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음주 및 흡연 발달궤적에 대한 신체적 공격성의 영향: 친구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민원홍 ( Won Hong Min ),( Nguyen Thi Phuong Tha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격성이 음주 및 흡연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친구특성 보호요인이 완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공격성은 청소년의 음주 및 흡연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보호요인의 주요 기능은 높은 수준의 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위험요인의 영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청소년의 긍정적인 친구특성은 청소년의 음주 및 흡연을 줄이는 주요 보호요인이다. 높은 수준의 보호요인을 갖고 있는 경우 위험요인인 공격성이 음주 및 흡연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거나 사라지는지를 종단적으로 구축된 상호작용모형을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자료로는 서울아동패널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긍정적 친구특성은 위험요인의 영향을 완충하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았고, 필요한 후속연구의 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influences as a protective factor on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aggression and the growth trajectories of drinking and smoking in adolescence. Latent growth curve analysis(LC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growth model, simple slope model test based on. This study used data from wave 6-9(2009-2012) of Seoul Panel Study of Child(SPSC).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peer influences moderated the link between physical aggression and slopes of the drinking and smoking. This implies that the strength of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aggression and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drinking and smoking varies as a function of peer influences. These results help clarify the conditions under which exposure to physical aggression can influence drinking and smoking in adolescenc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as well as further research topic were discussed to aid the search for highly effective preventive and treatment interventions.

      • KCI등재

        비행청소년의 재비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민원홍(Min, Wonh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재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행청소년의 재비행과 관련한 기존 연구들이 다양하게 축적되고 있으나, 조사방법과 통계적인 모델링에 대한 제한점으로 인해 모델 구축의 한계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1년 12월과 2012년 1월 사이에 전국의 관할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 개시를 시작한 장기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청소년 38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이후 2012년 9월 18일자를 기준으로 조사대상 비행청소년의 관찰기간 동안의 재비행 여부 및 재비행까지의 기간을 파악하였다. 우울, 부정적 자존감, 낮은 자기통제력 변수를 포함하는 심리적 요인, 부모감독, 가족구조, 부모지지를 포함하는 가족요인, 비행친구수, 또래지지로 구성된 또래요인, 그리고 학업수준, 중도탈락경험, 교사 지지로 구성된 학교 요인 등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였으며, 종속변수는 보호관찰 개시 후 재비행까지의 기간이 된다. 분석방법은 생존분석의 다변량 분석방법 중 가법적 위험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적 요인들 중에서는 세 변수 모두가, 부모요인 중에서는 부모지지만이, 또래 요인은 유의하지 않게 나왔으며, 학교 요인 중에서는 징계경험 유무만이 재비행의 기간까지의 위험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부분에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행청소년의 재비행을 줄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개입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ous factors that might influence on the risk of recidivism amongst delinquent youth. To this end, data from 380 the juvenile probationers were taken from probation offices nationwide, from December, 2011 to February, 2012. This data thus harvested then formed the basis for this research and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used was the Additive hazards model.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factors including depression, negative self-esteem, and low selfcontrol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isk of recidivism during the probation periods studied. Second, only parental support structures among the parental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isk of recidivism. Third, none of the peer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isk of recidivism. Finally, among the school factors, only the experience of punishment in school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isk of recidivism. These results help clarify the conditions under which variables can influence the recidivism of delinquent youth.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as well as potentially fruitful future research topics were also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earch into more effective preventive and treatment interventions.

      • KCI등재

        청소년기 빈곤과 내재화 문제의 종단적 관계

        민원홍(Min, Wonhong),이봉주(Lee, Bongjoo)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1

