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결백한 독일국방군” 신화의 산파 바실 리델 하트: 한 군사학 구루의 명예와 제2차 세계대전의 진실

        류한수 대구사학회 2018 대구사학 Vol.130 No.-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reason why Sir Basil H. Liddell Hart, a world-famous English military thinker, chose to defend those German generals accused of the war crimes in the aftermath of World War II and to clarify his role in the birth of the “Clean Wehrmacht” legend. 1930s saw that having changed his former position on the military issues Liddell Hart began to argue the superiority of position warfare over mobile armored warfare and to attach more importance to defence than attack. In 1940 when Germany invaded France, he predicted that the German army would be defeated by the French army. Virtually all his predictions went wide of the mark. As a result his reputation was seriously ruined. As World War II came to close, he made an effort to make contact with those German high-ranking officers incarcerated in the POW camps and talk about strategy and tactics with them. He asserted that most of them were no more than the professional soldiers who were not interested in Nazism. As the Nuremberg trials began, he argued that Erich von Manstein was not engaged in the war crimes and depicted the Wehrmacht generals as the patriotic soldiers who fought not for Hitler but for their fatherland during the war. In doing so, Liddell Hart tried to induce the pre-eminent German generals to say that they were inspired by his ideas on the mobile warfare in the formation of the German armored forces and in the planning of the operation “Sichelschnitt” in 1940. Some German generals such as Heinz Guderian accepted his suggestion to characterize him as a mentor of their Blitzkrieg. As a result he succeeded to regain his reputation. The fact is that the German mobile armored warfare was not influenced by Liddell Hart and that many Wehrmacht generals were engag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war crimes in the Eastern Front of Europe during the war. In a nutshell, his honor was redeemed at the cost of the truth of World War II. Liddell Hart was a midwife of the “Clean Wehrmacht” legend. 이 글의 목적은 영국의 저명한 군사 전문가 바실 리델 하트가 제2차 세계대전 직후에 전쟁범죄 재판에 회부된 독일국방군 고위 장교들을 옹호한 까닭과 그가 “결백한 독일국방군” 신화의 형성에서 한 역할을 밝히는 것이다. 리델 하트는 1930년대부터 자기의 기동전 이론을 포기하고 진지전의 효율성을 강조했고, 1940년에 독일군이 프랑스를 침공했을 때 독일의 패배와 프랑스의 승리를 예측했다. 따라서 그의 평판은 심하게 훼손되었다. 전쟁이 끝난 뒤 리델 하트는 수감된 독일 장성들과 접촉하면서 친분을 쌓았고, 전범 재판의 부당성을 주장하며 그들을 옹호했으며, 그들이 전쟁범죄와 무관한 동시에 나치 체제가 아닌 조국 독일을 위해 싸운 명예로운 군인이라고 단언했다. 리델 하트는 이러한 변호의 반대급부로 독일의 유명한 장군들이 자기의 저술에 착안해서 기갑부대를 창설하고 “전격전”이라는 기동전을 구상했다는 발언을 하도록 유도했다. 구데리안 장군을 비롯한 여러 독일 고위 장교가 그의 은밀한 요청에 응하면서 리델 하트는 독일 기갑전의 “스승”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로써 전후에 그는 바라던 대로 명성을 되찾았다. 그러나 리델 하트가 독일군의 기갑부대 편성과 운용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인식은 사실과 어긋난다. 또한 만슈타인을 비롯한 독일국방군 고위 장교들이 유럽 동부전선에서 자행된 전쟁범죄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다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제2차 세계대전의 진실을 희생해서 명성을 얻은 리델 하트는 “결백한 독일국방군” 신화의 탄생을 도운 산파였던 셈이다.

