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디자인 교육모델 연구

        문재호(Moon, Jae Ho),신진우(Shin, Jin W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21세기를 이끌어갈 인재 양성을 위한 새로운 교육제도인 자유학기제의 도입으로 중학교 교육현장이 변화되고 있다. 창의성과 인성, 사회성을 갖춘 자기 주도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참여형 수업이 요구되고 있으나, 수업방안에 대한 대응과 자료 부족으로 인해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창의성 증진을 위한 문제 해결형 디자인 교육 모델 안 마련을 위한 목적으로 실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자유학기제와 창의·인성 교육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디자인 교육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디자인 교육 안을 마련하였다. 둘째, 교육안을 바탕으로 자유학기제 창의·인성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사례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경험하며 창의적 사고 훈련을 할 수 있었으며 능동적인 학습 분위기와 종합적 기획력을 증진할 수 있었다. 팀별로 협업하며 이해하고, 의사소통에 대한 경험을 통해 사회적, 인성적인 부분도 함께 발달함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다양한 주제에 따른 결과물을 도출하고 학생들에게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법 교육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introduction of the free education system, which is a new educational system for cultivating future talents that will lead the 21st century, is changing the middle school education scene. In order to improve self - directed learning ability with creativity, personality, and sociality, participation - type lesson is required, bu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lesson response and lack of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blem - solving design education model for creativity enhancement First, the concept of free educati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as studied, and design education plan was prepared considering the relation with design education. Second, based on the educational plan, the project was conducted for the teachers who are engaged in creative and personality lessons in the free school term. As a result,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and solving the problems, we were able to experience diffuse and convergent thinking, creative thinking training, and improved active learning attitude and comprehensive planning ability. We have confirmed that social and personal aspects are developed through collaborativ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experience.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in depth, we will draw out the results according to various topics and prepare education plans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pplicable to students.

      • KCI등재

        산업디자인 전공자를 위한 스케치 통합교육사례연구 -실기 및 비실기 전형자를 중심으로-

        문재호 ( Moon Jae Ho ),신진우 ( Shin Jin W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융합적 디자인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정부정책에 의하여 대학의 교육도 변화하는 추세이다. 수능과 학생부의 전형자료로 선발하는 디자인 대학의 비실기 입학전형이 증가하고 있으며, 실기능력 여부의 구별 없이 하나의 교과과정에서 교육받고 있다. 이러한 교과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입학 후 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대한 부분이다. 이에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하나의 교과과정에서 교육하기 위한 스케치 통합 교육 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바탕으로한 스케치 교육모델 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기 유무에 따른 격차를 줄이고 스케치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디자인 실무에서 사용하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스케치 과정 추이를 실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범위 및 대상은 실기 및 비실기 전형으로 입학한 산업디자인학과 저학년 기초 교육과정인 스케치 과목으로 연구에 참여한 실기 및 비실기 전형 학생의 비율은 45%대 55%이다. 그 결과 하나의 통합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실기 유무의 구분 없이 소규모 단위의 개인별 학습을 할 수 있었다. 기본적인 스케치기법과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별로 프로젝트형 스케치 기법을 학습함으로써, 학생 스스로가 문제점을 해결하며 그에 적절한 창의적인 해결안으로 독창적인 형태를 구현하는 스케치 표현력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핵심능력인 창의력과 통합적 문제해결능력 향상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육사례연구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스케치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자인 기초실기교육에 적용할 새로운 스케치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It has changed the university education due to the government policy to train the professional manpower of collaborated design. Furthermore, it is on the increase of non-performance entrance examination selected as entrance materials for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in the design college and student department, and a fully integrated curriculum was conducted without distinction of practical skills. The problem occurred by such curriculum are the part related to the learning achievement for the students by the non-performance test after the entrance. It requires the education model draft of creative sketch to empower the basic sketch and improve the ability of systematic sketch in order to educate the students by practical skills test and non-performance test for design simultaneously in on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by the existence of students`` practice and to conduct research an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trend of students`` work process in the sketch class specifically whether the existence of ability to practice by using the design process utilized in the design practice. As to the research scope and research object, the ratio of students by the practical skills test and non-performance test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for the subject of sketch as basic curriculum at the freshman of design department entered with the practical skills test and non-performance test was 45% to 55%. As a result,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small-scale unit of individual learning without distinction of the existence of students`` practice within one curriculum, and to learn the sketch technique by stage of design process. In addition,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it could improve the originality as core competence of design and integrated problem solving ability as well as the sketch expression ability that the students could solve the problems and implement the creative form of proper creative solution for themselves. Based on the result of case study on the education, this researcher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new sketch education and present a proposal to apply it to the basic practical education of design in order that the sketch education can be achieved effectively.

