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 텍스트 읽기의 평이성 조건에 대한 연구 -조병화의 작품을 중심으로-

        민재원 ( Jae Won Mi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5 No.-

        A Study on Plainness of Poetry Reading Min, Jae-Won Students get significant experience when they read poetry and make their own poetic world.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conditions of how students get significant experience through reading poetry. In Sartre`s theory about being, the world is a being-in-itself and the poet is a being-for-itself. When students read a poem, they take a role analogous to poet-a being-for-itself. Students` cognition of the world in a poetic world is constructed by the intentionality to objects in the poem. At this time, Students make an abstract concept concrete and extract a sense from the concrete object. Byung-hwa Cho`s poetry is regarded as plain. But there are many abstract concepts so readers have to make them concrete by considering their own experiences. And even in the case that there is no abstract concept in a poem, readers have to recall their own experiences for extracting a sense which kindle their emotion. Finally, the plainness of Byung-hwa Cho`s poetry is on the possibility of concrete-making and sense-extracting, which are depended on a reader`s ability. The plainness is confirmed in a relation between a poem and a reader.

      • KCI등재

        문학 교육과정의 보완 방향에 대한 이론적 접근 연구 - 루만의 ‘관찰’ 개념이 가지는 의의를 중심으로 -

        민재원 ( Min Jae-w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0

        본 연구는 현행 문학 교육과정이 학습자들의 실제 문학 활동을 견인하는 데에 더욱 적극적인 방법을 취할 수 있는 보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루만의 ‘관찰’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예술로서의 문학을 향유하는 것이 가지는 의의를 살피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개별 작품에 대한 관찰로부터 시작하는 문학 활동은 그 관찰이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맹점에 대한후속 커뮤니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생산함으로써 유지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문학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및 일반화된 지식을 검토한 결과 현행 문학 교육과정은 문학을 규정하고 이를 전달하고자 하는 데에 적합한 방식을 취하고 있어 학습자들 사이에 후속 커뮤니케이션을 발생시키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보일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보완 방향으로 본 연구는 핵심 개념의 축을 ‘지식-수행-경험-태도’에서 ‘관찰-판단-소통-(재)관찰’로 변환함으로써 순환적이면서도 발전적인 후속 커뮤니케이션의 추진이 문학 교육과정의 기본으로 자리를 잡는 관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a theoretical complementary standpoint on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f literature education. Because the curriculum has failed to make students do their own literature-activity.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a concept ‘observation’ which was proposed by N. Luhmann and was used to present impossibility of an observer’s complete seizing on the world: an observer’s observation always leaves a blind spot behind. Luhmann also mentioned that system of art maintains itself by consequent communication. Thus system of literature needs consequent communication about blind spots which are occurred from observation on a literature work. But core concepts and generalized knowledges of the current curriculum are tend to pass down the regulation standpoints about literature that have been achieved by studies of literature. As a complementary standpoint to the current curriculum, this article propose to change current axis: ‘knowledge - performance - experience - identity’ to alternative axis: ‘observation - judgment - communication - (re)observation.’ This structure is based on promotive standpoint and could cause students’ role as a companion and their literature-activity in the course of circularly developing axis.

