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지역 유통 채소류 섭취에 따른 잔류 농약의 위해성 평가

        장미라(Jang Mira),문현경(Moon Hyunkyung),김태랑(Kim Taerang),육동현(Yuk Donghyun),김정헌(Kim Junghun),박석기(Park Seoggee) 韓國營養學會 201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3 No.4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 서울 강남지역 시장, 대형 마트 및 백화점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채소류에 대해 잔류농약을 분석하여 잔류농약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1) 유통 채소류 6,583건에 대하여 동시 다성분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엽채류가 4,972건 (75.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과채류 629건 (9.6%), 엽경채류 581건 (8.8%), 근채류 401건 (6.1%)순이었다. 전체 채소류 중 농약 검출율은 12.7% (834건)이었고, 이중에서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2.1% (136건)으로 나타났다. 채소류 중 들깻잎이 농약 검출률과 허용기준 초과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유통 채소류 중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3회 이상 초과한 농약은 총 16종이었으며 이 중 endosulfan이 24회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체 부적합 횟수 중 16.0%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diniconazole 22회, paclobutrazol 15회, kresoxim-methyl 9회, etoprophos 8회, diazinon 7회, chlorpyrifos 5회, carbendazim이 5회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이들 농약은 최저잔류 허용기준이 대체적으로 다른 농약보다 낮은 경우가 많았으며,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상위 3개 농약이 40.7%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가장 많이 검출된 농약은 procymidone으로 189건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3) 농약잔류량과 채소류 평균섭취량 및 ADI로 부터 위해 지수 (HI)를 산출하였다. 결정론적 방법에 의한 위해도는 diethofencarb 7.33%, indoxacarb 5.13%, EPN 3.96%, diniconazole 3.92%, chlorothalonil 3.09%였으며 기타 농약은 모두 3% 이하로 나타났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잔류농약의 위해도 분포는 결정론적 분석결과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95% 신뢰구간의 폭은 매우 넓게 나타났다. 그러나 위해도지수가 0.07~9.49% 범위에 있어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성분에 기인한 인체 위해도는 낮아 대체적으로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채소류에만 국한된 연구이므로 잔류농약이 포함된 농산물 섭취로 인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농약잔류 허용 기준이 합리적으로 설정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위해성 평가 및 모니터링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specifically discusses the risk assessment on the pesticide residues in vegetables collected from traditional markets, big marts and departments in the southern part of Seoul. Vegetable samples were 6,583 cases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9. Monte-Carlo simulation was used to calculate the uncertainty for the risk index using pesticide residues, average dietary intake for vegetables and acceptable daily intake. Deterministic risk indexes were 7.33% of diethofencarb, 5.13% of indoxacarb, 3.96% of EPN, 3.92% of diniconazole and 3.09% of chlorothalonil, respectively. And other pesticides were below 3%. Distributions of risk indexes obtained by the Monte-Carlo simulations were similar to the deterministic values, even though the confidence intervals for 95% were very wide. We confirmed that health risks caused by eating vegetables exceeded maximum residue limits of pesticide are very low and the population is generally safe, judging from the risk indexes located between 0.07 to 9.49%.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 협력학습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아이디어 발상 단계를 중심으로

        전우정 ( Woojeong Chon ),문현경 ( Hyunkyung Moon ),김민지 ( Minji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30 No.2

        프로젝트 기반 협업 학습은 협업, 의사소통, 비판적 사고, 디지털 리터러시 등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 기반 협업 학습에서는 불평등한 참여, 갈등, 학습 소외와 같은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이디어 생성 단계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기반 협업 학습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챗봇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절차는 문헌 검토 및 요구 분석, 설계 원칙 및 가이드라인 도출, 초기 프로토타입 개발, 사용성 평가, 최종 프로토타입 개발의 5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프로젝트 기반 협업 학습 경험이 있고 다양한 유형의 챗봇을 5회 이상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 기반 협업 학습 맥락에서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지원 도구로서 인공지능 챗봇의 잠재력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인공지능 챗봇 프로토타입은 스캠퍼 기법 규칙을 안내하고 학습자의 아이디어 생성 과정을 적응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챗봇은 긍정적인 피드백과 정서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프로젝트 기반 협업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아이디어 창출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산출된 인공지능 챗봇 프로토타입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 프로젝트 기반 문제해결 수업의 효과적인 운영과 학습자의 학습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rojec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has gained attention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strengthen key competencies such as collaboration,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and digital literacy. However, issues such as unequal participation, conflicts, and learning alienation persist in projec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I chatbot prototype that supports projec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focusing on the idea generation stage.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ed of five stages: literature review and needs analysis, derivation of design principles and guidelines, initial prototype development, usability evaluation, and final prototype developmen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projec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nd had used various types of chatbots more than five times. This study confirms the potential of AI chatbots as a support tool for idea generation in projec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contexts. The developed AI chatbot prototype can guide the SCAMPER technique rules and adaptively support the learners’ idea generation process. Furthermore, the AI chatbot can play a crucial role in promoting learners’ idea generation in projec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ituations by providing positive feedback and emotional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project-based problem-solving classes and the enhancement of learners’ learning outcomes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저소득층 영유아의 성장에 관련된 요인에 관한 연구

        문현경,정해랑,송범호,박혜련 대한보건협회 1991 대한보건연구 Vol.17 No.1

        This study of low-income households was carried out on 679mother-infant pair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infant growth. Mother's body size, birth order, age difference between siblings, pregnancy period, and baby's health at birth were associated with birth weight. Current weight was associated with mother's or father's education level, birth weight and frequency of diarrhea. Such factors as formula growth period and yoghurt drink, which were considered important for infant health by mothers, were not related to current weight. Moreover, stressing on early introduction of supplements or various food intake were not proved to be sufficient to affect current weight during weaning period. Along with frequent feeding, sufficient food intake rather than early introduction of supplements after the second part of the first year has to be stressed to ensure better growth of Korean childre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