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승강장에서 스마트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대기행위와 이용 환경간의 상관성 - 시 환경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문서현 ( Suhhyun Moon ),윤철재 ( Cheoljae Yoon ),조연주 ( Younjoo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스마트 IT시대의 공간적 제약 없는 스마트 폰의 활용은 일시적 유행을 넘어서는 라이프 스타일의 대혁신이자 새로운 주류의 패러다임이지만 이와 같은 편리함 이면에는 생활 속 IT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 특히 공공영역에서의 이용활성화에 따른 부작용과 안전의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 공공교통시설인 역에서 일시적 대기와 이동을 수행하는 기능적 거점으로서 열차운행과 직접관련이 있으며, 한정된 공간 범위적 특성으로 인해 기타의 공공영역에 비하여 다수의 스마트폰 활용이 더욱 공간의 기능성과 공공성을 저해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되는 철도 승강장을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하여 스마트 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대기행위가 활성화되는 환경요인을 도출하여 환경과 행위 간 상관성 이론으로 체계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승강장의 물리적 이용 환경 구성의 기본이 되는 지상과 지하의 위치관계 및 상대식과 섬식의 설치유형, 그리고 전락방지 안전시설(스크린 도어)의 설치유무부터 시간대별 이용혼잡도를 기준으로 유형화한 이용 환경의 내용과 스마트 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시선처리 행위간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결과)「지하의 섬식 승강장에 스크린 도어같은 전락방지 시설이 설치된 안전하고 시각적 패쇄감이 높은 환경」에서 자기 매체와의 상호작용이 승강장의 공간 자원보다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이 같은 대기행위의 지속적 증가의 대비를 위해서 승강장내 시선처리와 관련된 시 환경과 행태의 상호성을 토대로 하는 개선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으로 생각되어 진다. 개선방안의 모색을 위하여 간접 배경 자원의 내용을 기준으로 4개의 시 환경 유형별 정의하고 환경과 시선 처리 행위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 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시선 처리의 빈도가 가장 높은 시 환경은「배경 자원의 밀도가 높은 지하의 상대식 플랫폼」인 유형 4로서 전체의 57.42%의 발생 빈도를 보였다. 즉, 자기 자원을 활용한 시선 처리 행위는 지상보다 지하에서, 광고 등의 배경 자원 밀도에 비례하여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분석되었다. (결론) 이상에 고찰에서와 같이 스마트 폰을 중심으로 하는 자기 자원 활용형의 대기행위를 저감시키기 위한 승강장 환경의 정비의 요소는 광고를 중심으로 하는 간접 배경자원(시 환경)이 될 수 있다. 일 방향적 단순 광고에 의한 배경 자원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자기 자원을 활용한 시선 처리 행위가 증가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고, 여기에 적절한 광고 시설의 설치와 운영을 통해서 시 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is age of smart IT, there have been adverse effects and safety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use of smartphones in public spaces. In view of this, we examine railway stations as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as they represent functional bases of temporary waiting and transit in direct connection with the most representative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Furthermore, owing to the constrained spatial characteristic of platforms, the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represents a greater threat factor to their spatial functionality and public quality relative to other public spaces.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s for systematizing a theory of interrelatedness between the environment and behavior through deriv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under which own resource-based waiting behavior, such as the use of smartphones, is activated. (Method) This study categorizes platforms based on the basic physical components of their use environment, including the type of ground-level/underground-level arrangement, side/island type layout, whether screen doors (safety features to prevent falling) exist, and congestion levels by time of day, and how they are interrelated with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s, such as the use of smartphones. (Results) We found that, in the case of “safe and highly enclosed environments such as underground island platforms with screen doors or other anti-falling barrier features,” interaction with one’s own media dominated the spatial resources of the platform. In preparation for the continued growth of such waiting behavior in the future, we believe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the visual environment and behavior, with regard to eye movements inside platforms. To explore such measures, we defined four types of visual environments based on indirect background resources and analyzed the eye movement frequencies of ea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visual environment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 was the “underground platform with a high density of background resources” (type 4), which was associated with 57.42% of the occurrences. Thus, there was a higher tendency for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 in underground than ground-level platforms, and in places with higher densities of background resources, such as ads. (Conclusions) As seen here, the relevant factor in maintaining platform environments for reducing own resource-based waiting behaviors, such as smartphone use, may be indirect background resources (i.e., visual environment)―in particular ads. We should focus on the fact that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 tends to increase with the density of background resources such as simple unidirectional ads, which points to the need for improving visual environments through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dequate advertisement facilities.

