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금강경 봉찬기도 참여자 현황 조사 연구

        손강숙(Kang-suk Shon),김성룡(혜묵)(Seong-yong Kim)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n detail the number of participants by region, the content of prayer, what they gained through prayer,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in the ‘Diamond Sutra prayer’, and to examin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Diamond Sutra prayer.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y directly collecting questionnaires from 3,073 Diamond Sutra prayer participants four times in July, August, September, and Octob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articipants’ regions were Gyeongsang region (45.2%), Seoul metropolitan region (42.5%), Chungcheong region (6.4%), Gangwon region (3.2%), Jeolla region (2.3%), and overseas region (0.2%)., followed by the Jeju region (0.2%). Second, the contents of prayer were in the following order: health (26.6%), wish (20.6%), wealth (18.o%), and enlightenment (13.1%). Third, the things gained through prayer were in the order of health (23.8%), enlightenment (17.1%), wish (14.0%), and other (13.4%). Fourt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prayer participation by region. Overall, the ratio of ‘very satisfied’ and ‘satisfied’ was high, and satisfaction with the August conference was the highest, while satisfaction with the October conference showed a tendency to slightly decrease. Looking at satisfaction by age, althoug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for each age, the overall ratio of ‘very satisfied’ and ‘satisfied’ was high in all age groups. Analyzing the monthly responses, we can see that satisfaction with the August conference was the highest, while satisfaction with the October conference tended to be slightly l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bout participants in temple-based Diamond Sutra prayers and provide basic data on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Diamond Sutra praye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금강경 봉찬기도’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참여자들의 지역별 참여자 수, 기도의 내용, 기도를 통해 얻은 것, 그리고 만족도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073명의 금강경 기도 참여자를 대상으로 7월, 8월, 9월, 10월 총 4차례 질문지를 직접 수집하는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상지역(45.2%), 수도권지역(42.5%), 충청지역(6.4%), 강원지역(3.2%), 전라지역(2.3%), 해외지역(0.2%), 제주지역 (0.2%) 순으로 참여하였다. 둘째, 기도의 내용은 건강(26.6%), 소원(20.6%), 재물(18.o%), 깨달음(13.1%)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도를 통해 얻은 것은 건강(23.8%), 깨달음(17.1%), 소원(14.0%), 기타(13.4%)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도참여의 만족도는 각 지역별로 미세한 편차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매우 만족’과 ‘만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8월 법회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10월 법회의 만족도가 조금 낮아진 경향을 볼 수 있다. 연령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각 연령별로 미세한 편차는 있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전반적으로 ‘매우 만족’과 ‘만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월별 응답을 분석해보면, 8월 법회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월 법회의 만족도가 조금 낮아진 경향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찰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금강경 기도 참여자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금강경 기도 기획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손강숙(Shon Ka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능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로 이루어졌 다. 조사단계에서는 다양한 선행연구 고찰과 10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 를 실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조사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목적, 회기별 목표, 회기수를 결정하였다. 설계 및 구안단계는 목적, 목표, 회기별 목표에 따른 활 동안을 작성하였고 이론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과정과 예비검사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경기도내 인문계 고등 학교 학생 24명을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을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프로그램 전후 자기표현능력 검사(Self-Expression Scale: SES)를 실시하고 독립표 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능력의 변화가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고등학생 의 자기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자기표현 능력을 향 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self-expression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signed program.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was done in five steps-investigation,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pplication- of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Park, 1995). In the research step, various previous studies were investigated and research of demand was conducted with 105 students. In the analysis step, objectives of programs, session-specific goals, and the number of session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phase.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ep, activities were made based on the objectives and goals, and they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consultation process by experts and practitioners, and finally final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application phase, Gyeonggi 24 students were placed and tre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12 students and in the control group 12 students. They were conducted self-expression scales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hon & Ju, 2014), and it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of the analysis, changes in self-expression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refor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self-express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showed that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in high school.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자기대화(self-talk)에 대한 질적 연구

        손강숙(Shon, Kang-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자기대화(self-talk)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대학 신입생들을 위한 상담과 심리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 신입생이 자기 자신에게 하는 자기대화(self-talk)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 신입생이 타인에게 하는 자기대화(self-talk)는 어떠한가? 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4월 1주~2주, 2주간 질문지를 직접 수집하는 방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문제에 따른 2개 영역과 5개의 범주, 1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인 대학 신입생이 자기 자신에게 하는 자기대화 (self-talk)에서 자기위로 및 격려, 자기다짐 등 2개 범주와 4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영역인 대학 신입생이 타인에게 하는 자기대화(self-talk)에서 부모에 관한 자기대화, 친구에 관한 자기대화, 교수자에 관한 자기대화 등 3개 범주와 10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 신입생이 자신과 타인에게 하는 자기대화(self-talk)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대학 신입생을 위한 심리·정서적 측면에 관한 교육과 상담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education for college freshmen by exploring self-talk of freshmen in college. For this purpose, 40 freshman students were conducted a discovery-oriented exploratory study using the CQR-M method. The problem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self-talk that college freshmen do about themselves? Second, what is self-talk that college freshmen do about others? As a result, 2 domains, 5 categories and 14 sub-categories were deriv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In the first domain, two categories(self-soothing and self-encouragement, and self-commitment) and four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self-talk that first-year college freshmen talk about themselves. In the second domain, three categories(self-talk about parents, self-talk about friends, and self-talk about teachers) and ten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self-talk that first-year college freshmen talk about others. Through this results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self-talk that college freshmen do about themselves and others. Also, this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support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of freshmen in college.

