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민담 「구렁덩덩 신선비」와 「두꺼비 신랑」의 비교: 결혼 후 통과의례담의 관점에서

        민선홍(Min, Seon Hong)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6

        이 논문은 민담 「구렁덩덩 신선비」와 「두꺼비 신랑」을 결혼 후 통과의례담으로 규정하고 비교한 것이다. 결혼 후 통과의례담이란 형식적으로는 결혼이 성립되었으나 아직 배우자 또는 그의 친족집단으로부터 진정한 가족의 일원으로 인정받지 못한 개인이 과업을 수행하는 이야기를 가리킨다. 「구렁덩덩 신선비」는 신부, 「두꺼비 신랑」은 신랑을 중심인물로 삼아 각각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향유층은 결혼 후 통과의례의 경험이 성별에 따라 달라진다고 여겼고, 이것이 서로 다른 이야기로 형상화된 것이다. 따라서 두 민담을 비교함으로써 향유층에게 남녀의 결혼이 어떤 점에서 같고 달랐는지 파악할 수 있다. 두 민담의 서사를 통과의례의 3단계 구조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는 이렇다. 첫 번째 분리 단계에서 남녀는 결혼 후 자신의 친족집단으로부터 분리되어 각각 시집, 처가로 이동한다. 한반도에서는 전통적으로 처가살이와 시집살이가 공존하고 있었다. 그래서 여성뿐 아니라 남성 또한 배우자 친족집단의 영역에 거주하며 그들의 일원이 되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두 번째 전이 단계에서 남녀는 배우자 친족집단으로부터 천대받으며 가족의 일원이 되기 위한 시험에 임한다. 시험은 경쟁자와 대결하는 방식으로 치러진다. 여기서 남녀는 불가능한 성과를 냄으로써 승리하고 아내 또는 사위의 자격이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시험 종목에는 과거 남녀가 가정에서 맡았던 서로 다른 역할이 반영되었다. 신부는 가사 노동 능력을 갖추었는지, 신랑은 가족부양능력이 뛰어난지가 중요한 평가 대상이었다. 세 번째 통합 단계에서 남녀는 자신과 같은 성별인 배우자 부모의 인정을 통해 가족 구성원으로 공인된다. 이후 신부는 남편의 집에서 계속 살아가는 데 반해 신랑은 승천하여 처가를 떠나간다. 이러한 결말은 여성은 시집에서 생을 마치고, 남성은 일정 기간 처가에 머물다가원 거주지로 돌아갔던 풍습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This study compares Korean folk tales Gureongdeongdeong Sinseonbi with Dukkeobi Sinra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ite of passage after marriage. The rite of passage after marriage refers to a person performing the task of passage to be approved as a member of family by his or her spouse’s kinship group after getting married. The protagonist of Gureongdeongdeong Sinseonbi is a bride, and Dukkeobi Sinrang is a groom. People who shared two stories had different experiences of rites of passage after marriage, depending on gender, which is embodied in each story. Therefore, by comparing two folk tal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how the marriage of men and women was different for people who shared these stories. The narrative of two folk tales can be divided into three episodes based on the three-stage structure of the rites of passage. In the first stage of separation, the protagonists are separated from their original kinship groups after marriage and move to their spouse’s kinship group. According to the rule of residence in Korea, both women and men should live in the place of a spouse’s kinship group and go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a family member. In the second stage of transition, the protagonists are mistreated by their spouse’s relatives. To prove that they deserve to be part of a family, they take a test in way of a competition. As a result of the test, they defeat the competitors by achieving impossible success. Entry to the competition is related to the different roles played by men and women in the past. It was important to determine whether women had domestic labor ability and men’ s family supporting ability. In the third stage of integration, the protagonists are approved by their spouse’s parents of the same gender. After approval, the bride continues to live in her husband’s house, while the groom leaves his wife’s house. This ending reflects the custom that women continue living with their spouse’s kinship group and men return to their original residence after spending several years with his wife’s family.

