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음챙김 요가가 대학 신입생의 진로 프로그램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진로결정자기효능감, 우울을 중심으로

        문진건(Moon Jin Keon),손강숙(Shon Ka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본 연구는 진로 및 취업 교과목으로 진로프로그램에 마음챙김 요가를 추가하여 실시함으로써 대학신입생들이 자신들의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진로결정 시의 자기효능감을 증가시켜 진로발달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산 소재 대학의 대학 신입생 총 5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을 무처치의 통제집단, 진로 교과목을 통해 진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실험집단1, 진로 프로그램에 마음챙김 요가를 추가하여 실시하는 실험집단2로 나누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와 우울 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고 집단간 평균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효능감의 경우, 실험집단2에서만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의 유의미한 평균 변화가 나타났다. 집단 간 비교에서도 실험집단2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의 경우,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에서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의 유의미한 평균 변화가 나타났으며,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의 우울 점수에 있어서 집단별 다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 간 처치에 따른 우울 점수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실험집단2의 우울 점수가 통제집단과 실험집단1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진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제안의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mindfulness yoga on career program effectiveness focusing on college freshmen’s depress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 total of 56 college freshmen studying at four-year college in Busan were studied. The subjects were 3 groups; The control group is an untreated group. Experiment group 1 is a group that carries out a career program. Experiment group 2 adds mindfulness yoga to the career program.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and depression scale were administered by pre- and post–test an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analyzed. As a result, first, in the comparison of the pre-and post-scor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mean was observed only in experimental group 2. In the group comparis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experimental group 2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Second, in the comparison of the pre-and post-scores of depres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mean was observed in experimental group 1 and experimental group 2.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2 was that post-scor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scores, and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1 was that post-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scores. Therefore, different aspects of each group were confi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areer programs.

      • KCI등재

        인도 심리학의 삼질 성격이론

        문진건 ( Jin Keon Moon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4

        이 글의 목적은 최근 인도 심리학계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삼질 성격이론에 대하여 심도 있는 소개를 하는 것이다. 삼질 성격이론이란 인도 성전과 상키야 철학에서 보여주는 삼질에 대한 철학적 이론을 현대의 심리학적 분석과 방법론을 통하여 성격 심리학으로 재탄생시킨 것이다. 인도 심리학자들은 삼질 성격이론의 연구에서 인간의 마음을 이루고 있는 구성 요소인 삼질은 한 개인의 성격 형성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핵심적 주장으로 삼고, 삼질에 대한 많은 문헌적 근거를 들어 삼질의 개념을 심리학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이 글은 삼질 성격이론의 소개와 함께 인도 심리학자들에 의하여 만들어진 삼질에 대한구성개념이 과연 철학적인 원의를 손상시키지 않고 심리학이 추구하는 바를 잘 달성하고 있는가하는 문제에 중점을 두었다. 삼질 성격이론은 개인적 문제의 해결에 중점을 둔 서구의 성격이론들과는 달리 영적 성장에 방향을 맞추고 해탈의 상태를 최상의 성격 유형으로 보기 때문에 인도 전통문화와 조화롭게 어울릴 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영적 추구에 대한 관심을 충족시키는 성격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삼질의 심리학적 구성개념이 원래의 철학적 원의를 모두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했고, 과학적 연구의 역사가 일천한 삼질 성격이론이 더욱 발전된 경험적 연구를 위해서 선행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들을 볼 수 있었다. 그 중에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것이 개선된 삼질 척도를 만들기 위하여 삼질의 심리적인 속성에 대한 합의 된 개념을 도출하는 것이라고 본다. 이 글은 끝으로 삼질 성격이론이 경험적 연구에서 더욱 발전하여 심리학계에서 정립된 이론으로 인정받기 위해서 몇 가지 선행되어야 할 점들을 제안하였다. Indian psychology has developed a theory of personality based on the triguna theory that the Samkhya system of Indian philosophy put forward. The central tenet of the triguna personality theory is that the human psyche is made up of three dynamic elements called sattva, rajas, and tamas which constitute one’s personality trait. Three gunas are said to be present in everyone in different degrees, explaining distinctions not only in behavior but also in spiritual well-being. The triguna theory of personality fulfills the need of Indian people for psychological theories compatible with Indian religious and cultural backgrounds. This article presents an overview of the triguna theory of personality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mpirical and scientific research on well-being and spirituality. The exploration of how psychological methods can deal with the philosophical concepts of triguna is weaved to make this overview.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provides a summary of the development of Indian psychology that was stimulated by western psychology in early 20th-century India. Next, the article starts to discuss the triguna theory of personality in Indian psychology, especially focusing on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of it. Finally, the article discuss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oretical basis for the triguna personality theory and empirical study of it. This study also suggests some ideas for a more systematic empirical study of the theory. In the recent wave focusing on scientific study, Indian psychologists applied scientific methods to the study of the triguna personality theory, which had been on the basis of theoretical research of classical scriptures of Indian philosophy, and made the guna inventories to measure personality structures. This study points out that because guna constructs differ in every study, the guna inventories are very different. It is suggested that reaching a consensus on guna constructs can solve the problems that the different guna scales may cause. The agreement on guna concepts could be reached when the researchers of the triguna personality theory fully understand that the original concepts of triguna, depicting the nature of the unenlightened mind, do not only have materialistic and objective meanings but also show the subjective side of mental activities in the metaphorical sense.

