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하우어워스와 ‘덕의 공동체’ 로서의 교회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3 No.-

        What’s the most important task of church in these times? To respond to question,this paper studied on ‘church as the community of virtue’ in Stanley Hauerwas’s ethics. As we know, Hauerwas earned the nickname, ‘ecclesial ethics’for his ethics. Focusing on Jesus narrative and church, Hauerwas insists that the first task of church is being itself. This paper views church as moral agency, school of virtue, and community of character according to Christian communitarianism. Especially, the Christian communitarianism draws strength from the increasing dissociation of church and civil society in the western world. It has features of virtue ethics. And it has to be understand from the context of virtue, community, and narrative. Most of all, this paper emphasized the moral significance of church as the community for enhancing Christian virtues or character. In this meaning, church of ecclesial ethics would be interpreted as the school of virtue or community of Christian character. In spite of criticism of ‘sectarian withdrawal’, the ecclesial ethics of Hauerwas gives very important insight for church in Korean context. But, the most essential task of Christian virtue ethics must be transformed from peace to being church itself. In short, the focus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church must be a community of character via Jesus narrative. (2)the most important virtue of church in Korea is ‘being church itself’. 교회됨이 절실한 때, 시민적 비난과 정죄와 심판을 통해 몰아세우기보다 교회가 윤리적으로 성숙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하려는 ‘교회됨’을 위한 윤리적 성찰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ecclesial ethics)를 ‘덕의 공동체’ 혹은 ‘성품공동체’(a community of character)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성찰하였다. 소종파적 퇴거의 우려 등 하우어워스에 대한 비판일변도의 접근과는 달리, 이글에서는 그의 문제의식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를 통해 기독교공동체주의와 덕 윤리의 기독교적 수용이라는 맥락에 대한 종합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하우어워스는 교회를 도덕공동체로 인식하고, ‘성화’의 개념을 덕 윤리와 연계시켜 예수 내러티브에 충실한 덕성을 함양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는 덕 윤리의 기독교적 수용 및 기독교공동체주의의 요체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현대기독교윤리학이 콘스탄틴적 결탁에 흐를 것이 아니라 교회로 교회되게 하는 대안을 제시하는 노력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하우어워스 자신의 문제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만, 하우어워스가 좁은 의미의 성화개념을 사용했다는 점, 덕 윤리와 성화의 연관성에 대한 포괄적이고 깊이 있는 논의가 부족했다는 점 등은 비판적 평가의 대상일 수 있다. 하우어워스가 평화의 덕목을 강조한 것을 두고, 결국 평화주의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인지, 평화를 교회의 대표적인 덕목으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찬반논변이 필요할 듯싶다. 이 글에서는 덕의 학교이자 성품의 공동체로서의 교회가 함양해야 할 여러 기독교적 덕목들을 평화라는 특정 덕목으로 한정짓기보다는 ‘교회됨’ 자체를 교회가 추구해야 할 덕목이자 과제로 인식해야 한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교회의 교회됨을 위한 윤리적 성찰이 깊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

        倫理的 自淨의 관점에서 하우어워스 읽기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3 기독교사회윤리 Vol.25 No.-