      • KCI등재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교육대학원 학생들의 경험 연구

        손강숙(Shon, Ka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교육대학원 여학생들의 어려움 극복 경험에 대해서 탐색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사용하여 일과 학업을 병행하면서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육대학원 여학생 6명을 대상으로 어려움 극복 경험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3개 주제, 5개 범주, 12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과 학업 병행을 통해 경험하는 어려움에서는 직장에서의 어려움, 학업과 관련된 어려움의 2개 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어려움 경험 시 심리에서는 부정적 심리 경험 1개 범주로 나타났다. 부정적 심리 경험에서는 자책과 비난, 타인과의 비교의 2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내적 노력에서는 나에게 친절하려고 노력, 객관적으로 자기를 인식하려고 노력의 2개 범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고 본 연구의 결과가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교육대학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심리·정서적 지원에 시사하는 바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overcoming difficulties of female students with work and study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6 female students with work and study attend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As a result, three themes, five categories, and twelve sub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iculties experiencing as students attend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ppeared in two categories: difficulty at work and difficulty related to study. Second, in psychological experience of difficulty, negative psychological experience was revealed as one category. In the negative psychological experience, two subcategories of feeling guilty and criticism, and comparison with others were derived. Third, in internal efforts to overcome difficulties, there were two categories: effort to be kind to me, and effort to aware oneself objectively.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of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for the female students with work and study attend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escribed.

      • KCI등재

        청소년 자기표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손강숙 ( Kang Suk Shon ),주영아 ( Young Ah Ju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기표현 능력의 향상은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복지를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기표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자기표현 이론 및 척도에 대한 고찰에 근거한 30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여, 고등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척도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4요인 15문항(자신감, 겸손과 배려, 매체이용, 정확성)이 최종문항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최종문항으로 중학생 553명과 전문계고와 인문계고 고등학생 457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표현 척도의 자신감, 겸손과 배려, 매체이용, 정확성의 4개의 요인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본 척도가 자기표현을 측정하는 데 비교적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건강한 심리적 성장에 청소년의 자기표현 촉진이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한 바, 교사 및 청소년상담자의 학생 상담 및 생활지도의 방향을 구체화할 수 있고, 나아가 근거가 확립된 상담효과를 산출하는 데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본 척도가 보다 조화롭고 타당한 평가도구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한국적 청소년 문화의 특성을 고려한 심도 있는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assessing adolescents` self-expression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is study, 257 participants were sampled from high schools and were given 30 preliminary questions that were founded on existing theories and measures of self-expression From the results of the following analysis assessing construct validity, 4 new constructs emerged: ‘confidence’, ‘humility and consideration’, ‘media expression’, and ‘accuracy’. For identification of the factors extracted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553 students were sampled from various middle schools.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four factors of self-expression matched the scale respectively and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457 high school students. Ultimately,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chosen scale can work as valid and reliable tool in measuring self expression within adolescents. Understanding self expression of adolescents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school counselling and become a crucial guidance for teachers in understanding their students. Additionally, in improving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greatly influence and promo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and their mental health. For this method to develop and ultimately become a valid assessment tool, a continuous follow-up in-depth research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youth culture is needed. is needed.

      • KCI등재

        의과대학생의 학업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손강숙(Shon, Kang suk),정소미(Jeong, So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0

        본 연구는 의대생의 학업소진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의 ㄹ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본과 1~4학년 학생 157명(남 95명, 여 6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학업소진,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소진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소진과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학업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의대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과정과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 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burnou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edical school students. 157 students(male; 95, female; 62) in medical school in Seoul are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ademic burnout,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 measured variables. Also, sim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cademic burnou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social support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This results suggested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provide the use of social support through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 KCI등재