      • KCI등재

        최인훈 <구운몽>의 제목과 형식

        이승수 ( Lee¸ Seung Su ),민선홍 ( Min¸ Seon Hong ),우미영 ( Woo¸ Mi Young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 Vol.- No.75

        이 글은 최인훈의 <구운몽>(1962)을 김만중 <구운몽>(1690 즈음)에 대조시켜 서로에게 비치는 모습에서 문학사상의 연속성과 동질성 / 단절성과 개별성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최인훈 <구운몽>의 형식 특성을 규명한 것이다. 논의는 세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제목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구운몽’은 그 자체로 한국문학 역사상 하나의 사건이자 현상이며, 향후 다른 사건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지닌다. 최인훈의 ‘구운몽’은 현실과 미분리된 여러 환몽으로 나타나고, 영화라는 현대 문명으로 확장되었으며, 5·16군사정변으로 인한 사회적 악몽이라는 의미까지를 담고 있다. 둘째, 구조는 기호이자 의미라는 전제 아래 그 여러 특징을 살펴보았다. 최인훈 <구운몽>의 구조는 ① 사건 전개와 인물 관계에 있어 인과성과 유기성이 결여된 부정합의 이음매를 지니고 있으며, ② 이는 현실과 환몽 사이의 경계 표지 없는 흐름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지닌다. 그러한 가운데 전체를 일관하는 흐름을 만들어주는 요소가 있는데, 그것은 여러 여성 인물에 보이는 ‘왼 뺨의 검은 점’과 ‘처절한 바람 소리’이다. 셋째, 삽입 시문의 양상과 기능을 검토하였다. 최인훈 <구운몽>에 활용된 시문들은 김만중 <구운몽>의 그것과 달리, ① 갈등과 대결의 구도를 만들거나 불편한 현실을 드러나게 하고, ② 서사의 맥락을 일탈하여 강한 목소리로 자기 존재를 팽창시키고 있으며, ③ 시시비비를 가리려는 논변의 경향을 지닌다. 최인훈은 외적인 인과성과 유기성이 없는 부정합의 구성으로 모순과 불일치로 가득한 당대 현실을 드러내었다. 최인훈의 <구운몽>은 형식이 곧 주제이다. 외형은 환상이지만, 온몸으로 당대 현실을 증언하고 있다는 점에서 리얼리즘을 초월한 리얼리즘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inuity and homogeneity / discontinuity and individuality of literary history observed from the comparison between Guunmong by Choi In-hun(1962) and that by Kim Man-jung(estimated to be written in 1690).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we identified the features of form of Choi In-hun’s Guunmong. First, We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itle. Guunmong itself is an event and a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has the potential to be expanded to other events in the future. Choi In-hun’s Guunmong describes diverse kinds of fantasy dreams which are not separated from the reality and was expanded to the modern civilization, that is, the movie. Furthermore, it contains the meaning of ‘social nightmare’ caused by the military coup on May 16, 1961. Second, We investigated several features of the structure of Guunmong on the assumption that the structure is the signifier as well as the signified. The structure of Choi In-hun’s Guunmong ① has the incongruent connection lack of causality and systematicity in the deployment of events and relationship among characters. ② This feature is expressed by the borderless flow between the reality and the fantasy dream. In such a structure, there are the elements that maintain the consistent flow in the whole structure. They are ‘a black dot on a left cheek’ of several female characters and ‘sound of desperate wind.’ Third, we analyzed the patterns and functions of poetry and prose inserted in Choi In-hun’s Guunmong. Unlike Kim Man-jung’s Guunmong, poetry and prose in Choi In-hun’s Guunmong ① create the structure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or expose uncomfortable reality, ② expand themselves with strong voice out of the narrative context, and ③ show the feature of argument to decide on right and wrong. Choi In-hun exposed the reality of his times filled with contradiction and discord by incongruent structure without external causality and systematicity. In Choi In-hun’s Guunmong, the form is the theme. While the external form is fantasy, this work is the realism beyond the realism on the fact that it desperately testifies the reality of the times.

