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음인문학 공유분야의 현황과 비전 : 마음공부 공유 플랫폼을 중심으로

        백현기(Baek, Hyeon-Gi)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0 마음공부 Vol.1 No.-

        본 논문은 마음인문학 공유분야의 현황과 비전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인문학 공유분야가 그동안 연구한 현황 조사를 통해 확인한 현상을 바탕으로 한다. 그리고 연구소가 앞으로 나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마음인문학 공유 플랫폼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마음공부를 제안한다. 첫째, 마음인문학 공유 플랫폼은 다양한 사람들과 마음인문학 콘텐츠를 유기적으로 상호 교류하는 장이다. 이러한 공유 플랫폼 안에서 ‘지속적으로 다양한 마음인문학콘텐츠 수용을 통해 마음인문학 토대를 형성한다. 동시에 상호교류를 통한 마음인문학의 성장으로 새로운 가치관과 마음인문학을 창조하는 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마음공부의 많은 부분이 가상현실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제안했다. 현실세계에서 쉽게 경험하기 어려운 다양한 경험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은 마음공부의 목적 달성 측면에서도 유용한 교육방법 및 매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가상현실을 마음공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재미의 요소를 적절히 조화한 교수설계 모델이 필요하다. 가상현실을 활용한 마음공부는 마음공부의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고 첨단 IT기술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하는 시대에 새로운 교육 수단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present status and vision of the field of sharing the mind humaniti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henomenon that the field of sharing the humanities of the mind has been confirmed to be valid and useful as illustrated in the current status survey. And I want to discuss the desirable direction the institute should take. Therefore, I propose to study the mind using the mind humanities sharing platform and virtual reality. First, the Mind Humanities Sharing Platform is a venue for organically interacting with various people in the mind humanities content. Within this shared platform, the foundation of the mind humanities is formed through the continuous acceptance of various mind humanities contents. At the same time, it was defined as a place for creating new values and mind humanities through mutual exchange. Second, many parts of mind practice were suggested to be experienced in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which can provide learners with a variety of experiences that are difficult to experience in the real world, could also be a useful teaching method and medium in terms of achieving the purpose of mind practice. In order to apply virtual reality to mind study, a professor design model that appropriately combines elements of education and fun is needed. Mind practice using virtual reality will help achieve the goal of mind study and become a new means of education in a changing era when cutting-edge IT technology affects society as a whole.