        This paper is a suggestion of Christian ethics for Church reformation via reading Hauerwas from the perspective of moral sanctions for ‘Being-Church’. In spite of many implications in Ecclesial Ethics of Stanley Hauerwas, some ethicists complains that Hauerwas does not provide concrete way to practice ‘Being-Church’, especially in Korea. This paper suggests two aspects of reading Hauerwas from macro and micro level. In macro level, ‘Being Church’ is the agenda for Church reformation. As we know, Hauerwas begins from the Church and emphasizes ‘being Church’ as the most urgent task of Christian faith. Ecclesial Ethics refuses the ‘Constantinian accommodation’ and focuses the importance of Christian virtue of peace according to Jesus narrative. In Korean context, ‘Being Church’ must be the moral vision for Church reformation. In micro level, Ecclesial Ethics needs to study for moral sanctions for ‘Being Church’. Although, there are so many insights to method for practicing the vision or agenda for Church reformation, it is true that Hauerwas has some shortages in moral sanctions for morally deviated actions in Church. Of cause, Hauerwas has deep confidence on God’s lordship in these problems. But, there are some needs to be enlarged the clues for corrective justice for moral self-purification of Church. Especially, reforming the Church is the key point which has to be recognized to all Christians and Church.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의 ‘교회윤리’(ecclesial ethics)를 성찰하는 과정에서 제기될 수 있는 난제 중 하나는 그가 제안한 ‘교회됨’의 비전을 실천할 방법론의 문제이다. 하우어워스의 문제의식은 교회의 윤리적 성숙을 위해 중요한 방향을 제시해 준 것임에 틀림없지만, 교회의 윤리적 자정(自淨)이 문제시되고 있는 한국적 맥락에서, 구체적인 실천을 위한 전략 혹은 방법론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못하는 듯싶다. ‘교회되지 못함’ 혹은 ‘교회답지 못함’의 모습들을 직면하고 있는 한국의 교회는 과연 윤리적 자정이 가능한가? 혹은 교회됨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척결할 방안은 있는가? 이 질문들은 근본적으로,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 그 자체에 대한 질문으로 귀결된다. 하우어워스는 윤리적 자정을 신뢰하는가?자정의 관점에서,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는 교회에 대한 신뢰를 기초로 한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교회됨’은 거시적 자정의 방향제시로 평가되어야 한다. 교회됨이라는 아젠더 자체가 자유주의 정치에 결탁된 교회의 본래적 정체성 회복을 촉구하는 거시적 의미의 자정에 해당하는 것은 분명하다. 다만,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에 교회됨을 위한 미시적인 자정의 문제 즉 구체적인 실행 메뉴얼이 부각되지 못하는 것은 한계이다. 그러나 하우어워스가 기독교 공동체주의를 표방한다는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정적 정의를 수용한 현대의 공동체주의자들이 주는 단초들을 활성화시켜야 할 필요성은 충분해 보인다. 공동체의 회복을 목적으로, 공동체 내부에서의 시정적 정의를 구현해야 한다고 말했던 아리스토텔레스적 단초를 기독교 안에서 어떻게 활성화시키고 실천방법론을 제시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모색하는 것이야말로 한국교회와 기독교윤리학이 시급히 모색해야 할 과제이다.

      • KCI등재

        설교윤리와 윤리설교 : 교회됨을 위한 모색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7 기독교사회윤리 Vol.38 No.-

        교회됨(being church)을 강조한 하우어워스(S. Hauerwas)의 ‘교회윤리’(ecclesial ethics)는 예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교회의 정체성 회복을 강조했다는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하지만, 교회됨의 실천을 위한 전략 혹은 방법론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한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이 글은 하우어워스가 교회의 펀더멘탈로서의 설교에 관심했던 점에 주목하면서, 그의 영향을 받은 설교학자 캠벨(Charles L. Campbell)의 윤리설교 개념과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교회됨을위한 방법론을 모색한다. 설교와 윤리의 만남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설교자의 윤리와 연관 짓는 경향이 있지만, 설교자는 그리스도인과 교회의 윤리적 성숙을촉구하는 윤리에 관심해야 한다. 하우어워스와 캠벨은 예수 내러티브에 충실한설교를 요청한다. 설교의 중요성에 대한 하우어워스의 관심은 목회자의 윤리적책무에 대한 설명으로 이어진다. 목회자는 개인의 도덕성에 대한 책임은 물론이고 교회됨, 즉 교회로 교회되게 하는 윤리적 과제를 지닌 존재이다. 설교를 통해예수 내러티브에 충실한 성품의 존재를 육성함으로써 교회됨을 구현해야 한다는뜻이다. 하우어워스의 관심은 캠벨에게 수용되어 더욱 적극적으로 표현된다. 캠벨에게서, 설교와 윤리의 만남은 교회됨과 한 세트를 이룬다. 켐벨은 설교를 ‘윤리적 실천’(an ethical practice)으로 인식하고 설교를 교회됨을 위한 윤리적 행위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점에서, 하우어워스와 캠벨의 관점이 교회로 하여금 윤리적 성숙의 필요성을 일깨우며 설교를 통한 교회됨을 과제로 제시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reaching as a fundamentals of church in ecclesial ethics of Hauerwas and the concept of ethical preaching in Charles L. Campbell who influenced deeply from the ethics of Hauerwas. Preceding studies on combination of preaching with ethics by theologian of homiletics have a tendency to relate the ethical preaching with the research ethics of preachers. Though it is an unsatisfactory part to regard ethics of preachers as the problem of ‘cheating act’, it is a meaningful step to activate meeting of sermon and ethics.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ethics of preachers and seek the ethical preaching. In this context, it is worth noting that Hauerwas and Campbell suggest the ethical preaching for building up the church. For Hauerwas, ethical preaching for being church connected with the pastor’s ethical responsibility. Hauerwas emphasizes that pastors have to build up Christian as Christian based on Jesus narrative. Campbell receives the issue of being church and expresses it more positively. Campbell considers the combination of ethics and preaching as connected with being church. According to Campbell, preaching is an ethical practice for building up church based on Jesus narrative. Hauerwas and Campbell remind us of the importance of ethical maturity of Korean church which tend to cling to blessing preaching and prosperity theology.