      • KCI등재

        『상두지(桑土志)』 소재 무기의 유형과 전차 운용 전술

        강진선 ( Kang Jin-sun ),민선홍 ( Min Seon-hong ) 한국실학학회 2020 한국실학연구 Vol.0 No.40

        이 글은 『상두지』에 수록된 무기를 소개하고 유형별 무기의 특징과 활용 전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두지』는 조선 후기 남인계 실학자 이덕리(1725∼1797)가 1793년 유배지에서 저술한 국방서로, 전체 분량의 절반이 청나라 기병 공략을 목적으로 한 무기의 제작법과 활용 전술로 구성되어 있다. 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덕리 국방론의 실체를 파악하고 당시기 국방 관련 저술의 흐름 속에서 『상두지』가 갖는 의의를 밝힐 수 있다. 『상두지』에 수록된 무기는 총 21종이며, 용도와 형태에 따라 네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전차이다. 전체 무기 중 절반의 숫자를 차지하며, 청군의 군사적 강점인 기마병에 대한 주요 대응책의 성격을 갖는다. 둘째. 유통식 화기이다. 전대화기의 장점을 발전적으로 수용한 면모가 두드러진다. 셋째. 냉병기이다. 전차와 유통식 화기에 결합하여 청군 기마병에 의한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넷째. 기타 무기이다. 이상의 무기를 활용한 이덕리의 대청 전술은 전차를 활용한 기병 전력의 제압을 핵심으로 한다. 이덕리는 요새의 구축과 도로 개통을 통해 전차 부대의 돌격에 적합한 환경을 구상했다. 더불어 전차의 기능을 극대화할 운용 전략으로서, 산비탈에서 전차를 돌격시키는 기습전을 통해 적의 접근을 원천 차단할 것을 제안했다. 기습에 실패할 경우 수성전으로 돌입, 판옥 안에 전투원이 탑승하는 전차 중심으로 기마병을 무력화할 것을 계획했다. 『상두지』에 나타난 이덕리의 무기 체계와 운용 전술이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묘·병자호란 이후 존재했던 대청 국방 논의의 한 국면을 보여주는 주요한 자료이다. 둘째. 다양한 국방 관련 저술을 계승해 발전적으로 수용한 저술로, 각종 군기의 개발부터 근본적인 군제 개혁까지 국방론 전반을 단독으로 다룬 최초의 국방서이다. 셋째. 이덕리 스스로 가학의 성과를 가시화하고 관료로서의 경륜을 입증하고자 한 저술로서 의미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weapons in Sangduji(桑土志),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eapons by type. Sangduji is a military tactic journal written by Lee Deok-ri(李德履, 1725∼1797), one of the pragmatic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1793. Half of this journal consists of the method of making weapons and the tactics to use them which aims to attack cavalry of Qing(淸) Dynasty. By analyzing i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heoretical substance of Lee Deok-ri's military tactics, an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Sangduji in the flow of military related writings at that time. There are 21 kinds of weapons in Sangduji,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ir use and form. The first is a tank(戰車). It accounts for half of all weapons, and it is main countermeasure against cavalry, the military strength of Qing dynasty. The second is a cylinder style firearms. It is remarkable that it developed the advantages of the previous works. Third is a cold weapon. The main point is to minimize the damage to allies by combining it with tanks and firearms. Fourth, other weapons. Lee Deok-ri's anti Qing dynasty tactics are centered on the tanks which can suppress cavalry. For that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frastructure suitable for the use of tanks. By building a fortress and roads, Lee Deok-ri designed an environment suitable for tank troops attack. In addition, an strategy that can maximize the functions of the tank is required. Lee Deok-ri proposed to block the approach of the enemy through an ambush which charges the tank on the slopes. In the event of failed surprise attack, he planned to neutralize the cavalry by using the tanks with defense structure which can hide the allies in it. The significance of Lee Deok-ri's weapon system and operation tactics shown in Sangduji is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an important data that shows a phase of the anti-Qing debate after Jeongmyohoran and Byungjahoran. Secondly, it is the first book that dealt with the defense theory in general, from the invention of weapons to the fundamental reform of the military system. Third, it is a book that shows Lee Deok-ri's attempt to prove his ability as a bureaucrac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s family.