      • 마음인문학의 회고와 전망

        장진영(Jang, Jin-Young)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0 마음공부 Vol.1 No.-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는 ‘마음인문학, 인류정신문명의 새로운 희망’을 아젠다로 지난 2011년 12월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10년에 걸쳐 마음에 대한 근원적 성찰과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사상·치유·도야·공유의 네 분야에서 동서고금의 마음담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다양한 학문 영역과 비교 및 융합연구를 시도하였으며, 마음의 치유와 도야를 위한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개발, 현장적용 및 효과검증 등 실천연구 등을 전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학술 영역, 사회적 확산 영역, 토착화 영역 등으로 아젠다 구현을 위한 중점사업을 전개하였다. 먼저 연구학술 영역(4월 현재)에서는 국제학술대회 10회, 국내학술대회 41회, 그리고 소규모 학술회의 70회 이상 하였고, (저자로 HK연구진이 참여한 경우만) 총 198편의 연구논문과 총 43권의 저역서를 저술하였다. 한편 사회적 확산 영역에서는 시민강좌(마음학교), 마음지도사 양성과정, 대학교양수업, 마음인문학 특강, 언론미디어, 다큐 및 영상콘텐츠 제작 보급, 홈페이지 및 전자문화지도 등 온라인서비스 등 양질의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토착화 영역에서는 프로그램 수집 및 현장조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마음캠프 운용, 마음공부방 개설 등을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도 대체로 마음연구(마음의 원리적 구조적 이해, 치유·도야 이론 및 방법론 등), 이상적 인간상 및 마음공부 모델 제시, 프로그램 개발, 적용 및 효과검증, 마음지도사 양성 및 전문화, 마음공부의 일상화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치유와 도야 모델이 제시되었는데, 이를 마음공부 모델로 제시해보았다. 먼저 마음의 ‘분별’ 유무에 따라 본성(근본심)과 현상(분별심)으로 구분하고, 다음으로 마음의 현상을 ‘의지 유무’에 따라 현상(수동적 반응)과 작용(능동적 반응)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작용이 미치는 ‘범위’에 따라 몸을 매개로 안으로는 자기치유(스스로 치유) 혹은 자기 성장, 밖으로는 관계치유(더불어 치유) 혹은 관계 성장 등 응용과 확장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음인문학’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제는 ‘과학혁명’을 넘어 ‘마음혁명’이 필요한 시대이다. 그동안에도 연구소는 마음의 주체를 바로 세우고, 물질을 잘 활용하여 인류 정신문명의 새로운 희망과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앞으로도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할 수 있는 ‘지금 여기’ 마음공부를 통해 플랫폼 구축 및 마음공부공동체 실현을 위한 한 걸음을 내디딜 계획이다. The Institute of Mind Humanities(IMH), Wonkwang University, was selected for the Humanities Korea(HK) project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in December 2010 with the The Mind Humanities : A New Vision for the Spiritual Civilization of Human Societies as the agenda. In order to present practical alternatives, literature comparison studies and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discourse of mind of East and West, in four fields, namely Thought, Healing, Education, and Sharing, and convergence with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humanities and psychology, medicine, science, pedagogy, and sociology. Attempts were made to conduc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mind practice program for healing and toning of the mind, practical application to participate in the field such as field application and effect verification were conducted. In this process, a major project for realizing the agenda was developed in various research and academic fields, social diffusion areas, and indigenous areas. In the field of research and scholarship, 10 international conferences, 41 domestic conferences, and more than 70 small academic conferences were held, and 9 HK researchers totaled 198 research papers. More than 20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each year by submitting, and 43 books were published. In social proliferation, quality activities such as citizen lectures, training courses for mind instructors, college classes, special lectures in mind humanities, press media, documentary and video content production, and online services such as homepage and electronic culture guidance were conducted. Additional activities include field surveys,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opening of a mind camp or mind practice meeting. The research process was also conducted with mind research, mind practice model presentation, program development, application, effect verification, program diversification and subdivision, mind coach training and specialization, mind study daily life and daily life. Various healing and education models have been presented, and if you present a mind study model, the mind phenomenon, again with the nature (true mind) and phenomena (arising min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cernmen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ssive and active reactions to the apocrypha, that is, will (execution). Phenomenon and actio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In addition, various applications and extensions such as self-healing and relational healing on the inside were suggested to be possible. IMH is still pioneering a new field of study called Mind Humanities . As a mind practical of mind humanities and now here , which unfolds the mask of abundance caused by the scientific revolution and then presents new hopes and practical alternatives to mankind through the Mind revolution , realizes a mindful community.

      • ‘생활 속 마음공부’ 프로그램 입안을 위한 철학적 서설

        이기흥(Ki-heung Lee)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2 마음공부 Vol.5 No.-

        오늘날 명상과 마음공부가 유행하면서 일상생활과 마음공부의 거리가 그 어느 시기보다도 가까워지고 있다. 다만 이 둘의 관계는 아직도 여전히 선형적으로 이해되고 있는 상태다. 즉 일상생활을 하다가 마음공부를 하고 그리고 다시 일상생활로 돌아가는 식으로 둘의 관계가 이해되고 있는 상태다. 이런 식으로는 마음공부가 일상생활에 뿌리내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필자는 이 글에서 다음과 같은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첫째, 일상생활과 마음공부는 선형적인 순서로 진행될 것이 아니라 동시에 병행하면서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둘째, 저러한 상호과정은 다시 생활의 마음공부화와 마음공부의 생활화로 세분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이 둘은 변증법적 관계를 맺으면서 서로 상승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 넷째, 이 과정은 총 여덟 단계의 하부 마음공부 과정들을 갖는 마음공부 프로그램으로 체계화될 수 있다. 이런 마음공부 프로그램에 필자는 ‘생활 속 마음공부’라는 이름을 부여하였다. As meditation and mindful practice are popular in modern society, the distance between daily living and mindful practice is getting closer than eve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ields is still understood to be linear, with people learning mindful practice after their daily lives and then returning to their everyday lives. In my opinion, if things continue like this, mindfulness practice cannot be anchored in people's everyday lives. In contrast to that, I came up with the following ideas. First, daily living and mindful practice should not proceed in a linear order, but should exist concurrently and interact. Second, such a collaborative process can be subdivided into daily living with mindful practice and daily practice of mindful practice. Third, these two can mutually accelerate each other by forming a dialectic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Fourth, this can be systematized as a program consisting of a total of eight sub-steps of mindful practice. I have named this mindful practice program ‘Mindful Practice of Daily Living’.