        청소년기 내재화 문제는 정신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후 성인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발달적 문제이다. 청소년기 내재화 문제에 대한 다양한 환경적 맥락의 영향을 고려한 선행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시간에 따른 환경적 맥락의 변화에 대한 내재화문제의 변화를 고려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청소년기 대표적인 부정적인 환경적 맥락인 빈곤요인의 변화에 따른 내재화문제의 발달궤적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분석자료로 서울아동패널연구의 5차년도(중2)에서 8차년도(고2)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기 내재화 문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기 빈곤요인들 중에서 임대아파트에서의 거주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중2시기뿐만 아니라 고2시기에도 빈곤한 청소년들의 경우 두 시기 모두 빈곤하지 않은 청소년들에 비해 내재화 문제의 초기값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내재화 문제의 발달궤적에는 청소년기 빈곤 요인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 빈곤은 그들의 내재화 문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초기부터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빈곤한 청소년들이 보이는 내재화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 및 개입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The internalization of problems, when severe, is connected to various mental disorders and is an important developmental process which can influence adulthood. Although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which have considered the influences of various environmental contexts regarding in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which have examined the changes of internalizing problems to the changes of environmental contexts over time. In this regard,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chang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problems due to the factors related to poverty that are representative of negative environmental contexts. Latent Growth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4 year (8<SUP>th</SUP> to 11<SUP>th</SUP> grades) longitudinal data from the Seoul Child Panel Study.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a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s has increased across time. Adolescents who have lived longer in public housing and were poor in both periods i.e. 8th and 11th grades relative to not being poor in both of them have higher scores in internalizing problems at the 8th grade. In contr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poverty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problems. In sum, the results imply that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problems should be the subject of early and actively intervention and prevention programs.

      • KCI등재

        우리나라 범죄의 사회적 비용 추정에 관한 연구

        조흥식(Heung Sik Cho),민원홍(Won Hong Min),김현민(Hyun Min K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0 한국사회정책 Vol.17 No.2

        국가적 차원에서 범죄예방과 관련된 형사정책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범죄의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8년도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전체 범죄를 대상으로, 어느 정도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였는지를 추정하도록 한다. 범죄의 예방단계, 결과단계, 그리고 대응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구체적인 항목을 설정하고, 해당하는 항목의 범죄비용을 추정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연구결과 2008년 한 해 동안 발생한 범죄로 인해 약 36조 5천억원의 사회적 비용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범죄 예방단계에서의 비용은 약 11조 5천억 원으로 전체의 31.5%를 차지하고, 범죄 실행에 따른결과단계에서의 비용은 약 15조 5천억 원으로 전체의 42.2%에 해당하며, 결과에 따른 대응단계에서의 비용은 약 9조 6천억 원으로 전체의 26.3% 에 이른다. 즉, 범죄의 사회적 비용은 예방 결과 대응단계 중 결과단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며, 그 다음이 예방단계, 대응단계 순으로 나타났다. 각 단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결과는 살인, 교통, 강간 등 상대적으로 범죄의 심각성이 높은 범죄유형에서 범죄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높았다는 점이다. 매년 범죄발생건수는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범죄로 인한 비용 추정과 관련된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기에, 본 연구가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범죄와 관련된 사회적 비용 추정 연구를 발전시키는데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social costs of crime committed in Korea in 2008.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estimating social costs of crime is an essential basis for criminal justice policy and decision making. However, to dat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social costs of crime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crime-related studie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categorize the types and scope of crime, define the main concepts such as opportunity costs, transfer payments, and social costs vs economic costs, and confirm measurable factors, all of which are necessary to measure crime costs. Secondly, divide the costs relating to crime into three categories, and estimate them: costs in prevention of crime, costs as a consequence of crime, and costs in response to crime. The analysis of this study follows the direct estimation due to the severity of types and the incidence of crime. The advantage of this approach is to consider the types of crime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but it does not include all types of crime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total costs of crime in Korea in 2008 are approximately 37trillion KRW per year. More specifically, about 11.5trillion KRW is estimated as the costs in anticipation of crime, 15.5trillion KRW is estimated as costs as a consequence of crime, and 9.6trillion KRW for response to crime. However, due to the shortage of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not fully reliable and verified. Most estimates of costs as a consequence of crime are made using relevant Korean data but since there is enough data available, it has no choice but to have an over or under estimates. Therefore, it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that follow-up studies are conducted in order to measure social costs of crime in Korea accurately.

      • KCI등재

        다문화 가정 부모의 가정 기반과 학교 기반 교육 관여 행동이 자녀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경로: 성취동기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손선옥 ( Son Seon Ok ),민원홍 ( Min Won Hong )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involvement in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ir children's school adaptation. For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data from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as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y-based and school-based parents' involvement in education during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had a static effect on their children's academic ability and their children'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eers during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respectively. Second, they had a static effect on their children's motivation for achievement and their sense of self-respect each in the same grade. Third, both the self-esteem and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have been shown to enhance school adaptation such as academic ability,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s. Fin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 were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their child’s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was discussed in ways to support parents' education and schools for the multicultural parents' and their adolescents' adaptation to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