      • KCI등재

        하우어워스의 윤리에서 복음과 교회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1 기독교사회윤리 Vol.21 No.-

        This paper is an interpretation of Stanley Hauerwas’s ethics in Korean context. Hauerwas has earned the nickname, ‘ecclesial ethics’ for his ethics. Actually,Hauerwas set it up as an ethics for church or a church-dependent morality. Focusing on Jesus narrative and church, Hauerwas insists that the first task of church is to be itself. Now, Korean church faced to civil condemnations through mass-media. Some ethicists thinks that the target and method of church reformation must follow the civil criteria. But this paper insists that moral reformation of church must be pursued via gospel. In this context, this paper interprets Hauerwas’s point as being church via Jesus narrative. According to Hauerwas, Jesus narrative is the core value which must be embodied in church. In spite of criticism of ‘sectarian withdrawal’, the ecclesial ethics of Hauerwas gives very important insights for church in Korean context. For example, all the actions of church (sermon, activity, and morality, etc.) must enact according to Jesus narrative. And moral problems of church must be treated via evangelistic method. Now, Korea church must seek the sanctification according to Jesus narrative. 이 글은 하우어워스 윤리의 한국적 읽기를 위한 하나의 제안이자 시도이다. 교회윤리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복음과 교회를 윤리의 중심에 복권시키려 하는 하우어워스의 관점은 시민사회 속에서 교회의 교회됨을 모색하려는 한국교회를 위한 탁월한 통찰이 되리라 기대되기 때문이다. 특히, 시민적 지탄의 대상으로 내몰리고 있는 한국교회의 윤리적 성숙을 위한 대안의 모색에 있어서 하우어워스의 관심을 재평가하고 그 한국적 실천을 위한 과제들을 모색할 때가 되었다. 한국교회의 가장 긴요한 윤리적 과제는 교회다운 교회가 되는 것이며, 교회로교회되게 하는 것이야말로 기독교의 윤리적 성숙을 위한 핵심과제이다. 이러한뜻에서, 교회로 교회되게 하는 것을 윤리의 으뜸가는 과제로 제안한 하우어워스의 관점은 한국교회를 향하여 중요한 통찰을 제공해 준다. 특히 기독교적 덕의윤리와 공동체윤리를 대변하는 하우어워스의 윤리에서 예수 이야기, 교회 그리고 교회됨의 관계를 성찰하는 것은 한국교회의 윤리적 성숙을 위한 기초이자비전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하우어워스가 말하는 예수 이야기는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위한 근거이자 교회의 근간으로서, 교회다운 교회 혹은 교회됨을 위한 핵심가치는 예수 이야기로 표현된 복음에 있다고 요약할 수 있다. 예수이야기 혹은 복음이 교회의 근간이라는 점에서, 한국교회는 과연 복음에 충실한교회됨을 추구하고 있는지 깊은 성찰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문제는 한국의 시민사회에서 교회를 교회답게 하고 교회됨을 제안하는 접근방식에 있다. 한국교회의 윤리적 안타까움은 열거하는 것 자체가 부끄러울 정도이지만, 비난과 정죄와 심판을 목표로 매스컴을 통해 교회를 시민적 이슈로 몰아가는 방식보다는 복음적인 교회를 위한 복음적인 방식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뜻에서, 하우어워스의 윤리적 강조점을 교회의 윤리적 성숙을 위한 아젠더로 수용하여 교회의 근거이자 핵심가치로서의 예수 이야기에 대한 재발견 및 그 실천대안의 모색을 위한 기독교윤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이 글의 핵심적인 제안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테크놀러지 시대의 생명존엄을 위한 사회윤리구상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2 기독교사회윤리 Vol.4 No.-