      • 〈똥막대기 마음공부〉 뉴스레터 프로그램의 원리와 구성

        오용석(Yong-Suk Oh)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2 마음공부 Vol.4 No.-

        본 연구는 <똥막대기 마음공부> 프로그램의 바탕이 되는 불교명상의 원리와 구조 그리고 특정에 주목하였다. <똥막대기 마음공부> 뉴스레터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은 곽암의 십우도와 백장의 삼구설에 기반하여 구성되었는데 이를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기존의 십우도에 백장의 삼구설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크게는 3단계, 작게는 10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때 십우도의 해석은 주로 십우도의 원문을 중심으로 십우도에 현대적 해석을 시도한 학자들의 관점을 적용한 것이다. 특히 선불교적 관점에서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원리와 구성을 설계하였는데, 이 가운데 십우도를 백장의 삼구설로 해석하고 프로그램에 적용한 것은 연구자의 새로운 시도이다. 십우도에 대응하는 <똥막대기 마음공부> 프로그램의 단계는 각각 ‘발심’, ‘깨어있음, ‘연기’, ‘지혜’, ‘자비’, ‘이타행’, ‘균형과 확장, ‘반조’, ‘무분별’, ‘생성과 장엄’이다. 둘째, <똥막대기 미음공부> 프로그램에 선불교의 깨달음에 나타난 특징이 적용되었음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선불교 깨달음의 특징을 크게 활발발한 일상성을 구현하는 것을 중시하는 것과 불이중도를 통해 깨달음을 실현하는 것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전자를 통해서 선불교의 깨달음은 선형적으로 범부에서 성인이 되는 구조가 아니라 성인의 경지를 부정하고 다시 일상을 회복하여 평상심을 실현하는 데 특징이 있음에 주목하였다. 후자를 통해서는 미음의 본성인 진심(眞心)에는 어떠한 실체도 없다는 것과 마음의 성품이란 깨달음의 대상으로서의 실체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똥막대기 마음공부> 프로그램에서는 선불교에서 추구하는 활발발한 일상의 구현과 중도적 원리를 실천하는 것에 주목하였고 이를 지적인 측면과 실천적 측면으로 통합시켰다. 셋째, <똥막대기 마음공부> 뉴스레터 프로그램에 나타난모델의 원리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프로그램의 모델은 기본적으로 십우도의 비선형적 특징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비선형적 특징을 통해 상대주의나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로그램을 구체적인 삶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찾을 소를 전제하고, 다시 그러한 소를 이상화시키는 십우도가 아니라 깨달음의 실천을 담보할 수 있는 선불교의 평상심을 적용하여 십우도를 해석하였다. 더 나아가 <똥막대기 마음공부> 프로그램에 이러한 내용을 적용해 실체에 대한 집착을 극복하고 삶 속에서 생성과 장엄의 보살만행을 해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Buddhist meditation principl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that form the foundation of the <Ttong-mag-dae-gi Mindful Practice> program. The <Ttong-mag-dae-gi Mindful Practice> newsletter program is based on Kuoyan's the Drawings of the Ten Bulls and Baizhang's the Three Phrases theory, which are extensively analyzed from three perspectives. Baizhang's Three Phrases theory was first applied to the Drawings of the Ten Bulls, with the program consisting of three stages at a large scale and ten stages at a small scale. At this time, the interpretation of the Drawings of the Ten Bulls was mostly based on the Drawings of the Ten Bulls' original text and applied the perspective of scholars who attempted modern readings of the Drawings of the Ten Bulls. In particular, the Seon Buddhism Perspective created the overall principles and structures of the program, among which the interpretation of Drawings of the Ten Bulls as Baizhang's the Three Phrases theory and its application to the program represents a novel endeavor by researchers. Beginner's mind, awakening, dependent arising, wisdom, compassion, altruism, balance and extension, reflection, non-discrimination, and becoming and creation are the steps of the Ttong-mag-dae-gi Mindful Practice program that correspond to the Drawings of the Ten Bulls. Second, the features of Seon Buddhism's enlightenment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Ttong-mag-dae-gi Mindful Practice> program. This research centered on recognizing the features of Seon Buddhism's Dailiness and achieving enlightenment through The Middle Way as nonduality. Through the former, it was determined that the enlightenment of Seon Buddhism is not a framework that linearly transforms a Worldling into a Noble One, but rather consists of realizing the Ordinary Mind by denying the Noble Ones state and restoring Dailiness. Through the latt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substance in the True mind and that the nature of the mind has no substance as an enlightenment object. The <Ttong-mag-dae-gi Mindful Practice> program emphasized the application of a dynamic Dailiness and the middle path pursued by Seon Buddhism, and included them into its intellectual and practical components. Thirdly, the principles and structures of the model illustrated in the <Ttong-mag-dae-gi Mindful Practice> newsletter program were investigated. The program's model is basically a nonlinear feature of Drawings of the Ten Bulls. Through these nonlinear qualities, it was not only feasible to transcend relativism or nihilism, but also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implementing the program in everyday life. In addition, the Drawings of the Ten Bulls were interpreted using Seon Buddhism's Ordinary Mind, which ensures the practice of enlightenment, as opposed to the Drawings of the Ten Bulls, which idealize these cows once more. Moreover, these themes were applied to the <Ttong-mag-dae-gi Mindful Practice> program in order to overcome the fixation with reality and carry out the Bodhisattva's Becoming and Creation practices in daily life.