      • KCI등재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씽킹 수업 모형 연구 - 감정을 활용한 기초 조형 디자인 사례 -

        문재호 ( Moon Jae Ho ),신진우 ( Shin Jin W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적 문제를 고민하고 새로운 환경에 대처하는 일은 인간의 몫이다. 이러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해 디자인 씽킹 사고법 훈련이 필요하다. 디자인 씽킹 사고법으로 분석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의 균형을 이루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배움으로써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초 디자인 교육에서 디자인 씽킹 사고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적 조형 감각 함양을 위한 체계화된 수업 모형을 마련하여 사례 연구를 하였다. 사례 연구는 기본적인 조형교육과 더불어 학습자 고유의 특성을 표출할 수 있는 감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에게 내재되어 있는 내적 욕구인 감정의 경험적 가치를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디자인 사고에 기초한 문제해결 능력 훈련으로 의도한 바를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하며 디자인적 표현 능력을 기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자는 감정의 경험적 가치를 나누고 기존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둘째, 학습자는 감정에 대해 유연하게 소통하고 공감하며 자신의 문제와 연결하여 인식하였다. 다양한 결과물을 경쟁이나 배타적이지 않게 받아들여 창의성으로 승화시키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셋째,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체계화된 학습 전략으로 학습자에게 적합한 목표 의식과 내면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종합과정 훈련이 가능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발적 인지 전략학습 과정을 통한 결과물을 얻음으로 성취감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앞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모델을 적용하여 다양한 연구 사례를 마련하여 신뢰성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It is up to humans to think about the problems of the rapidly changing times and cope with the new environment. Design thinking training is needed to improve our ability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way, students can learn how to solve problems by balancing intuitive thinking and analytical thinking, thus exerting influence and increasing valu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 systemic instruction model was developed and case studies were developed to develop learner'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e formative sense by us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 in basic design education.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utilizing the emotions that can express the empi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as well as the basic education on the formative arts. 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empirical value of emotion, the internal desire inherent in the learner, and solving the probl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raining of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design thinking can develop the ability to think and express the intentions from various angles. In addition, learners have been able to share the empirical value of emotions and present new expression possibilities without being tied to existing rules. Second, the learner communicated and sympathized with the emotion flexibly and connected with his problem. It was observed that various outcomes were not competition or exclusively sublimated into creativity. Third, a systematic learning strategy based on design thinking enabled a comprehensive course training to produce a result that satisfies the internal desires and goals that are appropriate for learners. This enables learners to maximiz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by obtaining results through the voluntary cognitive strategy learning process. In the future, various research cases applying this educational model are prepared to expect reliable effects.