        휴먼게놈프로젝트 및 인간배아복제실험 성공 등 우리시대의 생명의 문제에 대한 여러 가지 현상들은 과연 어떤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해되어야 하는 것일까? 이글은 유전공학을 위시한 여러가지 생명에 대한 도전 또는 조작을 통한 생명 위기현상들을 책임윤리적 관점에서 평가하고 그 사회제도적 대안을 모색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테크놀러지 시대의 책임의 윤리를 강조하였던 H. Jonas와 W. Schweiker의 관점들을 살펴보았다. 필자는 특히 Schweiker의 신학적 책임의 개념을 수용하여 테크놀러지 시대에 주어진 윤리학의 과제를 힘의 절대적 원천이신 하나님 앞에서의 책임적 자세로 규정하였으며, 생명공동체의 존엄과 통전성을 위해 테크놀러지의 힘을 사용해야 한다는 통찰을 중심으로 생명위기에 대한 사회 윤리학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테크놀로지의 시대를 책임의 이론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 그 책임의 구현을 위한 노력들 중에 개인의 책임의식 각성 이외에 사회의 제도와 법령등 시스템적 요소들이 생명존엄을 위한 것으로 재편되고 고쳐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사회윤리학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테크놀러지 시대의 생명위기를 어느 한 부류의 몫으로 제한하지 않고 공동의 관심사로 상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테크놀러지의 시대에 있어서 사회윤리구상에 사회구성원 모두의 관심과 생명옹호를 위한 분위기의 강조 및 그 실천을 우한 제도적 대안의 모색을 포함시켜야 함을 보여준다. 생명존엄은 생명과학자들에게 책임의 각성을 강조하는 것만으로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관심과 제도적 노력 및 공동의 책임의식을 통하여 그 실천을 담보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웹2.0의 시민사회와 소통하기 위한 교회의 윤리적 과제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9 기독교사회윤리 Vol.18 No.-

        이 글은 웹2.0의 시민사회에 직면한 교회의 과제를 기독교사회윤리학적 관점에서 성찰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소통’을 중심으로 시민사회 속에서 교회가 바꾸어야 할 것과 지켜야 할 것들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웹 2.0은 인터넷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소통을 둘러싼 사회윤리의 문제이다. 소통이 사회윤리의 핵심과제로 떠오른 마당에, 과연 소통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르게 가지고 있는지 점검해야 할 때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회의 소통을 위해 세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1)공공성 제고: 교회는 ‘공공’의 문제들에 대한 민감성을 보여주어야 한다. (2)정체성 확립: 교회다움을 보여줌으로써 시민사회가 따라올 수 있는 사회윤리의 제안자가 되어야 한다. (3)시민적 소통의 추구: 시민적, 문화선교적 소통을 추구해야 한다. 이러한 과제들을 기초로 삼아, 교회는 시민사회와 소통하는 데 만족할 것이 아니라 시민사회로부터 환영받고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윤리적 갱신과 성숙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church’s ethical tasks for communication with civil society of ‘Web2.0’. But, this paper does not belong to web-technology but a paper of Christian social ethics. Especially, there are some requests from civil or liberal society for church’s change and participation to civil movement in Korea. Some people rebuke church as a conservative and morally-corrupted group, others blame church as a non-communicative group with civil values of Web2.0 which pursu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In this context, the paper studies reasons of civil blames for church as moral problems and proposes some ethical tasks of church’s communicative possibility in Web2.0 era. The focuses are as follows; (1) Enhancement of church’s publicness in civil society. This is from view of ‘Public Theology’, especially Max L. Stackhouse. Faith is not of privatization but of public concerns. Church must concern with global and civil issues because God rule whole society including church and civil society. (2) Recovering of gospel identity which connected with Stanley Hauerwas’ view of ‘Ecclasial Ethics’. By letting church be the church through doing accord to Jesus narrative, Christians must become an excellent alternatives to the world which infected violence and war. These two tasks are moral conditions which requested for communication with civil value or liberal society. On these bases, (3) Christian communication with civil society of Web2.0. Church have to try again and again to apologize with enthusiasm for gospel truth to civil society. For this purpose, there would be effective ways as like ‘office of public relations’, ‘media study’, and ‘opinion leadership’, etc. In conclusion, church in civil society of Web2.0 must pursue to be a good and servant leader in mora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