      • KCI우수등재

        가쁘게 달려온 뒤 숨을 고르며 러시아사 연구의 정체성을 고민한다

        류한수 역사학회 2023 역사학보 Vol.- No.259

        이 논문의 목적은 2021년과 2022년에 한국에서 나온 러시아사 연구성과물을 평가하는 것이다. 2017년까지 러시아사 연구는 양과 질에서 느리지만 꾸준히 성장했다. 러시아 혁명 100주년인 2017년에는 극적인 증대가 있었다. 2020년대 초엽에 이 추이와 기세가 유지되었다. 지난 두 해 동안 나온 연구성과물은 243편이다. 정치사, 사회사, 경제사, 지성사, 예술사 분야에서는 성과가 탁월했지만, 여성사 등 몇몇 분야에서는 미흡했다. 다양하고 신선한 주제를 파고드는 신진 연구자들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반적으로는 전망이 어둡지 않다. 한편, 국내 “러시아사” 연구의 정체성에 관한 중요한 문제를 숙고할 때가 되었다. 우크라이나사가 통상적으로 러시아사 연구의 일부로 간주되었는데, 이같은 분류법은 우크라이나가 주권 독립국이 되었으므로 문제가 아닐 수 있다.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동슬라브사 연구”라는 명칭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ssess and analyze those articles and books on the Russian history published in 2021 to 2022 in Korea. Up to 2017 there was a slow but steady growth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of the researches on the Russian history. On the occasion of the year 2017,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Russian Revolution, there was a drastic increase in the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Russian history. The early 2020s saw that such a trend didn’t break and its momentum was maintained. 243 pieces of work were produced for the past two years. The remarkable researches were produced in the spheres such as political history, social history, economic history, intellectual history, and art history. In contrast, however, little was produced in some spheres, especially gender history. Further study should be stimulated in those areas in which inertia was observed. Overall, the prospects are far from being bleak, considering the advent of the younger generation of those researchers who delve into the various fresh topics on the Russian history. In the meantime, it is high time to contemplate an important problem concerning the identity of the “Russian” history study. It has been conventional that the studies in the Ukraine history has regarded as a part of the Russian history study. Such a classification will be problematic, given that Ukraine is a sovereign independent state. Some solutions should be groped for anew. A labelling of the “study of East Slavic history” can be a solution to the problem.

      • KCI등재

        “진흙 발의 거상”인가? “붉은” 스팀롤러인가?: 러시아/소련 군대에 관한 서방 세계의 편견과 실상

        류한수,유승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 중소연구 Vol.41 No.1

        This article aims to elucidate why and how the strong prejudices against the Russian/Soviet armed forces were in the modern Western World. The Russian/Soviet army tends to be seen as an brutal organization far from being efficient by the contemporary Westerners. The nineteenth century saw that the nationalistic sentiment lead the German soldiers to regard the Russian Imperial army as a “colossus with feet of clay.” In their eye the Russian army was just the seemingly powerful but practically precarious gigantic one.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in 1917 Germany did not cast away a prejudice against the Red Army which replaced the Russian Imperial army in Soviet Russia. In 1930s the racist Nazi ideology came to prevail among the high-ranking Wehrmacht officers, who consider the Russian people to be an Asiatic Untermensch. Even after their defeat in the Russo-German War in 1945 they refused to admit that the Soviet army was a far cry from the inefficient brutal one. In the post-World War II era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began to regard the Soviet Union as their formidable rival and enemy and scrutinize the Soviet armed forces. Their perception of the Red army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former Wehrmacht officers who were in a position to co-operate with the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U. S. army in order to have a lead in the fierce competition with the Soviet army during the Cold War. As a result the strong prejudices against the Soviet army lingered in the mind of the Western World. 이 글의 목적은 러시아/소련 군대를 보는 서방 세계의 편견이 왜, 그리고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서방에서 소련군은 인명을 경시하는 비인간적이고 비효율적인 조직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편견은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극단적인 민족주의가 유럽에 확산되면서 독일은 러시아군을 야만적인 군대이자 강해 보이지만 실은 허약한 “진흙 발의 거인”으로 보기 시작했다. 20세기에 독일은 제정 러시아가 무너진 뒤 들어선 소비에트 러시아를 주적으로 인식했다. “유대-볼셰비즘” 담론과 인종주의에 입각해서 독일국방군은 소비에트 연방을 허약한 체제로 보았고, 그러한 가정 아래 침공을 계획했다. 패전한 뒤에 독일의 고위 군인들은 소련군을 상대할 방법을 찾는 미국에 협력했고, 미국 육군청의 역사과가 주관하는 독소전쟁의 역사서술을 주도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후에 독일국방군은 침략자가 아니라 유럽 그리스도교 문명을 아시아적 볼셰비즘에게서 지킨 존재로 부각되고 소련군은 무능한 비체계적 군대로 폄하되었다. 이런 식의 폄하는 냉전 시기의 미국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 그 독일 고위 장교들이 스스로를 정당화할 목적으로 양산해낸 기록에는 숱한 오류가 있다. 차츰차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소련군을 제대로 상대하기 위해서라도 제2차 세계대전 시기의 소련군을 편견 없이 보고 연구하려는 흐름이 서방의 연구자 사이에서 형성되기 시작했고 이들의 노력으로 소련군을 보는 시선은 차츰차츰 변화하기 시작했다.