      • KCI등재

        창의적 발상 역량 강화를 위한 조형교육 사례연구

        문재호(Moon, Jae Ho),신진우(Shin, Jin W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조형 교육에 있어서 창의적 발상과 조형 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체계화된 학습전략을 마련하였으며, 학습 과정의 단계별로 기초적인 표현능력을 길러주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창의적인 발상의 능력과 조형의 표현력을 개발하기 위해서 창의성 발현, 아이디어 도출 및 문제 해결 과정, 방법론을 훈련하는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위한 방법 및 범위로는 첫째, 창의적 발상과 조형 디자인 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창의적인 조형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전략을 마련하였다. 둘째, S 대학교 융합디자인학부 입체 조형 강의를 듣는 32명을 대상으로 내재적 감정을 활용한 조형 교육 사례 연구를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자에게 적절한 목표를 설정하고 자발적인 인지 전략을 활용 할 수 있는 발상 능력이 훈련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정의 내재적 경험을 주제로 학습자 고유의 독창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어 감정이 창의적인 디자인 결과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품에 대한 단계적인 이해과정과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시각화하는 전개 과정에서 디자이너가 지녀야 할 역량이 함양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본 교육 모델을 적용한 다양한 사례 연구의 정량화된 분석을 통하여 신뢰성 있는 효과를 기대하며, 더 나은 창의적인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모델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atic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nd formative sense in formative education and to develop basic expressive ability in each stage of learning process. In order to develop the ability of creativity and expressive power of formative thinking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e proposed a curriculum to train creativity, idea gener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methodology. The methods and scope fo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e learn about creative thinking and design education, and have developed a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creative formative ability. Second, the case study of model education using intrinsic emotions was conducted for 32 students who were attending stereotyping lectures at the University of the Univers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irstly, it was trained in the idea ability to set appropriate goals for learners and to use voluntary cognitive strategies. Also.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s can be used as creative design results because the original results of the learner can be obtained on the theme of emotional inherent experience. I realized that I can develop the qualities that designers need to have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visualizing and developing ideas and step by step process. In the future, we hope to establish a framework of educational model for better creative expression ability by expecting reliable effect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various case studies applying this educational model.

      • KCI등재

        통합적 문제해결력 증진 위한 산업디자인 기초교육 사례연구-제품-서비스 융합 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문재호 ( Moon Jae Ho ),신진우 ( Shin Jin W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서비스 중심의 디자인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오늘날 제조 기업들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과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제품과 서비스를 융합하는 방법을 찾는 데 관심이 높다. 이와 더불어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동적인 디자인 인재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을 위하여 산업디자인 기초교육 사례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발산과 수렴의 균형을 이룬 프로세스 단계별로 적절한 아이디어 발상과 창의적인 디자인 표현능력 향상을 위하여 제품-서비스 융합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산업디자인 기초교육 안을 마련하였다. 둘째, 교육 안을 통해 프로세스 단계별 이론 및 실습을 병행한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디자인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하는 교육사례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시대적 변화에 적합한 제품-서비스 디자인을 이해하고 학생 스스로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학생 중심의 산업디자인 기초 수업 운영을 할 수 있었다. 향후 제품-서비스 디자인 개발뿐만 아니라 기업 실무에 대한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심화 과정의 디자인 교육 모델의 발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Modern manufacturing companies are interested in finding ways to fuse products and services to create new business models and to enhance corporate competitive power in conjunction with the paradigm shifts of service-oriented desig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rogate the educational methods in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to improve integrated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industrial environments. The study`s methodology is in two-fold : first, we prepared a basic education plan using product and service convergence design methodology in order to develop appropriate ideas and creative design expressions according to process steps that balance divergence and convergence ; second, through the education plan, this paper conducted a design project based on design methodology. This study concludes that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product and service design suitable for the change of the times, and conducted the student-driven inquiries to inform design process. In the future, we expect that further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 models of can be applicable to not only the product and service design to field of enterprise as a whole.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에너지 절감 확산 사례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고려 요소 연구

        문재호(Moon, Jae 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에너지절감형 아파트 고지서 확산 사업이 전국적인 규모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에너지절감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한 아파트 고지서 디자인의 개선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에너지 절감 확산 사례 분석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 고려 요소에 관한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전기사용량 정보 제공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이론적 논리와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에너지 절감 사례, 서비스 디자인 고려요소 분류를 리뷰 하였다. 둘째,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최근 3년간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큰 아파트 단지의 설문 조사 내용을 재분석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에너지절감 실천을 위한 디자인 시 고려하여할 사용자들의 관심요소는 무엇인지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서비스디자인의 지속성을 위한 에너지절감 확산사업의 서비스 디자인 고려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서비스디자인을 통하여 개발한 디자인결과물이 현실에 적용되어 장기간에 걸쳐 디자인의 효과나 확산의 효과를 추적 조사한 사례는 아직 존재 하지 않으므로. 본 사례를 통해 향후 서비스디자인이 공공부분에 대한 서비스디자인의 확산 및 향후 검증을 위한 좋은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The project to spread energy saving apartment bill through service design is expanding nationwide. Along with this, there is also a need to improve bills design to sustain energy savings. In this study, sustainable design consideration factor study was conducte through case analysis of energy saving diffusion applying service design. The study methodology is summarized in three fold : Firstly, the theoretical logic of consumer reaction according to providing electricity usage information, energy saving case through service design, service design consideration factor were reviewed. Second, the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reanalyzes the questionnaire survey of apartment complexes that have significant energy saving effect for the last three years. Third, through analysis, we derive what factors of users to consider in design for sustainable energy saving practice. As a result of the study, we derive the design consideration factors of diffusion project for sustainability of service design. Users who used to check and verify the amount received from old bills received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new bills. There is yet to be a case in which the effects of the actual service design are applied to the effect of the actual design of the design and the effect of the effects of the actual design of the product. Researchers hope that the researchers who study the service design will use the service design as a good resource for future service design and future verification of the service.