      • KCI등재후보

        불교명상입문서 간행의 현황과 분석

        문진건 ( Moon Jin-keon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9 한국불교사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의 불교명상 입문서의 발간현황을 양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불교명상 관련 국내의 출판계와 학계의 상황을 보여주는 논문이다. 지난 10여 년간 불교명상 입문서 간행과 관련하여 시기별 발간 종수와 저자 특성을 확인하였다. 2011년에서 2013년까지 볼 수 있었던 불교명상 입문서의 양적 증가는 이 시기에 국내 출판계에서 불교명상 전반에 걸친 관심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명상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대중적 인기가 커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는데, 주로 심리치료와 관련된 명상(마음챙김 명상)의 연구 증가 및 힐링과 웰빙을 위한 명상에 관한 대중적 관심의 증가가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저자의 전공의 경우, 불교학을 전공한 비성직자 학자들이 불교명상 입문서를 저술하는 경우가 가장 적었다. 지난 10여 년간 발간된 불교명상 입문서의 42%가 외국서적이었다는 것을 보면, 국내 불교학자들의 불교명상에 대한 관심은 낮은 편이며 따라서 연구도 부족하다고 본다. 반면에 국내 저자들 중에서 비성직자이자 비전공자인 저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크고, 해마다 증가하는 수치를 보인다. 이처럼 비전공자에 의한 불교명상 입문서의 저술이 지속되는 현상은 불교명상의 정체성 혹은 전문성이 강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명상의 관심이 급증하는 현재의 상황에서 명상이나 웰빙 또는 힐링과 불교명상을 적극적으로 연결하지 못하고 오히려 불교명상에 대한 관심은 멀어지고 명상에 대한 관심만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와 같은 대중적 인식의 변화에서 불교명상과 불교에 대한 관심을 함께 끌어올리기 위해서라도 국내의 불교학계에서는 학제 개편과 학제 간 융합 연구와 같은 적극적인 연구 인프라 구축 작업이 실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불교명상 입문서 간행에 관한 양적 분석만 하였을 뿐, 연구대상에 관하여 일일이 정밀한 내용 분석을 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추후에 불교명상 입문서에 관한 보완적 연구로 더 깊이 있고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reference books for beginner about Buddhist meditation from 2008 to 2019 in Korea. In the past decade, we have identified the number of species publish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authors in relation to the publication of Buddhist Meditation.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reference books of Buddhist meditation seen from 2011 to 2013 suggests that interest in overall Buddhist meditation has increased in the domestic publishing world at this time.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growing social awareness and popularity of meditation, mainly due to the increased research of meditation (especially, mindfulness meditation) related to psychotherapy and the increasing public interest in meditation for healing and well-being. In the author's major field, non-clerical scholars who majored in Buddhism rarely wrote reference books or introductory textbooks on Buddhist meditation. Considering that 42% of reference books of Buddhist meditation published in the last decade have been foreign books, Korean Buddhist scholars are less interested in Buddhist medit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the authors who are not Buddhist monks and not majored in Buddhist study among domestic authors is relatively large and shows a yearly increase. As such, the continuation of the writing of reference books of Buddhist meditation by non-majors suggests that the identity or professionalism of Buddhist meditation is not strong. This study has only limited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publication of reference gooks for beginner of Buddhist meditation, and has not been able to analyze precise contents on the subjects. It is hoped that further discussion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as complementary research on reference books and introductory textbooks of Buddhist.