      • 사회적 마음챙김

        정경일(Kyeong-Il Jung)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3 마음공부 Vol.7 No.-

        ‘마음챙김 혁명(The Mindfulness Revolution)’이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마음챙김은 현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음챙김은 불교 교리와 수행을 토대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세속적 현대 심리학과 심리치료에서도 비종교적, 탈종교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심지어 종교의 경계를 넘는 초종교적 마음챙김도 나타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모색되고 있는 ‘그리스도교 마음챙김(Christian mindfulness)’을 살펴보고, 그리스도교의 ‘인격적 차원’인 ‘가슴챙김(heartfulness)’과 ‘해방적 차원’인 ‘사회적 영성’이 고통의 시대에 요청되는 ‘사회적 마음챙김’ 형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탐구하고자 한다. Mindfulness is having such a profound impact on contemporary world that it has been described as “The Mindfulness Revolution.” While mindfulness is known to be based on Buddhist teachings and practices, it has also been used in secular modern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in non-religious and post-religious ways, and there is even an emergence of trans-religious mindfulness that crosses religious boundaries.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the recent development of ‘Christian mindfulness’ and explore how Christianity’s ‘personal dimension’ of ‘heartfulness’ and its ‘liberative dimension’ of ‘social spirituality’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social mindfulness’ called for in times of suffering.

      • 일상에서의 마음공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은진(Eunjin Kim)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2 마음공부 Vol.4 No.-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진 삶의 이면에 우리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마음의 문제는 더욱 커져만 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들이 진정바라는 마음의 치유와 마음의 자유를 근본적으로 기능하게 하는것은 “일상에서의 마음공부”라는 사실에 주목하고, 용심법 마음공부를 보다 명료하게 모형화하는 하나의 구체화 시도를 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음공부개념 틀의 형성에 대해 마음의 속성을 기반으로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이 마음공부 개념 틀을 기초로 구성요소들을 어떻게 조직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전환학습을 기반으로 마음공부 모형을 구체화하였다. 이러한 연구모형 개발 절차에 따라 본 연구는 ‘없는자리(원래 마음)’에서 무위이화 자동적으로 ‘있는 자리(일어나는 마음)’가 생겨나는 진리의 속성, 즉 우리들 마음의 속성에 초점을 두고 마음공부블 개념화하였고, 이러한 “마음의 속성을 잘 이해하는 것”, 그리고 “안으로 마음을 잘 작용한다는 것”과 “밖으로 마음을 잘 사용한다는 것”에 핵심을 둔 미음공부 모형을 제안하였다. The mental health concerns brought on by an affluent lifestyle are becoming more seriou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sserted that “mind practice in daily life” is what truly enables the freedom and healing of the mind, and sought to clarify the mind practice model. To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ion of the mind practice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 nature of the mind, and on how constructs might be arranged based on this framework, the mind practice model is specified based on transformative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is research model development procedure, this study conceptualized mind practice by focusing on the nature of truth that automatically creates a “place of existence (the mind that arises)” from a “place of absence (original mind)”. In addition, a mind practice model was proposed that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properties of the mind well”, “working the mind well within” and “using the mind well outside”.