      • KCI등재

        마리야에서 보치카료바로, 보치카료바에서 야시카로 : 여성결사대대 지휘관 마리야 보치카료바의 삶과 자서전 『야시카』

        류한수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3 중소연구 Vol.46 No.4

        This article aims to illuminate the life of Maria Bochkareva, the commander of the First Russian Women’s Battalion of Death and to review her autobiography Yashka: My Life as Peasant, Exile and Soldier. Bochkareva is a very unique figure in the modern history of Russia. When the First World War broke out, Bochkareva who lived in Siberia with her spouse in exile volunteered to join the Russian army, completed the military training to be a regular soldier, and fought the enemy on the front lines. During the revolutionary process of 1917, she organized and trained the Women’s Battalion of Death with a view to convincing the male soldiers to fight by making them ashamed, and then commanded the battalion in the actual battles. After the Women’s Battalion of Death was disbanded in the aftermath of the October Revolution, Bochkareva went to the United States and England to ask for the intervention force to be sent to Russia and to defeat the Bolshevik regime. 1919 saw that Bochkaleva who returned to Russia and joined the counter-revolutionary movement in Siberia was arrested and shot by the Bolsheviks. While in the United States in 1918, Bochkareva dictated her life story and published her autobiography Yashka written in English. This text contains the sincere confessions, the inner revelations, the truth of the events and the vivid reproductions of the past, while there are some errors and confusions, some omissions and exaggerations, and a number of distortions and falsehoods. Therefore, Yashka is an important and precious historical source that needs to be handled carefully. Errors and confusion, omissions and exaggerations, distortions and falsities mixed with the truths must be removed or filtered out. In a nutshell, Yashka should be subject to the strict source criticism. As with all autobiographies and memoirs, Yashka could be a source of historical truth only when it is subject to strict criticism and careful approach. 마리야 보치카료바라는 여성은 러시아 현대사에서 매우 독특한 인물이다. 유형수인 배우자를 따라 시베리아에서 지내던 보치카료바는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자원해서 군대에 들어가서 훈련을 마치고 러시아군 병사가 되어 최전선에서 싸웠으며, 1917년 혁명기에는 싸우기를 거부하는 남성 병사들을 부끄럽게 만들어 싸우게만들 목적으로 여성결사대대를 편성해서 조련했고 실전에서 지휘했다. 10월 혁명의여파 속에서 여성결사대대가 해체된 뒤에 보치카료바는 미국과 영국으로 건너가 볼셰비키 정권을 물리칠 간섭군을 러시아에 보내라고 요청했다. 러시아에 돌아온 보치카료바는 반혁명 운동에 가담했다 체포되어 1919년에 총살되었다. 보치카료바는1918년 여름에 미국에서 자기의 삶을 구술해서 영어로 씌어진 자서전 야시카 를펴냈다. 야시카 에는 진솔한 고백과 내면의 토로, 사건의 진실과 지난날의 생생한재현이 들어 있는 한편으로 오류와 혼동, 누락과 과장, 왜곡과 허위도 섞여 있다. 따라서 야시카 는 소중하지만 신중하게 다뤄야 할 사료이다. 야시카 에 들어있는진실을 가리거나 그 진실과 뒤섞인 오류와 혼동, 누락과 과장, 왜곡과 허위를 걷어내거나 걸러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엄정한 사료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모든자서전과 회고록이 그렇듯이, 보치카료바의 자서전은 엄정한 비판과 신중한 접근이이루어져야만, 역사의 진실을 밝혀주는 사료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1945년 “8월의 폭풍”과 1991년 “사막의 폭풍”: 붉은 군대의 만주 전역과 미군의 이라크 전역의 유사성 분석