        요가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연구: 우울을 중심으로

        손강숙(Shon, Kang-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요가 프로그램의 효과를 우울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보고하고자 메타분석을 함에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9월에 국내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 16편을 선정하고, 2018년 10~12월 연구 데이터 코딩과 각 연구에 포함된 여러 변인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또한, 요가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 주요 변인(출판유형, 우울을 측정하는 측정도구, 프로그램의 목적, 참여자의 성별, 프로그램의 참여 인원)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범주화되지 않는 변인들에 대한 질적인 형태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가 프로그램 효과 중 우울에 초점을 맞춘 효과크기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판유형에 따라서는 학위논문의 평균 효과크기가 학술지논문의 효과크기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을 측정하는 측정도구에 따라서는 Beck(1967)의 우울척도로 측정한 경우의 평균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라서는 치료를 목적으로 한 경우가 예방을 목적으로 한 경우보다 평균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참여자의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만 참여했을 때 남성과 여성이 함께 참여했을 때보다 평균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프로그램의 참여 인원에 따라서는 12명 이하일 때가 13명 이상일 보다 평균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고 본 연구의 결과가 요가 프로그램을 활용한 우울 감소 지원에 시사하는 바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ystematically and synthetically the effect of yoga program, focusing on depression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using meta-analysis. To do this, sixteen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in September 2018 were selected, and the size of the effect of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research data coding and each study from October to December 2018 were calculated. In addition,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yoga program,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main variables were derived.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uncategorized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ffect size focused on depression was more than medium. Second, according to the type of publications, the average effect size of dissertations is larger than the effect size of journals. Third, according to the measuring instrument measuring the depression, the mean effect size was larger when measured by the Beck(1967) depression scale. Fourth,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e average effect size was larger for treatment purposes than for preventive purposes. Fifth, according to the gender of participant, the average effect size was larger when participating only by women than when participating by men and women. Six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the average effect size was larger when the number was less than 12.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scribed support for the reduction of depression using yoga program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권위적 양육태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온라인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손강숙 ( Kang Suk Shon ),주영아 ( Young Ah Ju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권위적 양육태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양육태도 척도(Parent Authority Questionnaire: PAQ), 온라인 사회적 관계망 척도(Internet Social Capital Scales: ISCS),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cale: CDMS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권위적 양육태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사회적 관계망과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사회적 관계망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권위적 양육태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 하였다. 셋째, 온라인 사회적 관계망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권위적 양육태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관계망은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과 대학을 준비하고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에서 온라인 사회적 관계망이라는 조절 변인의 잠재적인 사용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networking. For this study, a total of 360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The analysis of data used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contrary, it had a positive effects on on-line social networking. In addition,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significantly predict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on-line social networking significantly predict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urth, on-line social networking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interventions about on-line social networking for career counseling of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high school students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 KCI등재

        교사의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적응적 인지적대처와 주의재배치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강숙 ( Shon Kang Suk ),정소미 ( Jeong So M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교사가 교실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과정 변인들, 즉, 적응적 인지적대처, 주의재배치행동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 822명을 대상으로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 적응적 인지적대처 그리고 주의재배치행동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AMOS 18.0 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별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변수를 사용한 효과분해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의 부정적 정서경험은 적응적 인지적대처를 매개로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대처와 주의재배치행동을 통한 이중 매개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과 정서조절 과정에 개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variables of the process from the relation between the negative emotion experience and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at a teacher experiences in class. 822 teachers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explore negative emotion experience, adaptive cognitive coping, and attention redeployment behavior.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by AMOS 18.0 program. Degradation using the phantom variable was used to identify the separate mediator effec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eacher`s negative emotion experience influenced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rough adaptive cognitive coping as an intermediation. Second, the dual mediator effect through adaptive cognitive coping and attention redeployment behavior played a key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negative emotion experience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design the program which helps to improve teac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intervenes emotion regulation process.

      • KCI등재

        인터넷 도박 청소년의 금전동기와 미래 도박행동의 관계

        손강숙(Shon Ka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인터넷 도박 청소년의 금전동기와 미래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6년 6월 7일~8월 4일(총 28일)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6곳에 재학 중이며 1회 이상 인터넷 도박을 해본 경험이 있는 남자 고등학생 44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금전동기, 미래도박행동, 비합리적 도박신념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고,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고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인 인터넷 도박 청소년의 금전동기, 종속변인인 미래 도박행동, 매개변인인 비합리적 도박신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전동기와 비합리적 도박신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도박 청소년의 금전동기와 미래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도박 예방 상담 및 교육에서 도박과 관련된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수정하는 접근을 통하여 미래 도박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gambling belief between monetary motivation and future gambling behavior of internet gambling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surveys were conducted by 444 male students who experienced internet gambling more than once at 6 academic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using an assessment battery consisting of the measures of monetary motivation, future gambling behavior, and irrational belief.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 test about model of this study, and goodness-of-fit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netary motivation as a independent variable, future gambling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 as a mediator variable of internet gambling adolescen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ddition, monetary motivation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gambling belief between monetary motivation and future gambling behavior of internet gambling adolescents appeared to be significant. Based on overall finding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intervention to prevent future gambling behavior through approaches to modify the irrational belief related to gambling in gambling prevention counseling and training for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