      • KCI등재

        시 교육에서의 함축성 개념에 대한 고찰 -백석 시어의 의미 축적 사례를 중심으로-

        민재원 ( Jae Won Min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3 No.-

        시 읽기에서 독자가 마주하게 되는 어려움 중에 하나는 시어의 어려움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어에 대한 이해는 시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기본적인 조건이 된다. 그러나 시어가 함축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시어가 지칭하는 대상을 향한 주체의 태도 및 정서를 복원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따르게 된다. 함축성은 기존에 사용되던 언어의 일반적인 의미에 새로운 의미를 덧붙이거나 전복시키는 기능을 하기도 하므로, 이를 접하는 독자의 능동적인 활동을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백석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하여 작품에서 함축성이 의미를 생성하는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시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백석의 작품을 통해 확인한 함축성은 작품 밖에서 형성된 경우와 작품 안에서 새롭게 형성된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두 경우는 작품과 시어에 따라 상대적인 것이기는 하나, 작품 밖에서 형성된 경우에는 그 의미의 구체화가 독자의 시 읽기에서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고 작품 안에서 형성된 경우에는 독자가 새로운 의미를 축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시의 주요 특징 가운데 하나인 함축성은 정서와 관련된 감각적인 요소까지 포함하는 동시에 발산적인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 계기로서의 성격을 가지게 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언어의 함축성이 곧 언어 문화의 전승과 창조에 있어서의 중심 개념으로 기능할 수 있는 만큼, 시 교육에 있어서도 보다 구체적이고 발산적인 문학 독서 담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properties of connotation in poetry-education. Connotation makes poetic words ambiguous and ambiguity of poetic words makes its sense or meaning plentiful. Connotation in poetic words can give readers new sense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ld. But readers often feel difficult in reading poetry cause of connotation in poetic words. To understand the connotational sense of poetic words, readers have to struggle to represent emotion or attitude for the poetic object. Because connotation means that the poetic words get additional or alterative sense. Connotations need reader`s divergent process of thinking for representing the sense of words. Therefore, in the class of poetry-education, teachers have to secure plenty of time to make intercommunication that can evoke specific senses through the literature- reading discourse. In this way, students could get new meaning or deepen their own sense for the world.

      • KCI등재

        문학 교육과정 ‘인접 분야’ 관련 성취기준의 구현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15 개정 교과서의 현대시 제재 단원을 중심으로

        민재원(Min, Jae-won)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7

        본 연구는 문학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 가운데 ‘인접 분야’ 관련 성취 기준이 교과서에 구현된 양상을 비판적으로 살핌으로써 해당 용어가 시 읽기 교육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 및 전문가의 읽기 결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교과서에 구현된 학습의 방향은 상호 텍스트적인 영향 관계를 확인하는 방향에 집중되어 있었다. 둘째, 실제 전문 독자의 시 읽기 사례를 살펴보면 자신의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삼아 다양한 분야의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작품의 의미를 파악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서로 다른 문제의식을 가진 경우 서로 다른 인접 분야를 선택함으로써 작품의 감상이 더욱 확장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제안할 수 있는 향후 시 교육의 발전 방향으로는 다음의 사항들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인접 분야’라는 용어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시 읽기 활동은 다양한 항목 중 하나로 자리를 잡을 것이 아니라 시 읽기 활동의 본질적인 속성 중 하나로 자리를 잡아야 한다. 둘째, 문학 작품을 읽을 때 독자가 연결을 짓고 살펴볼 ‘인접 분야’는 각 독자의 관점이나 관심에 따라 다양한 맥락에서 선택될 수 있으므로 시 읽기가 서로 다른 독자들의 다양한 총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즉 다양한 분야에 대한 학습 및 경험의 결과를 통해 작품 읽기가 발전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 교육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in which the curriculum-term ‘adjacent field’ could be related to poetry reading education by critically examin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term in the textboo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ed direction of learning in the actual textbooks was focused on the inter-textual influence relationship. Second, looking at the examples of poetry reading by experts, it was confirmed that they appreciate a poem by using knowledge in various fields which were chosen by their own critical mind. And it came from their experiences as the totality. Third, in case of having different problem consciousness, appreciation of a work was further expanded by flexible selecting different adjacent field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First, the poetry reading activity to be realized through the term ‘adjacent field’ should not be positioned as one of various learning items, but as one of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poetry reading. Second, when reading a literary work, the ‘adjacent field’ to which the reader makes a connection and examines can be selected in various contexts according to each reader’s point of view or interest. In other words, learning of various ‘adjacent fields’ can function as ways to develop the results of reading poetry.

      • KCI등재

        시 읽기 교육에서 독자와 작품의 관계 설정 고찰

        민재원 ( Jae Won Mi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문학교육학 Vol.44 No.-

        Reader and work are two mainstays in poetry reading. This research starts from critical view that reading poetry has overemphasized the reaching to the work so far. Thus this research try to reveal readers’ utilizing of the work for showing their own lives and to suppose educational meaning of those utilizing. Poetry education in national curriculum overemphasizes reaching to the work and puts value on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And expert readers revitalize utilizing relationship and introspect their own lives. In the club activity class of poetry reading students also persue an reaching to understand a work and reveal their own lives. But destinations of reaching are varies according to work and student and linguistic marks of destination are remain ambiguous. Nevertheless students spread out their attention to new direction and express themselves through the reading poetry. These activities has good value to meet a chance to insist their own right even though 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k are not sufficient. Because spreading out one’s own attention and self expression through a work are basic structures of literary researches.