      • 적극적 명상을 통한 무의식적 심상의 이해

        문진건(Jin-keon Moon)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4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상상의 양상 중에서 어떠한 것이 적극적 명상이라고 분류할 수 있는가를 명료하게 알아보기 위해 적극적 명상의 기본 단계를 조사하고, 자유연상, 상상, 기호와 상징 등의 주제들을 통해 적극적 명상의 특징을 드러내면서 적극적 명상으로 어떻게 무의식적 힘을 만나고 이해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적극적 명상은 단순한 상상의 활동이 아니고, 무의식에서 발현되는 마음의 심상을 환원적인 방식으로 이해해서도 안 되며, 이미지에 대한 표면적인 이해를 넘어서서 그 심상이 내포하고 있는 초월적인 힘을 체험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적극적 명상과 다른 상상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은 그것이 어떤 종류의 의식 행위인가를 조사함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그 행위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무비판적인 의식 상태와 무의식적 메시지에 도달하려는 행위자의 노력 여부로 가능하다. 즉 적극적 명상은 무의식적 심상이 지닌 원형적 분위기를 공명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단지 이미지 뒤에 숨겨진 억압된 충동과 기억을 떠올리려는 것을 넘어 이미지가 지닌 인류 공통의 메시지를 직관적으로 체험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적극적 명상은 깨어 있는 상태에서 무의식의 내용을 조심스럽게 관찰하고 의식적으로 그들을 연관시키려는 시도로부터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마음의 심상이라는 출발점은 같다. 다만 그 출발점을 어떻게 발전시켜 마음속으로 다가갈 것인가의 문제에서 적극적 명상은 무비판적 의식, 의식의 확충, 건설적이고 적극적인 해석, 상징에 내재한 초월적인 기능과의 접촉 등을 필요로 한다. This study explored basic steps of active imagination and looked at related topics such as free association, imagination, signs and symbols in order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Jung’s active imagi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loration, active imagination is not a reductive way to understand the mental images that emerge from the unconscious. In active imagination a patient should go beyond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her image and experience the transcendent power contained in that image. The key to active imagination is restraining the conscious waking mind from exerting influence on internal images as they unfold. There must be an effort to resonate the archetypal atmosphere in the unconscious. There must be an effort to challenge herself by conveying a message of humanity overflowing with images that goes beyond just trying to fulfill repressed impulses and memories hidden behind images. Active imagination intentionally seeks to relate to the contents of the unconscious. Its starting point is an image in the mind. Starting from the beginning to the unconscious power of the abyss, active imagination requires uncritical consciousness, amplification, constructive interpretation, and contact with the transcendent function inherent in the symbol.

      • RISS 인기논문

        코로나19 일상의 우울과 불안을 다루기 위한 마음챙김 심리치유법에 대한 고찰 : 심리기제와 마음챙김 기반 기술을 중심으로

        문진건(Moon, Jin-keon)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1 마음공부 Vol.2 No.-

        본 연구는 코로나 19라는 국가 재난의 상황에서 전 국민의 불안과 우울로 인한 심리 정신적 고통을 경감하기 위한 대중적인 심리치료로서 보급과 활용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용이한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의도를 가지고, 우울과 불안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마음챙김 심리치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작하였다. 마음챙김 명상은 우울과 불안을 다루는 데 있어서 이미 효과가 검증이 되었으며, 비대면으로도 교육이 가능하고 명상의 기술을 일단 습득을 하면 혼자서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급과 활용에 있어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울과 불안이 심한 내담자를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기존의 마음챙김 프로그램들의 사용에서 얻은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한편으로는 새롭게 드러나는 가설들을 활용하고 다른 한편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부분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특히 우울과 불안의 심리기제와 마음챙김 명상의 핵심적 요소와 이에 따라 사용되는 기법을 우울과 불안의 심리기제와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마음챙김 명상의 훈련의 원리에서 얻을 수 있는 의식의 변화에 대한 이론과 기분장애를 겪는 동안 어떤 기법이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어떤 핵심요소들이 사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았다. 이 연구는 아직 경험적 실증적 자료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확실한 연구결과라고 주장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나 향후의 실험과 후속 연구를 위해서 중요한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study suggests that a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meditation will be effective in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as a popular psychotherapy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pain caused by the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whole people in the context of a national disaster called Corona 19. The study started with intention to develop present mindfulness-based psychotherapy programs that can prevent and cope with depression and anxiety. Many researches has already proven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dealing with depression and anxiety, and it is possible to educate mindful meditation skills non-face-to-face, and once one acquires the techniques of meditation, he/she can practice it alone, so it has an advantage in dissemination and us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from the use of existing mindfulness-based programs that can effectively heal clients with severe depression and anxiety, and on the one hand, utilizes newly revealed hypotheses, and on the other hand, reveals areas that need more research.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 core element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the techniques used accordingly in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depression and anxiety.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on which techniques can have an effect while experiencing mood disorders, I specifically explored which key elements should be use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cannot be asserted as the result of an empirical study yet, but I think it can be an important basic data for future experiments and subsequent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