      • KCI등재

        The Effect of Relation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Motivation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Moon, Jae Ho(문재호),Yang, Jun Hwan(양준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본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잠재역량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계적 지원이 일본대학생들의 창업동기와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분석도구는 PASW Statistic 18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가설분석을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표본은 일본 동경소재의 릿교대학교, 타마가와대학교, 스루가다이대학교 등 3개 대학에서 총 230부의 데이터를 확보해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관계적 지원은 일본대학생들의 창업동기 및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자기효능감은 또한 창업동기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적 지원과 창업동기 사이에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 기업가정신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진 일본에서도 관계적 지원은 일본대학생들의 창업동기와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따라서 청년들을 중심으로 일본의 기업가정신 확산을 위해 가족, 친지 등의 적극적 지원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empirical study is to explore the entrepreneurial potency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e focused on three variables that were suggested as essential elements in entrepreneurial process; relational suppor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Methodology] The analysis method for study was based o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PASW Statistic 18. Total 23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three universities; Rikkyo, Tamagawa and Surugadai university. [Findings] Relational support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s also positive relationship with entrepreneurial motivation.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s verified, too. [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generalization of the entrepreneurship theory by extending the research to the setting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and attesting the key variables empirically.

      • KCI등재

        현충탑의 조형적 특성과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문재호 ( Jae Ho M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1

        현충탑은 나라를 위하여 싸우다 숨진 희생자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하여 설치된 시설물이다. 특히 방문을 위한 일반적인 기능시설 이상의 비중을 지니는 상징물이다. 또한 그 현충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얼굴의 역할과 지역을 대표하는 공공성을 지니고 있는 조형물로서 현충탑의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차별되는 상징성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들어 현충시설의 국민이 즐겨 찾는 명소로서의 육성 등 현충 시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시점에서 현충탑과 주변시설에 대한 연구는 바람직한 현충시설이미지 환경을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각 시,군에 산재해있는 33개 현충탑의 현장조사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충탑의 9가지 유형분류와 5가지 형태적 특성, 상징적 특성 그리고 현충탑 주변시설을 분석하였으며 그 구성요소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현충탑이미지 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현충탑과 주변시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현충탑은 현충의 상징적 의미를 가지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성을 강조하는 것이 당연하다. 둘째, 현충탑 주변 시설은 지역사회와의 공존을 강조하는 조형성으로 디자인하여야 한다. Memorial monument is a structure to admire distinguished services of war veterans that they fought for freedom and peace. It is a structure that means more than general facilities. And also, as a sculpture, it emphasize the characteristic facets of participated countries as well as its’ publicity and unique symbolism. Recently, the ideas of memorial monument are changing as we exchange culture. And they want to make memorial facilities as visitor friendly parks. In accordance, at this time, I think we need to research on environmental fact of memorial facilities. Therefore, I made database of 33 memorial structures with 9 characteristic types and 5 unique shapes of memorial structures in GyeongGi-Do and also analyzed adapted facilities of those structures. This was presented by memorial monument and surrounding facilities affecting memorial monument image composition as follows. First, memorial monument is natural to emphasiz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as a symbolic meaning of memorial monument. Second, memorial monument surrounding facilities shall be designed in Formativeness highlighting the coexistence of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