      • KCI등재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기반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인문소양교육의 전망과 과제

        민재원(Min, Jae-won),김아영(Kim, Ayeo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2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로 대표되는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인문소양교육의 전망과 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고교학점제 정책과 인문소양교육의 의미를 고찰한 후, 예상되는 인문소양교육의 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고교학점제는 학교 교육의 질 개선 취지에서 논의되었으며,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인문소양교육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강조점을 찾을 수 있으며, 학생의 자아 정체성 형성, 전인적 성장, 민주시민 역량함양 등의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고교학점제의 적용에 따라 인문학 과목의 선택률저하가 우려되며, 이는 인문소양교육의 질적 하락과 교사⋅학생의 부정적인 인식으로이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이과 융합형내용요소 확대와 인문 교과군의 신설을 제안하였으며, 인문소양교육에 대한 교사의전문성 신장 노력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rospects and tasks of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a customized curriculum for students represented by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irst, after examin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and the meaning of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the expected difficulties of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were discuss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discus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is being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students right to choose subjects. Humanities and literacy education can be found in the general discuss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student personality education, democratic citizenship competency, and self-realization. A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applie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selection rate of humanities subjects will decrease, which may lead to a decline in the quality of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and negativ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Based on this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is study proposed the expansion of the convergence content elements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humanities subject group, and emphasized the efforts of teacher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 KCI등재

        시 읽기의 유기성과 교육과정의 반영 방향 - 윤동주의 「병원」 읽기에 나타난 독자의 유기적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민재원(Min, Jae-won) 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연구 Vol.- No.80

        이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 가운데 ‘유기적 구성’과 관련된 시 읽기 교육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게슈탈트 이론을 검토한 결과 유기적 구성은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를 바라보는 독자의 인지작용속에 능동적인 구성 활동으로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I(독자의 문제의식)-E(문제 추출)-M(의미 부여)-R(재구조화)의 과정이 작품을 읽는 독자의 유기적 인식 과정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이후 윤동주의 작품인 「병원」에 대한 두 전문가의 읽기 결과 속에서 이 과정의 단계별 양상을 확인하였고, 각자의 I에 따라 서로 다른 R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보일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이 가지는 의미를 시 읽기 교육에 반영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유기적 구조’를 산출하는 주체가 독자임을 강조하는 방향의 교육과정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시를 읽는 과정에서 유기적 구조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필요하다는 점이 부각될 필요가 있다. 셋째, ‘활동-속성-실체’와는 다른 위계화의 원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ways to make up for the poetry reading education related to the ‘organic composition’ standa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stalt theory for this purpose, it was confirmed that organic composition is not inherent in the text but is inherent as an active compositional activity in the cognitive action of the reader.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d the hypothesis that the process of [I(readers issue) - E(problem extraction) - M(making meaning) - R(restructuring)] is the reader’s organic recognition process. The aspects of this process were confirmed in the results of the experts reading of “Hospital”, which is a poem by Yun Dong-ju, and it was able to show that different R(restructuring)s can be reached according to I(reader’s issue). In order to reflect the meaning of these aspects in poetry reading education,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urriculum in a direction that emphasizes the reader as the subject of producing an ‘organic structure.’ Second, it needs to be emphasized that knowledge in various fields is needed to produce an organic structure in the process of reading poetry.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inciple of hierarchy that is different from ‘activity-character-reality.’

