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rticle>Factors Influencing Productive Activities of the Korean Rural Elderly

        마상진 Ma, Sang-Jin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농촌경제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roductive activities of the Korean rural elderly. Utilizing data from the 2004 survey "Living Profile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 this study predicted the productive activities of the rural elderly. All of the ten predicting variables selected from the survey and literature review (age, gender, education, activity limitation, personal income, health, organization, family status, socio-economic status, and job)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artial effects on such productive activities as paid work, care-giving and volunteer work. The following are major conclusions: The rural elderly women had more care-giving, whereas men had more volunteer work. Participation in religious or social organizations was a good predictor for participation in a volunteer work. Single-family status was a negative factor for care-giving. Being a farmer or not could explain the paid working time most effectively. The rural elderly with a relatively high socio-economic status have more inclination to participate in a volunteer work. Aging reduces the possibility of sharing the experiences of paid work or care-giving. Activity limitation had a negative partial effect on care-giving. Good health was the only valuable predictor for all kinds of productive activities. Personal incom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aid work and care-giving. The highly educated were more likely to do unpaid productive work.

      • KCI등재

        역 귀농·귀촌 의향 영향 요인 분석

        마상진(Sang Jin Ma),남기천(Ki Choen Nam),최윤지(Yoon Ji Choi) 한국농촌사회학회 2016 農村社會 Vol.26 No.1

        이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귀농ㆍ귀촌 이면에 발생하고 역 귀농ㆍ귀촌에 어떠한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4년 귀농ㆍ귀촌 장기추적조사 1차년도 조사 원자료가 사용되었고, 통계 분석으로 카이스퀘어 분석, 다항로짓분석 등의 기법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귀농ㆍ귀촌 동기는 역 귀농ㆍ귀촌 의향에 영향을 미친다. 경제적 동기보다는 도시 생활에 대한 회의나 생태 공동체와 같은 가치 추구형 동기를 가졌던 귀농ㆍ귀촌인들의 역 귀농ㆍ귀촌 의향이 낮았다. 둘째, 주민과의 관계가 역 귀농ㆍ귀촌 의향에 영향을 미친다. 주민과의 왕래가 많을수록, 주민과 갈등 경험이 적을수록 역귀농ㆍ귀촌 의향이 낮았다. 한편 선행연구에서는 가족 동반이주 요인, 경제적 요인, 사전 준비 요인, 귀농ㆍ귀촌지 특성 등이 성공적 귀농ㆍ귀촌에 영향을 준다 하였지만, 이 연구의 분석 결과 역 귀농ㆍ귀촌 의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더불어 후속연구로 행동 의향이 아닌 실제 재이주에 대한 조사 그리고 도시로의 재이주 이외에 귀농ㆍ귀촌인의 다른 농촌으로의 재이주(2차 귀농ㆍ귀촌)와 관련한 분석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urban-to-rural migrants’ intention of returning to urban area and to identify its related variables. For the purposes, this study analyze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s urban-to-rural migrant survey(2014), using multinominal logit model. As results, this study made following conclusions: urban-to-rural migrants’ motive related value-oriented such as skepticism of urban life, and preference of eco-friendly life have a low intention of returning to urban area; urban-to-rural migrants who make more frequent contact with original rural residents have a high intention of continuing their rural life. Lastly, this study made a recommendation for the future study, dealing with second or third migration such as rural to rural migration who have not settled at first rural migration place other than rural to urban migration.

      • 사회적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 육성과 네트워크 활성화

        마상진(Sang-Jin Ma)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Vol.- No.-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이 도시지역과 차별화된 가치를 바탕으로 사업모형을 살리면서도 취약한 기업환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역량을 전문적으로 지원해주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을 위한 차별적인 중간조직 육성 및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 설문조사, 사례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을 통해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의 역사와 의미, 역할, 종류와 관련한 이론과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 관련법과 현황을 고찰하였다. 184개 농촌 사회적기업, 44개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농촌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 및 역량 강화와 관련한 지원 요구, 중간지원조직들의 조직구조, 조직역량, 그리고 이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실태와 관련 개선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정책개발과 관련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국내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 우수사례와 벨기에·영국·스페인 등의 유럽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 사례를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 육성 및 네트워크 활성화의 기본방향과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 육성 및 네트워크 활성화의 기본방향으로 중앙·광역·기초 단계에서 공공 부분의 유기적인 역할 분담체제와 농촌의 사회적기업을 위한 별도의 중간지원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세부과제로는 ① 광역지자체 단위 중간지원체제 구축, ② 기초지자체 단위의 현장밀착형 지원조직 구축, ③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지원을 위한 별도의 지원체계 구축, ④ 중간지원조직의 법적기반 마련, ⑤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공공부문의 지원 강화, ⑥ 연합체와 컨소시엄·그룹의 역할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easures to activate intermediary bodies for social enterprises in rural areas.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related theoretical researches on social enterprise intermediary bodies; suveyed 184 rural social enterprises to investigate the capacity building needs, and also surveyed 44 social enterprises intermediary bodie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ir organizational capacity of supporting activities, networks, and needs; and case-studied several rural social enterprise intermediary bodies in korea and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Begium, England, and Spain. As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basic direction of activating intermediary bodies for rural social enterprises: vertical cooperating system among central,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and separate stable supporting system rural social enterprises. According to this direction, this study developed the following six measures to activate intermediary bodies for rural social enterprises: ① setting up regional level supporting system, ② organizing local level intermediary bodies, ③ establishing central and regional level rural social enterprise supporting system, ④ setting legal foundation for intermediary bodies, ⑤ public sector"s supporting intermediary bodies, ⑥ activating social enterprise"s regional or industrial association or consortium.