        류한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7 역사문화연구 Vol.66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Soviet campaign against the Japanese Kwantung army in Manchuria in August 1945 and the operation “Desert Storm” carried by the U.S. forces against the Iraqi army at the Gulf War in 1991. In many ways the latter bore a striking resemblance to the former. At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Red Army placed all the forces of the theater of the Far East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Far East Headquarters, which launched the coordinated operations against the enemy. In the Gulf War all the operations of the U.S, forces were coordinated by the theater headquarters, the United States Central Command. In its Manchurian campaign the basic operation planned by the Red Army was that the main attack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operational maneuvering forces through the Greater Khingan Range and the Gobi Desert defended weakly by the enemy and the supporting attack be carried out in the eastern and northern regions of Manchuria. In the Gulf War the basic operation planned by the U.S. Central Command that the main attack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operational maneuvering forces at the Saudi-Iraq border defended weakly by the enemy and the supporting attack be carried out by the Marine Corps in Kuwait. Before the full-scale campaign the Soviet army launched the massive deception operations to induce the Kwantung army to misread its strategic intentions. For the Iraqi army to be deceived, the U.S. forces pretended to launch their main attack not in the Saudi-Iraq border but in the Persian Gulf. In both campaigns a great role was played by the efficient combined arms of the army, the navy, and the air forces. In a nutshell, the two campaigns shared the similarities such as the organization of the theater headquarters, the tendency to select the harsh terrains as the main attack axis, and the massive deception operations followed by the main attacks. Such similarities are more than a coincidence. The operations of the Gulf War were planned by “the Jedi Knights”, those U.S. military staff officers who had been taught the Soviet military theories and the operational art by their mentors, a batch of scholars majoring in the military history of the Soviet army at the School of Advanced Military Studies, the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at Fort Leavenworth. In the stages of panning the military strategies and operations, moreover, the “the Jedi Knights” kept in touch with their mentors, who gave advice to their apostles. 이 글의 목적은 소련군이 1945년 8월에 만주의 일본 관동군을 상대로 실시한 만주 작전과 1991년 2월에 미군을 비롯한 다국적군이 이라크군을 상대로 실시한 “사막의 폭풍” 작전의 유사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여러 면에서 두 작전은 매우 유사하다. 소련군은 소련 극동전구에 배치된 모든 군사력을 총지휘하는 극동사령부를 조직해서 통합된 전구사령부의 지휘 아래 작전을 수행했다. 미군은 전구사령부인 미중부사령부를 통해 작전을 지휘했다. 소련군의 기본 작전은 관동군의 방비가 가장 허술한 다싱안링 산맥과 고비 사막에 작전술적 기동부대를 투입해 주공을 펴고 만주 동부와 북부에서 조공을 펴서 관동군을 만주에서 포위해 섬멸하는 것이었다. 미군의 기본 작전은 작전술적 기동부대가 이라크군 방비가 허술한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 국경 지대에서 주공을 펴고 쿠웨이트에서는 해병대가 조공을 펴서 이라크군 주력을 쿠웨이트 전구 안에서 포위하는 것이었다. 소련군은 대대적 기만을 실시해 일본군이 소련군의 병력배치 상황을 오판하도록 유도했다. 미군은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 국경에서 공격을 하지 않고 페르시아 만에 상륙할 것처럼 이라크군을 기만했다. 공격이 개시되자 소련군의 주공 부대는 다싱안링 산맥과 고비 사막을 넘어 관동군을 기습했고, 조공 부대도 적군을 고착시켜 만주 중부에서 관동군을 포위할 토대를 마련했다. 작전이 개시되자 다국적군의 주공을 맡은 작전술적 기동부대는 고속 전진하며 이라크군을 에워쌀 포위망을 구축했고 조공을 맡은 해병대는 쿠웨이트시티를 공격했다. 두 작전 모두 육군, 공군, 해군의 효과적 제병협동이 역할을 했다. 요컨대, 전구사령부를 구성하고 주공축선을 험지로 정하고 적극적 기만 작전을 수행한 뒤에 공격을 감행했다는 점에서 두 전역의 유사성이 두드러진다. 이 유사성은 우연이 아니다. 미육군 지휘참모대학 고등군사연구원에서 소련군의 군사 이론을 학습하면서 작전술을 터득했던 미군 참모장교들이 “사막의 폭풍” 작전을 기획했다는 사실, 그리고 이 작전의 기획 과정에서 이 장교들이 자기들에게 작전술을 가르쳤던 소련군 전문가들과 지속적으로 의견을 교환했다는 사실에서 두 전역의 유사성이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