      • 갈등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문서현(Seo Hyun Moon)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2 상담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국내 갈등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동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갈등대처방식’, ‘갈등대처행동’을 주요 키워드로 검색하여 총 35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측정도구, 연구변인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별 논문 수는 2013년 4편으로 가장 많이 발행되었으며,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 방법으로는 총 35편의 논문 중 32편이 양적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질적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셋째, 연구대상으로는 35편의 논문 중 23편이 기혼자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었다. 넷째, 갈등대처방식에 관한 척도는 F-Copes를 최규련과 송말희가 번안, 수정한 척도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다섯째, 변인별 동향은 갈등대처방식이 종속변인과 매개변인으로 사용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제언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on conflict coping methods in Korea. Methods: To this end, the major keywords such as "conflict coping method" and "conflict coping behavior" were used on RISS(Research Informaion Sharing Service) and a total of 35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scales, and research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apers by year of publication was the highest with 4 papers published in 2013, and research was being conducted steadily. Second, for research methods, 32 out of a total of 35 papers were conducted as quantitative studies wiith none of qualitative ones. Third, 23 out of 35 papers were conducted on married people. Fourth, as for the scales of how to cope with conflicts, the scale that Gyu-ryeon Choi and Mal-hee Song converted and modified F-Copes was most frequently used. Fifth, as for the variables, the papers, used conflict resolution style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a mediator variable, were the most frequent. Conclusion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서대문 독립공원 내 추모공간의 계획 가능성과 방안 검토 - 서대문 형무소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문서현 ( Suhhyun Moon ),최정우 ( Jungwo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서대문 독립공원 내에 전국에 흩어져 있거나 별도의 추념공간이 없는 독립지사를 한곳에서 차이 없이 추모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이와 연계하여 전시공간과 교육 홍보 공간의 건립여부를 가늠해보기 위한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과정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추모공간의 건축 및 조형물의 기본계획을 위한 시설의 필요성과 입지의 타당성을 논증하고 기본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사적지인 해당부지의 제반 법규와 이에 따른 절차를 정리하여 이에 대한 문화재 현상변경 심의의 결과까지를 기술하였고 이를 통해 추후 계획에 필요한 전략을 제언하였다. (결과) 추모공간의 증축을 제안하는 제1안의 해당부지는 기존의 독립관 자리로서 전시실과 함께 위패 20,000위의 봉안에 필요한 공간면적을 추산하여 계획하는 한편, 2019년에 확정된 서대문형무소 종합정비계획 내 승인되어 있는 추모비 재설치 1식을 근거로 현재 설치된 추모 조형비에 공간적 개념을 대입한 대 국민 공모전의 대상작 조형물을 설치하는 제2안으로 기본계획을 제안하였다. 서대문 독립공원 전체 권역은 건축을 비롯한 설치 행위를 하기 위해‘문화재현상변경허가’와‘공원조성계획 변경결정’을 득하여 야만 한다. 특히 증축을 방법으로 하고 있는 제1안은 이 두가지 법제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그중 건축 기본계획에 대한 문화재 현상변경허가는 2018년 문화재위원회에서의 심의결과“서대문형무소 종합정비계획 확정과 연계, 신축 적정성 여부 등에 대하여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심의가 보류”되었다. 또한 조형물을 설치하는 제2안의 기본계획의 내용 역시 2019년 문화재위원회 심의결과“설치하고자 하는 추모공간이 해당사적지의 보존과 관리에 비치는 영향이 크고 적정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어 심의가 부결”되었다. (결론) 제1안의 경우, 추모시설의 필요성과 장소의 당위성은 충족되고 있으며, 심의이후 확정된 서대문형무소 종합정비계획에서 정비구역의 경계가 해당 부지와 중복되지 않고 복원 프로그램이 상충하지 않으므로 원안의 변경 없이 재심의 접수하여 재추진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안의 경우, 이미 서대문형무소 종합정비계획 내 승인되어 있는 추모비 재설치 1식을 근거로 하고 있음에도‘부결’로서 추진이 불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기본계획의 내용이 문화재청의 보존 방침에 의해 번번히 좌절되어온 결과는 규제의 역설로 평가될 수 있다. 문화재청의 입장인‘ 온전한 장소 그 자체’로 후세들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증가일로의 관람객에 대응하는 추모와 전시기능의 개선을 위한 장기플랜의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위하여 무엇보다 문화재 심의위원회의 추모공간의 필요성 및 현황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aster plan and review the implementation process to provide a location to commemorate independence activists without separate memorial spaces or scattered over the country in Seodaemun Independence Park, an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n affiliated location for exhibition or education. (Method) The study discusses the need and the validit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emorial space and the basic plan of the sculpture and then suggests a basic design plan.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s the various regulations regarding the cultural historic sites and its related process, describes up to the results of the review on chang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designated cultural assets and suggests the strategies needed for future plans. (Results) Plan 1 is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 memorial space, and its site is located at the existing Independence Hall. The plan estimates the area needed for an exhibition hall, along with a site to place 20,000 memorial tablets. On the other hand, Plan 2 is based on a construction of a winning sculpture from the grand public contest that incorporates the spatial concept to the existing memorial monument, based on the approved reconstruction of the memorial monument from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of the Seodaemun Prison confirmed in 2019. Any installation including construction within the entire area of the Seodaemun Independence Park requires the‘permit to change the present conditions, etc. of a designated cultural asset, etc.’ and the ‘decision on changing the establishment of parks.’ Plan 1 needs prior reviews on the two legislation since it is based on an expansion, but regarding the permit to change the present conditions of a designated cultural asset,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withheld the plan in 2018 stating as being ‘determined to require further examination on matters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a new construction along with the already confirmed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of the Seodaemun Prison.’ In addition, the basic plan for Plan 2 which suggests to construct a sculpture was also withheld by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in 2019 stating as being ‘determined that the memorial area suggested for construction largely affects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historical site in question and lacks in suitability.’(Conclusions) However, in the case of Plan 2, it was impossible to carry forward the plan as it was withheld, although it was based on the already approved reconstruction of the memorial monument from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of the Seodaemun Prison. There is a stronger need in the change in awareness on the current status and necessity of a memorial location from the review board of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 일본의 駅舎시설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경향 분석