      • KCI등재

        농업마이스터 대학 프로그램의 교육성과 평가

        마상진 ( Ma Sang Jin ) 한국축산경영학회 2014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1 No.3

        The study was to evaluate educational outcome of Agricultural MeisterCollege Program. For the purpose this study utilized static-group comparisonpre-experimental design: treatment was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Program;observation gropu 1 with treatment was farmers who had been participatingin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Program; observation group 2 was normalfarmers. To get data for the design,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on 197Agricultural Meister College Program participating farmers, and 653 normalfarmers. Comparative analysis utilizing t-test between two groups indicatedthat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program gave participating farmers moreintangible outcomes such as confidence on their farm management, newagricultural technology acquisition, and personal network expansion thannormal farmers. Also, farmers participating in Agricultural Meister Collegeprogram got more economic performances such as decrease of farmmanagement cost, increase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farm income. Multile regression including personal and farming variables (age, gender,farming career, school, career path to farmer, farm commodity, farm scale)showed that the most explainable variable to those intangible outcomes andeconomic performance was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Program particip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large portion of educational outcome ofAgricultural Meister College Program was from the long-term education effect.

      • 지방 농정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마상진(Ma Sang-Jin),권인혜(Kwon In-hye)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농정 거버넌스 활성화와 관련한 실태를 진단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① 지방 농정 거버넌스 관련 이론 및 선행 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한 분석 모형도출, ② 지방 농정 거버넌스 관련 사례지역 조사를 통한 거버넌스의 형성 · 운영 과정 분석 및 성과와 해결과제 도출, ③ 지방 농정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관련 주체들의 거버넌스 실태에 대한 인식 조사 · 분석, ④ 지방 농정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도출 등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사례 조사, 설문 조사, 전문가 자문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거버넌스의 개념과 의의 등 거버넌스 관련 이론을 고찰하고, 농정 거버넌스 관련 역사, 농정 거버넌스 관련 문제점 등 한국 농정 거버넌스 실태를 살펴보았다. 사례 조사를 통해 기초지자체 단위 농정 거버넌스 추진의 주요 사례를 분석하고 성과와 해결과제를 파악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지방 농정 거버넌스 및 그 영향요인의 활성화 정도, 그리고 관련 주체들의 농정 참여 관련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밖에 연구 과정에서 전문가 회의, 간담회 등을 개최하여 사례 조사 및 설문 조사 진행, 지방 농정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기본 방향 설정 및 과제도출 등과 관련하여 자문을 받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방 농정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기본 방향과 추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방 농정 거버넌스는 소수의 농업 관련 전문가나 농업인단체장을 중심으로 정책 설계 과정을 위주로 단편적으로 이루어지는 위원회 중심의 소극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정책의 설계 · 집행 · 평가의 전과정에서 투명한 자료 공개와 더불어 다양한 계층의 농업인 의견이 반영되도록 하는 적극적인 방식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지방 농정의 민간 주체 육성, 지자체의 농정 거버넌스 기본체제 구축, 중앙정부의 지방 농정 거버넌스 지원 등이 필요하다. 지방 농정의 민간 주체 육성과 관련하여, 농업인의 정치 참여 의식 및 참여 경험과 농업인단체의 거버넌스 역량을 제고해야 하고, 농업 관련 주체 간 협력 강화 및 타 분야 거버넌스 활동과의 연대가 추진되어야 한다. 지자체의 농정 거버넌스 기본체제 구축과 관련해서는, 주민의 농정 참여 기회 확대와 참여 관련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공무원에 대한 거버넌스 교육을 강화하고, 거버넌스 전담 조직을 운영하며, 지방 농정 관련 심의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 중앙정부는 지방 농정 거버넌스에 대한 지원과 관련하여 농어업회의소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시범사업을 확대 추진하며, 농어업회의소 사무국의 농정관련 전문성 강화를 지원하고, 장기적으로 농어업회의소의 전국 단위 법제화를 추진해야 한다. Research Purpose &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and to suggest the activation measur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local governance literature on its constructing and affecting factors and related laws and history in terms of agricultural policy making. This study also carried out case studies of several basic local governments (Shi Gun) where there have been special efforts to organize and operate local governance in pursuit of development of the region, in which the process of the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formation and oper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positive results and challenges were derived. Furtherm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433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related individuals including farmers, farmer organization members, and local agricultural officials to inquire into their perception of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and their governance participation. Research Result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measures to activate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were suggested. In terms of fostering private actors in local agricultural policy, farmers’ perception of local governance participation and their participation experiences should be elevated, while the farmer groups’ governance capacity, their integral unity and the solidarity with local governance in other sectors should be enhanced. As for basic local government’s fundamental system for operating agricultural governance, the civil participation opportunities should increase and the related legal system needs to be organized. Governance education for local public officials, arrangement of an exclusive organization (or officials) responsible forgovernance related tasks, and activation of a current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related committee are necessary. Finally, central government should support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activation by means of the chamber of agriculture pilot project expansion as well as the chamber’s executive offices and their staff’s capacity building. In the long term, the chamber of agriculture should be legalized nationwide.