      • 마음통합 산업의 현황과 과제, 그리고 긍정적 선용 가능성

        이정민(Jung-Min Lee),장진영(Jin Young Jang)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2 마음공부 Vol.4 No.-

        마음통합의 범위는 우리의 몸과 일상, 그리고 사회적, 생태적, 나아가 우주적 관계에 이르기까지 관계된다. 마음통합 산업을 논의할 때, 우리는 과연 경제적 이윤을 염두에 둘 것인가, 아니면 종교적 포교를 염두에 둘것인개 그렇지 않다면 모두에게 이로운 방향(자리이타)으로 누구나 참여하여 혜택을 누리를 수 있는 방향, 개인의 영적 성숙뿐 아니라 사회적, 생태적 문제의 해결까지 염두에 두고 나갈 것인가 등의 화두를 통해 그 목적을 좀 더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그 목적은 결국 우리의 행동을 결정할 것이다. 우리가 명상을 명상센터에서 하든, 명상 앱을 통해 가상현실에서 하든 그 목적이 분명하다면, 마음통합 산엽이 어떻게 진행된다 하더라도 그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가치 있는 목적은 업력(業力)에 끌려가는 삶을 원력(願力)으로 끌어가는 삶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도화된 삼독(세 가지 좋지 않은 마음)’을 알아차리는 것은 우리의 개인적 욕심에 의해 선택되고, 사회적 전승으로 강화된 ‘관념의 틀’에 가려있는 자신(에고)을 자각하고 벗어나는 일이다. 이를 위해 무분별심(不二의 마음)으로 지금 이 순간에 자신과 세상을 향해 온전히 깨어있어야 하며, 매 순간 올바른 판단을 통해 자리이타로 자비와 정의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마음통합 산업은 마음에 대한 근원적 성찰 통합적 이해, 실천적 대안 제시를 염두에 두고 이 문제를 철저히 다루지 않으면 안 된다. 먼저 우리의 마음이 어디로 향하고,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근원적 성찰이 없다면 마음통합은 어려운 일이다. 각자의 미음이 과연 독립된 실체로서 작용이 기능한 것인지, 아니면 모든 것들과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것인지, 그리고 마음이 작용할 때 어디로 향하는지, 의식에 형성된 관념의 틀과 그 마음이 향하는 방향(목적) 등에 대한 ‘근원적 성찰’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농업혁명 이후 수많은 철학, 종교 전통뿐만 아니라 과학혁명 이후 새롭게 밝혀진 과학적 사실을 수용함으로써 인간(자아)과 환경(세상), 그리고 그 상호작용에 대한 ‘통합적 이해’가 병행되어야 한다. 산업은 사람의 생활에 필요한 물질적, 비물질적 가치들을 생산하는 활동이다. 마음산업이 마음을 산업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라면, 마음통합산업이라는 용어는 막연하게 인식되던 마음의 가치를 산업과 접목함으로써 분명하게 제시될 가능성의 조어이다. 문화의 산업화, 산업의 문화화라는 콘셉트(concept)를 내세웠던 문화산업에 대한 거부감과 논쟁이 마음통합 산업에서도 여전히 논란이 될 수 있겠지만, 삶 전반은 통합과 융합, 통섭의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고, 5G와 메타버스로 대변되는 새로운 기술 문명의 기저에는 마음에 대한 대중적 실천에 도움 될 만한 다양한 긍정적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선용의 차원에서 접근하면, 마음의 통합적 연구를 통해 결국 각자의 문제는 물론, 우리의 마음의 문제가 다른 이들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음을 자각하고, 자신을 둘러싼 사회적, 생태적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적 대안’을 마음공부나 명상수행의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Mind integration encompasses our body and daily lives, as well as social, ecological, and even cosmological relationships. When discussing the mind integration industry, its purpose must be clarified by addressing questions such as whether we should be mindful of economic profits or religious missionary work, or whether we should be mindful of resolving social and ecological issues as well as spiritual maturity. The aim will ultimately dictate our behavior. If the aim is clear, whether we sit in a meditation center or in virtual reality via a meditation app, the mind integration industry will not diverge from that purpose regardless of how it develops. Recognizing “institutionalized Samdok (three bad minds)” is to be conscious of and escape oneself (ego) chosen by our personal greed and concealed by the “conceptual framework” strengthened by social transmission. To do this, you must be completely awake to yourself and the world in the present moment with a thoughtless state of mind, and you must be able to practice mercy and justice through correct judgment when you choose and act in each and every instant, continually enhancing your work and life. Consequently, the industry of mind integration must comprehensively address this issue with fundamental contemplation on the mind, an integrated understanding, and viable alternatives in mind. We cannot exist without our hearts for even a second. Integration of the mind is challenging in the absence of fundamental reflection on where the mind travels and how it functions. A “fundamental reflection” on whether each mind can behave as an autonomous entity or whether it interacts with everything, where the mind heads when it is working, the structure of concepts created in consciousness, and the direction (purpose) the mind confronts should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nd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human(self), environment(world), and interaction should combine diverse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traditions after the agricultural revolution, as well as newly revealed scientific truths and methods following the scientific revolution. If industry is an activity that produces material and non-material values that a person needs to live, and the mind-integrated industry looks at the mind from the perspective of industry, then the term mind integration industry is a term that has the potential to precisely define the previously undefined value of the mind. Although the rejection and debate of the cultural industry, which advocated the concept of the culturalization of industry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may still be controversial in the mind integration industry, life as a whole is moving toward integration, convergence, and communication, and the foundation of the new technological civilization exemplified by 5G and the metaverse contains a number of positive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good use, through integrated research on the mind, we will be able to recognize that not only our own problems but also our own problems are irrelevant to others' problems, and we will be able to present “practical alternatives” to solve social and ecological problems surrounding ourselves as a form of mindful practice or meditation.

