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실의 사회적 환경, 관여 및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문은식,문명화,김영희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논총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실의 사회적 환경(교사지지, 친구지지), 관여 및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예언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다. 대전광역시, 강원도, 충청남도에 위치한 4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00명(남 222명, 여 178명)에게 교실의 사회적 환경 검사, 관여 검사, 학업성취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LISREL 8.54를 이용한 공변량구조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의 사회적 환경에서 교사지지와 친구지지는 관여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학업성취에는 관여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여는 교실의 사회적 환경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관여 및 학업성취에 대한 예언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에서, 교사지지와 친구지지는 관여에 같은 정도(β=.37)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학업성취에는 관여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여는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β=.50)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지적․행동적 관여의 교육적 시사점과 제언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classroom social environm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0 high school students(222 male, 178 female) from four high schools in Gangwon, Chungnam, and Daejon. The survey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Classroom Social Environment Scale, Engagement Scale, and Academic Achievement Scale.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by LISREL 8.54.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lassroom socia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cognitive and behavioral engagement. And teachers' and friends' emotional-academic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high school students' engagement played a full mediate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social environ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their teachers' and friends' support had a indirect effect(β=.18, β=.19, respectivel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via engagement, which in turn, had a direct effect(β=.50)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

        문은식,차옥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t examined the differences in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s a function of children's gender and age, and whether young children did or did not have siblings. Subjects consisted of 495 2 to 6-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sampled from 15 kindergartens in Samcheok and Uljin, Korea. A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Scale and a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ependent either on her young children's gender or whether her children had siblings. However, advice/support and monitoring in the sub-factor of the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young children's ages. Seco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their gender and age,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being with or without siblings. Final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dvice/support sub-factor of the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her young children's peer social skills and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Also,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monitoring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peer social skills,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and the total score of the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its role in the soci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규명하고, 아울러 이 두 변인은 유아의 성별, 외동아.형제아, 그리고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2~6세 유아 495명(남 242명, 여 253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에게는 사회성 지도 검사를 실시하고, 유아교사에게는 담당 유아들의 사회적 유능감을 평정하게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는 유아의 성별 및 외동아.형제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의 경우에는 하위 요인(조언/지지, 감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총점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동아와 형제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조언/지지는 유아의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 이해와 유의한 상관이 있으며, 어머니의 감독은 유아의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이해, 사회적 유능감 총점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문은식 한국교육학회 2005 敎育學硏究 Vol.4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s a function of mother's occupational background, children with and without siblings, and children's gender. Subject consisted of 385 4 to 5-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sampled from 15 kindergartens in Daejeon city and Chungnam province, Korea.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Scale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ly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r=.43, p<.01). Second,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other's occupational background(respectively, t=-3.36, p<.01; t=-2.47, p<.05). Finally,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of only children without sibling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with siblings(F=5.32, p<.05). And only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with siblings(F=3.94, p<.05).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its role in the soci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all children.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tervention program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고, 아울러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어머니의 직업유무, 외동․형제아 및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전광역시 소재 7개 유치원과 충청남도 소재 8개 유치원 총 15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4-5세 원아 385명(남 178명, 여 207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어머니에게는 사회성 지도 검사를 실시하고, 해당 유치원 교사에게는 담당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을 평정하게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t검증, 이원변량분석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r=.43, p<.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유아의 주도성과 가장 높은 상관(r=.43, p<.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유아에 대한 사회성 지도 정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능력도 높고, 유아의 주도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라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t=-3.36, p<.01)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t=-2.47, p<.05)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업이 없는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관심, 감독, 계획)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주도성)이 직업이 있는 어머니의 경우에 비해 높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어머니의 외동아에 대한 사회성 지도가 형제아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F=5.32, p<.05)으로 나타났고, 외동아의 사회적 능력이 형제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F=3.94, p<.05)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전통마당놀이 활동이 유아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문은식,최연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세계화에 대비한 전통문화 교육의 일환으로 전통마당놀이가 유아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81명(실험집단 40명, 비교집단 41명)이었고, 실험처치는 주 2회 50분씩 총 12회에 걸쳐 8자 놀이, 팥주머니 놀이를 위주로 하면서 오징어, 달팽이집, 양말뺏기, 열발뛰기 놀이 등도 실시하였다. 반면 비교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주 2회 50뿐씩 7주간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전․후에 근력(공 던지기), 순발력(제자리 멀리뛰기), 민첩성(20m 왕복달리기), 근지구력(윗몸 일으키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통마당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근력, 민첩성, 근지구력에서 유의한 실험 효과가 나타났으나 순발력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한 실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ditional ground play on young children's physical strength. The study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ways to apply traditional ground pla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such, 81 five-year-old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 programs in the city of Daejon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ty children from Kindergarten 'A' were tre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41 children from Kindergarten 'B' were treated as a control group. The instrument to measure the children's muscular strength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sub-factors: muscular strength (measured by the record of throwing a softball), power (measured by the record of a standing long jump), agility (measured by the record of a 20m shuttle run), muscular endurance (measured by the record of sit-ups). For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various traditional ground play (such as shape 8 play, red bean pocket play, cuttlefish play, snail shell play, taking socks) were applied. For the control group children, free play time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found in the sub-factors of muscular strength, agility, and muscular endurance.

      • KCI우수등재

        청소년의 애착안정성과 학교생할 적응행동의 관계

        문은식 한국교육학회 2003 敎育學硏究 Vol.41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8228;교사&#8228;친구 애착안정성과 학교생활 적응행동의 관계를 규명하고, 아울러 청소년의 애착안정성과 학교생활 적응행동은 학교급별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전광역시와 충남 K시의 중&#8228;고등학생 491명(중 249, 고242, 남225, 여266)에게 애착안정성 및 학교생활 적응행동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이원변량분석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부모, 교사, 친구 애착안정성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대한 예언력은 중학생의 경우26%, 고등학생의 경우 27%로 나타났고, 예언변인들의 상대적 공헌도는 중학생의 경우 교사, 친구 애착안정성 순으로, 고등학생의 경우 교사, 부모 애착안정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애착안정성의 차이에 있어서, 부모 애착안정성의 겨우는 학교급에서만, 교사 애착안정성의 경우는 학교급, 학교급과 성별의 상호작용에서, 친구 애착안정성의 경우는 성별, 학교급과 성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행동의 차이에 있어서, 학업적 적응행동의 경우는 학교급에서만, 사회적 적응행동의 경우는 학교급과 성별의 상호작용에서만, 정의적 적응행동의 겨우는 학교급, 학교급과 성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