        문서현(Moon Suh-Hyun),니시데카즈히코(Niside Kazuhiko)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계획계)

        This study on the research trend in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railway station facilities in japan from 1940"s till now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s obtained from CiNii(Citation Information by NII(National institute of infomatics)). From the 467 papers found, researches that are categorized under the architectural planning division are selected based on the Division Categorization Index of Japan Institute of Architecture. The contents of the short-listed researches are then analyzed according to year and type of facilities while the research methods and analysis techniques are also organiz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and research direction for a more systematic way of research for railway station facilities in Korea.

      • KCI등재

        도시철도 차량 실내의 이용자 시설 평가와 개선방향

        문서현(Moon, Suh-Hyun),김구슬(Kim, Gu-Seul),신경주(Shin, Kyung-Jo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0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5

        User-oriented Design is necessary in planning the interior design of Metropolitan Railroads trains, since this is a typical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is modern society and all ages people with different body scale use this facility. However, there are little studies about facility panning and zoning of Metropolitan Railroads train considering users.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completing the checklist based on the current legal standards of facility installation of South Korea and Japan, we examined user’s facility and suggest several improvement of the opening 14 metropolitan railroad lines in Seoul. Then, we evaluated this facilities according to 41 standards; general facility(24 standards), safety facility(4 standards), guide facility(11 standards), other facility(4 standard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facility has to be designed to obtain lots of room for storage and this facility should be fixed up tightly with secure system. 2) Safety facility should be designed to minimize a difference of floor-level between threshold of train and ground. Also, using various color and material could help passengers to distinguish different space and facility. 3) Guide facility should be designed to guide passengers to the accurate direction with proper sign design in the pathway of Metropolitan railroad train. Also, more various color, which based on the research about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 should be used to guide people. 4) Other facility should equip more visual system using common good and informative contents. Through this study, we try to understand the current interior physical condition of Metropolitan Railroads trains. However, for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o supplement evaluation standards considering aesthetic design,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and the satisfaction and demand of Metropolitan Railroads trains.