      • RISS 인기논문

        코로나19 일상의 우울과 불안을 다루기 위한 마음챙김 심리치유법에 대한 고찰 : 심리기제와 마음챙김 기반 기술을 중심으로

        문진건(Moon, Jin-keon)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1 마음공부 Vol.2 No.-

        본 연구는 코로나 19라는 국가 재난의 상황에서 전 국민의 불안과 우울로 인한 심리 정신적 고통을 경감하기 위한 대중적인 심리치료로서 보급과 활용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용이한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의도를 가지고, 우울과 불안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마음챙김 심리치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작하였다. 마음챙김 명상은 우울과 불안을 다루는 데 있어서 이미 효과가 검증이 되었으며, 비대면으로도 교육이 가능하고 명상의 기술을 일단 습득을 하면 혼자서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급과 활용에 있어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울과 불안이 심한 내담자를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기존의 마음챙김 프로그램들의 사용에서 얻은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한편으로는 새롭게 드러나는 가설들을 활용하고 다른 한편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부분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특히 우울과 불안의 심리기제와 마음챙김 명상의 핵심적 요소와 이에 따라 사용되는 기법을 우울과 불안의 심리기제와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마음챙김 명상의 훈련의 원리에서 얻을 수 있는 의식의 변화에 대한 이론과 기분장애를 겪는 동안 어떤 기법이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어떤 핵심요소들이 사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았다. 이 연구는 아직 경험적 실증적 자료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확실한 연구결과라고 주장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나 향후의 실험과 후속 연구를 위해서 중요한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study suggests that a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meditation will be effective in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as a popular psychotherapy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pain caused by the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whole people in the context of a national disaster called Corona 19. The study started with intention to develop present mindfulness-based psychotherapy programs that can prevent and cope with depression and anxiety. Many researches has already proven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dealing with depression and anxiety, and it is possible to educate mindful meditation skills non-face-to-face, and once one acquires the techniques of meditation, he/she can practice it alone, so it has an advantage in dissemination and us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from the use of existing mindfulness-based programs that can effectively heal clients with severe depression and anxiety, and on the one hand, utilizes newly revealed hypotheses, and on the other hand, reveals areas that need more research.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 core element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the techniques used accordingly in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depression and anxiety.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on which techniques can have an effect while experiencing mood disorders, I specifically explored which key elements should be use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cannot be asserted as the result of an empirical study yet, but I think it can be an important basic data for future experiments and subsequent studies.