      • KCI우수등재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활동 촉진을 위한 지식의 구체화 방향 고찰(3)

        민재원(Min, Jae-won)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0

        본 연구는 중등 현대시 교육에서 ‘운율’에 대한 교육 내용을 검토하고 보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중등 현대시 교육에서 ‘운율’은 반복성과 관련되어 제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이는 ‘음악성’이라는 설명의 기제가 강하게 작용한 결과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접근은 자유시의 다양한 형식을 포괄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호흡’에 주목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호흡선’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는 시를 통한 의사소통이 근본적으로 가지는 구술성에 주목함과 동시에 화자의 정서 및 상황과 맥락을 더욱 깊이 탐색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독자는 화자 ‘되기’에서의 배역 연출을 통해 다양한 상상 활동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다고 보았다. ‘호흡선’은 ‘운’과 ‘율’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용 가능성이 넓다고 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내용 재조직화의 한 방향으로 ‘호흡선’에 대한 정의, 의의, 형성, 성격을 잠정적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way to overcome a limit of ‘Un-Yul(rhyme and rhythm)’ education. ‘Un-Yul’ in poetry education has been related with repeating or routine something because it was considered with musicality. But it causes a limit that it can’t be applied to modern ‘free-poems’. Thus this paper suggests a notion: ‘Stream of Breath’ based on orality of poetry. ‘Stream of breath’ could help learners to palpate emotions and contexts of utterer in a poem. In the process of palpating, learners could direct or produce an utterer and imagine various and deep figures of utterer. ‘Stream of breath’ could include both ‘rhyme’ and ‘rhythm’ so it could be applied to educational situations broadly. Finally this paper proposes experimental definition, meanings, figuration and some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국 현대시교육의 형성 과정 연구

        민재원 ( Jae Won Min ),김창원 ( Chang Won Kim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공식적인 국가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국 현대시교육이 이루어진 것은 1차 교육과정기 이후이다. 그러나 그 이전 시기인 일제강점기나 교수요목기에도 현대시는 교과서에 수록되어 교육되었다. 본 연구는 1차 교육과정기에 들어가기 전까지의 현대시교육을 살펴봄으로써 국가 교육과정에 따라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교육의 기층 논리를 밝히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의 시교육은 대체로 수신/훈육의 목적에 종속되는 특징을 보였으며, 이는 식민 당국의 정치적인 목적에 교육이 종속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해방 이후에는 민족·국가의 주체성 및 정서 함양이라는 차원에서 시교육이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정부 수립 이후에 좌파 계열 시인의 작품이 교과서에서 모두 삭제되었다. 6·25 전쟁 시기에도 시교육은 계속 진행되었는데, 전쟁 시기라고 해서 전쟁과 관련된 작품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서정적 작품들이 계속해서 그 명맥을 유지해 왔다. 국가 교육과정기 이전의 시교육은 세계라는 대상에 대한 주체의 반성적 사유를 촉발하기보다는 교훈의 전달이나 친자연적 정서의 계발 등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국가 교육과정기의 시교육은 이러한 맥락 위에서 출발하였다. Before the period of 1st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NCS`s), including the colonial period, liberation period and ``teaching syllabus`` period, all textbooks contained modern poetries. This paper, I discussed the logical basis of modern poetry education in period of NCS`s by investigating on poetry education before the NCS`s. Poetry education in colonial period taught the moral training and discipline. The education by the time was designed for colonial purpose. After the liberation, poetry education focused on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emotionality while politically left poetries were excluded. Poetry education continued during the Korean War. However, the war itself did not have so much influence over the poetries educated in the textbook;lyrical poetries were still the mainstream. Poetry Education before the NCS`s tried to teach the morality or nature-friendly concepts rather than having critical views over the world. The modern poetry education of NCS`s started on this basis.

      • KCI등재

        시 읽기에서의 정서 형성 교육 연구 시론(試論)

        민재원 ( Jae Won Mi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2 문학교육학 Vol.38 No.-

        The emotion is regarded as a primary element in poetry reading. But there has been a tendency of dealing with the emotion in poetry reading as a abstract activity or covert behavior. Thus, this study tries to make the concept ``emotion`` and its practical formation concrete. As Sartre and Frijda said, emotion is a relational appraisal to the object which the subject meet in the specified situation. And emotion formed in the process of poetry reading takes images as the object. When readers read poetry, they make images from their fore-experiences. And they form emotions in several layers by palpating the representational object as image. In this processes, a central emotion that a reader forms exerts its influence to other images and to forming subordinate emotions. This means that poetry education has to consider the similarity between interpretation and forming of emotion. And poetry reading has to be presented as a focused task on reader`s pal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