      • KCI등재후보

        물벼룩과 형광성 박테리아를 이용한 중금속의 급성독성평가

        하헌중,김성태,최종욱,민선홍,장태연,김건흥 ( Hern Jung Ha,Sung Tae Kim,Jong Uk Choi,Seon Hong Min,Tae Yeon Jang,Geon Heung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 1995 생태와 환경 Vol.28 No.3

        It is very difficult to estimate the hazardous effects of toxicants because they interact each other in additive,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ways. Bioassay is an approaching method for toxicity evaluation of actual or potential danger in hazardous wastes.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sceptibility of 3 water fleas and luminescent bacteria Photobacterium Phosphoreum to heavy metals. The toxcity test is performed against 7 heavy metals. For water fleas, Hg shows the highest toxicity and Fe shows the lowest toxicity by the 24 or 48 hour LC_(50). For luminescent bacteria, by the 5min EC_(50) Hg is more toxic than any other metals. M. macrosopa and D. psittacea have a good reproductivity in the laboratory and show the possibility as an aquatic toxicity test organism.

      • KCI등재

        1457년 김시습의 행적(行迹)과 심경(心境)

        이승수 ( Lee Seung Su ),황인건 ( Hwang In Geon ),김미애 ( Kim Mi Ae ),민선홍 ( Min Seon Hong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 Vol.0 No.73

        이 글은 <遊關西錄> 소재 145제 165수의 시를 텍스트 삼아, 1457년 23살 김시습의 행적과 심경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시습의 관서 유람 시기는 1458년으로 오인된 사례가 적지 않은데, <유관서록>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고려하면 1457년으로 확정할 수 있다. 유람 여정은 이른 봄 洛河를 건너 송도와 평양 두 고도에서 한동안 머물다가 묘향산에 들어가 여름을 나고, 가을 초엽 묘향산을 나서는 것으로 이어졌다. <유관서록>은 이러한 시공간의 흐름에 따라 편집되어 있으며, 각 구간에 따라 심리와 미의식의 변화를 드러낸다. 멸망한 전대 왕조의 수도인 송도에서는 폐허에서의 허무를 체감했다. 신화적이며 낭만적인 도시 평양에서는 문명의 영화에 취했다. 묘향산에 들어가서는 하계를 내려다보며 흉금을 크게 틔우고, 그렇지 않을 때는 禪房에서 三昧에 들어 三生의 業緣을 끊어냈다. 이렇게 정돈된 마음으로 묘향산을 나선 뒤에는 승려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동시에 유자들과 교유하면서, 한 지점에 머물지 않는 삶의 방식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path and mood of 23-year-old Kim Si-seup(金時習) in 1457, by analyzing his poetical works < Yukwanseurok(遊關西錄) >. There are many cases that Kim Si-seup’s sightseeing time was mistaken for 1458. Considering the characters in < Yukwanseurok >, it can be confirmed in 1457. The trip was followed by crossing Nak River(洛河) in early spring, staying at Songdo(松都) and Pyongyang(平壤) for a while, entering Mt. Myohyang(妙香山) during summer, and leaving there in early autumn. < Yukwanseurok > is edited according to the flow of space-time, and each section represents psychological and aesthetic change of Kim Si-seup’s mind. In Songdo, the capital of the fallen dynasty, Kim Si-seup had an nihilistic experience. In Pyongyang, the mythical and romantic city, he felt the glory of civilization. In Mt. Myohyang, he looked down the world below and widened his heart. Otherwise, he entered into sam-mae(三昧) in Buddhist temple and cut the karma of three lifetimes. After leaving Mt. Myohyang with such an orderly mind, he solidified his identity as a monk. At the same time, while interacting with confucian scholars, he showed a way of life that was not limited to one 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