      • 철도 승강장의 대기유형과 특성에 관한 고찰

        문서현(Moon, Suh-Hyun),야마다신(Yamada, Shi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5

        Methods of waiting at platforms can be ramified into 6 subtypes on the three sides of “the first type(platform resources subordination)”, “the second type(self-human resources utilization)”, and “the third type(self-material resources utilization).” Of these, “3-A type(self material resources + platform position resources utilization)”, which utilizes free self-resources at the waiting line occurs most frequently.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pecific behavioral contents, the frequency of actions related with eye gazing has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In particular, the frequencies of the “behavior of looking at” utilizing indirect backgrounds “shown” at platforms, and the “behavior of manipulating” utilizing self-material recourses like cellular phones are the highest. Thus, in addition to the requirement of specific examination of things like “advertisement facilities, indirect background resources as landscapes”, which have been excluded from platform planning,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action of eye gazing by means of personal media and interrelations with platform resources.

      • KCI등재

        승강장 대기행위에서 나타나는 어포던스의 속성과 유형 분석

        문서현(주저자) ( Suh-Hyun Moon ),야마다신(공동저자) ( Yamada,Shin ),최재문(교신저자) ( Jae-Moon Choi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2

        승강장 대기행위에서 나타나는 어포던스의 속성과 유형의 분석결과, 승강장의 한정된 공간 내 대기를 위한 인간 대응은 개별적 이용 주체를 중심으로 승강장 공간자원 종속형, 이용자 자기인적자원 활용형, 이용자 자기 물적자원 활용형의 하위 6가지 상세타입으로 제시되었다. 그 중 스마트 폰 등의 조작형 매체를 중심으로 하는 자기 물적 자원 활용형의 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 같은 행위의 특성은 선자세로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가 빈번, 주변의 벤치등과 같은 편의시설의 활용도가 감소하는 특징을 보이며, 공간내 혼잡도가 완화되면 행위빈도도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선로를 향한 단 방향의 대기선이 형성되는 승강장내 이용 패턴에 더하여 전방 이용자와의 적절한 시선처리를 위해 자유롭게 활용가능한 자기자원의 활용이 촉진된 결과로서, 특히「지하의 섬식 승강장에 스크린 도어같은 전락방지 시설이 설치된 안전하고 시각적 패쇄감이 높은 환경」에서 자기 매체와의 상호작용이 공간 자원보다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이같은 대기행위의 지속적 증가의 대비를 위해서 승강장내 시선처리와 관련된 시 환경과 행태의 상호성을 토대로 하는 개선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으로 생각되어 진다. Analysis of the properties and types of affordance observed in people waiting on the platform yielded six subtypes of human response to the act of waiting in a limited space of the platform deck. Of them, Type 3 based on self-operable medium such as smart phone was analyzed to have the highest frequency. This type of waiting behavior wa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medium predominantly in the standing position, resultant decrease in the use of amenities within the waiting space such as benches, and its decreasing frequency as the space became less crowded. This waiting behavior, in addition to the use of platform for waiting itself while lining up in a unilateral direction facing the rails, can be interpreted as a gaze control maneuver on the platform vis-a vis the person standing just in front with the aid of a freely available individual resource. This interaction with one``s own portable medium was confirmed to have a higher attraction than the resources existing within the platform deck, especially in "safe and visually well-shielded environments with drop prevention structures such as a screen door on an underground island-type platform deck." Taking these findings together,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refurbish the platform space to improve its environments to meet the needs of the increasing number of waiting space users, thereby extending the design interest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aze control-related visual environments and affordance-related waiting behavior on the plat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