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과 세계, 상대성 보편성의 경계에 선 철학

        박치완(Tchi 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철학의 세계성(globality)은 실제 철학의 지역성(locality)이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지역성, 상대성이 높을 때 세계성, 즉 보편성에 다가갈 확률이 높다는 것을 증험(證驗)한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사람들은 철학을 논할 때면 예외없이 비지역적이고 초시간적인 보편성만을 사유의 모범으로 고집한다. 보편성, 세계성은 물론 시공간을 초월하며,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런 인문 지식의 보편성이 존재할까? 서구인들을 위한 서구적 보편성이 동양이나 한국에서도,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에서도 타당한 담론일까?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지역학으로서 철학(philosophy as a localology, the study of localness)의 밑그림을 제시해보았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은 기본적으로 철학에 대한 지리ㆍ문화적 해석에 기초한 것이며, 실제 우리가 구분하곤 하는 독일고전철학, 프랑스현상학, 영미분석철학, 한국불교철학 등도 이에 기초한 것이다. 이렇듯, 서로 다른 지역에는 서로 다른 철학이 존재한다. 한국철학도 결국 자신의 지역성, 상대성을 모태로 연구될 때 이제까지의 외부에 의해 강요된 타자의 시선으로부터 독립되어 자발적ㆍ창조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을 통해 본고에서 우리가 강조해보려고 했던 것은 다음 명제다: 철학이란 지역성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지역성에서 출발한다. 즉 땅의 정령이 숨 쉬는 지역이 철학의 출발지요, 모태라는 것과 지역성의 표현이 철학의 최종 목적지라는 것은 구분되어야 한다. 지역의 독립은 결코 세계로부터의 고립을 의미하지 않는다.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philosophical globality is controlled by the philosophical locality. This has proved that the provability to approach to the globality, in other words universality is getting higher when the locality, the relativity is higher. But for what reason, people stick to the non-local and trans-temporal universality as the norm of rational faculty of the mind without exception when discussing philosophy. Of course it can be said that the universality, in other word globality is transcend time-space, and applied to everyone. By the way, really can such a universality of the knowledge of humanities be existing? Can the western universality for Westerners be a rational discourse in the East, Korea and Ethiopia in Africa? In this study, under this critical mind, the rough sketch of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has been proposed.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is fundamentally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 of philosophy, and German classic philosophy, French phenomenology, Anglo-american analytic philosophy, and Korean Buddhism, practically classified by us are also based on this concept. So, every different region has its own philosophy. Eventually Korean philosophy, when its location, locality and relativity are the matrix of studies, can be independent from the forced external eye-line and spontaneously and creatively restructured. Through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the propositions intended to emphasize is: "A locality is not the destination of/to philosophy, but the starting point." In other word, the fact that the region, where the spirit of the soil is breathing, is the starting point as well as the matrix of philosophy and the fact the expression of localness is the final destination of philosophy shall be segregated.

      • 대화론적 문화론의 지형도

        전종윤(Chong-yoon CHUN)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2 No.-

        국문화적 관점에서 우리의 세계는 척박하거나 메마르지 않고, 오히려 풍요롭고 ‘살만한 세계’다. 세계의 의미를 찾고 그 의미를 증가시키는 행위가 바로 문화를 생산하는 작업이다. 문화는 세대 간의 의사소통과 최소한 두나라(또는 지역) 이상 사이의 ‘의사소통’을 전제로 한다. 이 점에서 문화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힘을 갖는다. 즉 문화는 시간적인 면에서 ‘전통들의 교차점’의 역할을 하면서 세대 간의 만남을 주선해주고, 공간적인 면에서 새롭고‘낯선 이문화간’의 관계를 형성해준다. 세계의 의미와 의사소통으로 대표되는 문화는 ‘인정’의 개념을 요청한다. 자기만(또는 우리만)의 문화라는 주장에 반하여, 인류가 갖고 있는 놀라운 능력인 언어를 매개로 하여 지속적으로 타자에게로 나아가는 자세는 나의 문화뿐만 아니라 타자의 문화도 인정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다. Notre étude vise à comprendre la carte topographique de la théorie culturelle dialogique, à travers de “la culture, la communication et de la reconnaissance” chez G. Vincent. Pour cette compréhension, nous exposons les diverses perspectives culturelles; le culturel et la culture, les principes du novlangue, les métaphores culturelles, la culture et la reconnaissance. A la lumière de cet exposé, nous pourrions aborder le problème central de notre article: c'est-à-dire que la culture peut être communiquée en vue du monde commun possible. Par exemple, la théorie d'Hannah Arendt nous invite à considérer comme normal le phénomène de croisement des traditions et des rencontres interculturelles. Et l'approche orwellienne est significative: il y est question de la langue, non de la culture; et non d'une langue en soi, ni de la langue pour nous, mais d'une sorte de langue fonctionnellement appauvrie, machine sémiotique nous forçant à nous soumettre, corps, âme et raison, à une réalité inhumaine. Tout se passe comme si cet article met en question le champ sémantique de la notion de culture, en mettant l'accent sur le rapport entre la culture, la communication et la reconnaissance.

