일에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此の論文は韓國語敎育の現況を調べた後, 今後發展していくべき 方向を摸索してみたものてある. 韓國語敎育の發展すべき方向は敎 育課程, 敎育內容, 敎育方法, 韓國言語文化の世界化等に對して調 べてみた. 近代的意味の韓國語敎育は19世紀まだ準備されていない內受動的 に始つて, 20世紀に入つて始めて敎育與件が改善された. しかし未 に國家水準の敎育課程が作られていないし, 學習資料は33個國で 約3,400種が開發されたが, 依然脆弱な狀態である. 敎授法は外國 語敎授法が援用され特別な問題はない. 文法-飜譯法, 口頭-聽覺法, 意思疏通法が主に活用される. 敎員は外國の場合資格を持つている 人があまり不足であつて問題である. これらが今日韓國語敎育の現 實である. 此のような現狀を基礎に今から展開していくべき韓國語敎育の方 向を摸索する時, その方法は色色有るが, 多文化, 世界化時代に似 合う敎育をする爲には次のような懸案を解決する方向に行かなけれ ばならないと思う. 第一, 國家水準の韓國語敎育課程の構案をはやめる. 第二, 韓國の言語文化敎育を强化する. 第三, 特殊目的韓國言語文化敎育を强化してその能力を向上する. 第四, コミユニケ一シヨン敎育を强化し, 異文化コミユニケ一シヨ ンの能力を育成する. 第五, 韓國語の世界化に寄與する方向に韓國語敎育を强化する. 今日は多文化時代であり, 世界化時代でもある. それで孤立しては 生けない時代である. お互いに言語ㆍ文化を交流しながら生きなけ ればならない. 我我は文化的に相對主義的な立場から相手を理解し 包容する姿勢をもつひつようがある. 言語文化を交流しながら互に 友好的關係を形成し世界文化發展に寄與しながら生きるべきである.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문법교육(文法敎育)의 바람직한 방향(方向)

        박갑수 ( Park Kap Soo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7 언어와 문화 Vol.3 No.3

        This paper reviews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and the communicative approach, which are representative methods for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lso, it suggests a constructive way of grammar teaching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text and teaching method. The following five items are mentioned as important teaching methods. ① The goal of teaching is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② Deductive/Inductive teaching and evincive/allusive teaching should be used selectively. ③ Efficiency and suitability should be equally recognized. ④ The PPP model and TTT model should be used as basic models for the class. ⑤ An appropriate teaching method, such as the consequence-centered, process-centered, or function-centered method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eaching goals and progress levels. (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