      •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방안

        마상진(Sang-Jin Ma),김창호(Chang-Ho Kim),권인혜(In-Hey Kwon),오세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과 관련한 학문적, 정책적 논의의 단초를 마련한다는 관점에서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 조사, 그리고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과 사례고찰을 하였고, 이를 토대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기본 과제가 추진되어야 하는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관련 이론으로 사회적기업의 역량의 개념, 역량의 구성요소, 역량 강화 활동 등을 고찰하였다. 이론 고찰을 통해 마련한 사회적기업의 역량분석틀을 기초로 전문가 협의를 거쳐 개발된 조사지를 통해 사회적기업의 역량을 분석하였고, 사회적기업들이 역량 강화를 위해 어떤 활동을 하고 있으며 관련 요구는 무엇인지도 조사하였다. 그리고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을 통해 제공되는 교육, 컨설팅, 네트워크 지원 등과 더불어 중간지원조직, 소셜벤처 등을 고찰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유럽의 사회적기업의 역사와 관련 지원 현황과 더불어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의 사례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의 기본방향과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역량 자체에서 차이가 나지만 그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활동의 측면에서도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에는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농촌지역은 각종 공공?민간의 사회적경제 관련 물적?인적 자원의 규모가 도시에 비해 적을 뿐 아니라, 관련 주체들의 기본 자질도 일반적으로 떨어진다. 특히 상업적 기업 환경과 관련한 경험이 일천하고, 역량강화와 관련한 각종 교육이나 컨설팅 경험도 희박하다. 따라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농촌이 가지는 특수성이 충분히 반영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추진과제로 이 연구에서는 ① 사회적기업 역량 진단 및 역량 강화의 모형 개발, ② 잠재적 농촌지역 사회적기업가 발굴 및 지원, ③ 농촌지역 지역자활센터의 활용 강화, ④ 지역 수준(중앙?광역?기초) 간 수직적 역할 분담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asures to build capacity of rural social enterpris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related theoretical researches, capacity building policies and efforts, and social economy in Europ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capacity and the capacity building needs of rural social enterprises based on a survey of 258 social enterprises including 107 accredited social enterprises, 59 pre-accredited social enterprises, and 71 self-reliance communities jahawlgongdongche, and case studies of rural social enterprises. As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basic direction for capacity building and several measures to facilitate capacity building of rural social enterprises. Capacity building policy and efforts should be oriented to consider relatively weakness of rural social enterprises for the shortage of social resources in rural area and capacity building opportunities such as education and consulting services compared to urban social enterpris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the study developed the following four measures to activate capacity building of rural social enterprises: ⓛ developing basic model for capacity assessment and capacity building of rural social enterprises; ② fostering future rural social enterpreneurs and supporting them to develop; ③ promoting rural self-reliance center jiyokjahwalcenter as local capacity building supporting agency for rural social enterprises; and ④ setting up vertical cooperating system among central,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애완동물에 대한 태도 연구

        마상진(Ma Sang Jin) 한국실과교육학회 200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toward pet anima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pet ownership and child-pet interaction.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ll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a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Kyunggi, and Taegu. Four hundred and forty students were sampled stratified randomly for this study. A survey instrument including pet ownership items, child-pet interaction scale, and attitudes toward pet animal scale was developed and used for data collection. Statistical analysis of responses indicated that elementary students had a positive attitudes toward pet animals; that boys’ attitudes were more positive than girls’; that the attitudes were substantially explained by child-pet interaction, while the attitudes were related with pet ownership and child-pet interaction; and that child-pet interaction was the consistent substantial predictor of the attitudes irrespective of the kind of pet owned by children.

      • KCI등재

        한국국제협력단(KOICA) 국제농업협력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 내용 분석 연구

        마상진 ( Sang Jin Ma ),김기용 ( Ki Yong Kim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5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7 No.1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ellowship program contents in KOICA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cooperation during the time span from 2010 to 2012. In terms of program offering institute, the recipient country, program period and program budget as well as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s, the fellowship programs were analyzed. A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following conclusions: the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s were rather general agricultural or rural policies and broad themes than specific skills, which could limit the performance of the fellowship program; the programs were offered mainly by colleges,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which of them the share of private sector was increasing; and while the recipient countries were mainly located at Africa, Asia and South America, many programs were operated during one month or less, in which program preparation including needs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program elaboration and substanti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