      • 마음공부 기반 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전망 : ‘심심풀이 M3’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은수(Lee, Eun-Su)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0 마음공부 Vol.1 No.-

        본고에서는 ‘심심풀이 M3’가 어떠한 배경과 목적 아래 개발되고 내용이 구성되었는지 탐색하고, 청소년 마음공부 인성교육으로서 심심풀이 M3프로그램의 현황 및 성과와 전망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마음인문학연구소는 마음공부와 도덕교육을 통한 원만한 인격의 세계시민 양성이라는 기조 아래 인성교육을 통한 마음인문학의 사회 확산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하여왔다. 청소년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과 연구 중, 2014년 마음인문학연구소는 희망숲인성교육센터과 연계하여 ‘심심(心心)풀이 Meta-Mind Meditation’을 개발하고 이후 추가로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현재는 업그레이드된 버전의 ‘심심풀이 Meta-Mind Meditation(심심풀이 M3)’가 현장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과 성과가 반영되어 청소년 마음공부 인성교육 심심풀이 M3는 문화체육관광부 평가 결과 청소년 사업에서 청소년 인성교육 최우수 프로그램(2016, 2017년), 우수프로그램(2014년)으로 선정된 바 있다. 심심풀이 M3 프로그램은 개발 이후 지속적인 개선이 있었으며, 프로그램 전문강사인 지도자 양성 교육 또한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적용과 성과를 바탕하여 보다 많은 기관과 청소년에게 지속적으로 확장·보급될 것으로 전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심심풀이 M3 프로그램은 개발과 개선에 참여한 연구진과 위원 및 강사의 전문성과 실제적인 마음공부에 기반한 청소년 인성교육으로 많은 긍정적인 성과를 이루어냈다. 이에 따르는 기대와 사명 또한 무겁게 다가온다. 향후 심심풀이 M3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발전과 적용이 청소년 대상 인성교육프로그램에 선구적인 좋은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음을 기억하고 나아가야 할 것을 강조한다. In this article, we will explore what background and purpose of Simsim-puri Meta-Mind Meditation(M3) was developed and composed, and discuss the current status, performance, and prospects of the ‘Simsim-puri M3’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e Institute of Mind Humanities has been conducting research under the goal of cultivating world citizens with good character through mind study and moral education on the proliferation of mind humanities through social education by means of the study of mind and humanity education. As an interest and research on youth character education, in 2014, the Institute of Mind Humanities developed the Simsim-puri Meta-Mind Meditation in connection with the Hope Forest Character Education Center, and subsequently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program. Currently, an upgraded version of the Simsim-puri Meta-Mind Meditation(M3) is widely implemented in the field.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and achievements, the M3 program was selected as the Best Program for Youth Character Education (2016, 2017) and the Excellent Program (2014)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Simsim-puri M3 program, there has been continuous improvement, and the training program to train leaders who are professional instructors of the program has also been expanded in various forms. Based on the application and achievements so far, it can be expected to continue to expand and distribute to more institutions and adolescents, and suggested development plans for this. The Simsin-puri M3 program achieved many positive results through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adolescents based on the professionalism and practical mind study of the researchers, consultants, and lectur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The expectations and missions that come with this are also approaching heavily.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futur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3 program can provide a good model for pioneering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 호흡 알아차림에 기반한 영양교육이 성인 발달장애인의 영양소 섭취량, 체중 및 식사속도에 미치는 효과

        박성혜(Sung-Hye Park),김백란(Baek-Ran Kim)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2 마음공부 Vol.5 No.-

        성인 발달장애란 신체적, 정신적 발달이 충분하지 못하여 학습 및 사회활동 능력의 현저한 결핍을 보이는 장애를 말한다. 전문가들은 발달장애인들의 재활과 자립을 위해 여러 가지 방식의 중재를 통하여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의 결함을 수정·보완하고 이를 통해 일상생활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활동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지만, 성인 발달장애인들의 장애맞춤형 돌봄시스템 구축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성인 발달장애인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가 과체중 및 비만이다. 이는 그들의 식사태도와 깊은 관련이 있고 식사태도는 그들이 지니고 있는 음식에 대한 의식 및 무의식적인 관념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과체중, 비만의 증상을 치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런 요인을 충분히 고려한 체계적이고 대상자에게 가장 적절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발달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영양교육은 주로 과식을 줄이고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도록 하는 바른 섭취 중심의 교육일 뿐 근원적으로 잘못된 식사태도를 교정하려는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거식증, 폭식증 및 정서적 장애를 지닌 사람들을 대상으로는 섭식에 관한 치료 프로그램 역시 인지행동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이 대부분이고 그들에게 적절한 영양교육과 접목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장애인뿐 아니라 경쟁하며 바쁘게 살면서 다양한 형태의 풍요한 먹을거리를 접하며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있어 섭식에 관해 잘못된 태도를 인식하고 수정하기 위해서는 식품영양학계에서 제안하고 있는 일반적인 영양교육뿐 아니라 전반적인 식사태도에 대한 개인의 성찰, 변화 의지 및 실천이 필요하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해 다양한 보조식품의 선택 시에도, 음식 섭취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질병들의 치료에 있어서도 대부분 현대인은 단순히 식품과 음식 섭취의 가감에만 집중하고 있고 음식태도에 대한 스스로의 성찰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안타까운 현실이며 이를 위한 맞춤형 교육 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호흡 알아차림을 기반으로 하는 마음챙김’과 ‘영양교육’을 융합한 프로그램이 성인 발달장애인들의 식사태도와 그로 인한 영양소 섭취량의 변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동시에 향후 성인 발달장애인들에게 영양교육 프로그램으로써의 활용 가치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 연구(pilot study)로 수행되었다. 30주간 진행된 본 연구에서는 ‘호흡 알아차림에 기반한 영양교육’을 수행한 실험군의 체중이 ‘일반 영양교육’을 수행한 대조군에 비해 교육 전보다 유의적으로 낮아진 결과를 보였고 열량, 당질 및 지질의 섭취량 또한 유의적으로 낮은 섭취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심식사 시간은 영양교육 후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길어진 결과를 보여 대조군보다는 ‘호흡 알아차림’에 기반한 영양교육이 성인 발달장애인들의 식사태도의 수정에 유익한 결과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를 기초로 더 많은 성인 발달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호흡뿐 아니라 좀 더 체계적인 마음챙김 기법을 도입한 연구를 계획해 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각 생애주기별 단계 및 식이요법을 필요로 하는 각종 질환자를 대상으로 신체적, 정서적 균형을 통해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에 기반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Developmental disability refers to a disability in which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is insufficient, resulting in significant deficits in learning ability or social activity ability. For the rehabilitation and independe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emphasized that through various interventions, the deficiencies of cognitive,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should be supplemented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at can nurture daily life skills are provide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arious programs for the establishment of a care system tailor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insufficient. One of the negative influences on the quality of lif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overweight and obesity with the physical balance broken.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ir eating attitude, and their conscious and unconscious ideas about food also affect their eating attitude. Therefore, in order to cure their overweight and obesity an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 systematic and individually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 that fully considers these factors is needed. However, nutrition education for the disabled is only an education to reduce overeating and to eat evenly, but there is no educational program to correct the fundamental eating attitude. In order to recognize and correct wrong attitudes about eating, it is urgently necessary to develop a deep and sustainable educational program for correcting overall eating attitudes as well as simple nutrition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wrong eating attitudes can be changed through mindfulness-based nutrition education by composing adult developmentally disabled adult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In this study, conducted for 30 weeks, the weight loss of subjects who performed mindfulness-based nutrition education rather than general nutrition education was significantly lowered. It was confirmed that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mindfulness rather than general nutrition education can induce beneficial results for the health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establish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physical and emotional balance for the disabled as well as those with various diseases who need each life cycle and diet in the future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