      • 질베르 뒤랑과 글로컬문화콘텐츠

        유제상(Jae-sang YU)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글로컬(glocal)은 용어의 해석과 용례에 있어서 다양한 의견을 내포한 용어이다.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로 구성된 이 합성어는 문자 그대로 ‘세계적인 동시에 지역적이며, 세계성은 지역성에 의해 수정되고 변경된다’는 정반대의 방향성을 함축하고 있다. 글로컬 개념의 성립에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될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글로벌에 대한 재해석’으로 발현되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때의 재해석은 글로벌에 대한 회의감이 반영된 것도 있으며, 글로벌을 수정·보완하는 입장이 투영된 것도 있다. 이러한 해석의 차이는 ‘글로컬문화콘텐츠’라는 용어에서도 계속된다. 문화콘텐츠는 그 특성상 문화를 배경으로 삼고 있기에, 국가간 거래에 있어서 공산품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글로컬문화콘텐츠라는 용어에서 문화콘텐츠를 문화상품의 대체어로 가정한다면, 글로컬에 대한 논의는 경영·마케팅에서 공산품 교역의 문제를 벗어나 문화콘텐츠의 국가 간 거래라는 새로운 분석 대상에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경제의 세계화, 정치의 세계화에 이어‘문화의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 글로컬 개념은 글로컬문화콘텐츠라는 용어를 통해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우선 웰맨(B. Wellman)과 리처(G. Ritzer)의 견해를 분석하여 경영·마케팅 전략 위주의 기존 글로컬 논의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아울러 글로컬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기 위하여 뒤랑(G. Durand)의 ‘의미의 물줄기(bassin sémantique)’ 개념을 활용하고자 한다. 글로컬 개념에 대한 활발한 논쟁이 벌어지는 오늘날을 20세기 이후 현대사회를 지배해온 글로벌이라는 거대담론에 맞서 합류하는 시기(confluences)로 본다면, 이러한 분석은 순환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글로컬문화콘텐츠의 ‘동시대적(Contemporain)인 성격’을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진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Glocal is a compound word of 'global and local'. And it has a variety of means inside the term. Glocal is implying 'global and local at the same time'. It is also implying 'globality is modified and developed by locality'. Many of the concepts associated with glocal is reinterpretation of globality. Some of them skeptical about global, and some contained is intended to supplement and modify the global. Such glocal features can also be found in 'glocal culture contents'. Usually, culture contents is created in the background of culture. Therefore, culture contents of trade differ from those of manufactured goods. Based on these differences, the discussion about non-cultural products(manufactured goods) should be changed to cultural products. In other words, glocal and glocal culture contents concepts needs to be changed. For the transition of these perception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views of B. Wellman and G. Ritzer. These two men are presented for critical comments on existing posts to former glocal contestation. B. Wellman suggested that 'global' is the ideal communication in his theory, and 'glocal' is a transitional way. G. Ritzer pointed to the articl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lobal and local. In addition, in order to cleanup the study, I propose the concept of G. Durand's 'bassin sémantique'. Bassin sémantique is the concept of creation, prosperity, and depicts the destruction of natural phenomena insinuating. According to it, the current glocal study beginning to enter 'confluences'. It needs confrontation between the various theories.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theories is necessary. If we precise definition of research about the situation of glocal and glocal culture contents, we will be able to diagnose our cultural direction.

      • 문화의 탈경계 현상과 연결되는 다섯 용어에 대한 검토

        김성수(Soung s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Commonly used terms when explaining the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includes consilience, fusion, and convergence. Related terms include complex and articulation, which can be understood respectively as an example and an additional concept. These terms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se concepts have been influencing each other. Looked at more closely, however, we can find that these concepts have their own ways to relate to the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and cultural contents studies. Due to the confusion in the use of these terms, the descriptions of a specific object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have not been as rigorous as one could hope for. Based on this observa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definitions of these five terms. Through the examination, it is hoped that it gives the reader an opportunity to think deeply about how we can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and also how it may be developed. It is argued that the five terms are likely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future when analyzing the individual trans-boundary cases of cultural contents. Using these terms more precisely and appropriately will be a starting point that enables us to better understand and analyze the various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문화의 탈경계 현상을 설명할 때 흔히 사용되는 용어는 통섭(consilience), 퓨전(fusion), 컨버전스(convergence) 등이다. 그와 관련되는 용어는 복합공간(complex)과 절합(articulation) 등이다. 이 두 개념은 탈경계현상이 구체화되어 실현되는 사례 및 추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이 용어들은 명료하게 구별되지 않고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이들 개념이 서로 간에 깊은 영향을 주고받는 측면이 있지만, 사실상 그 의미들은 각기 독립적이면서 각자의 방식으로 탈경계 현상은 물론, 문화콘텐츠학과 관계 맺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혼동하면서 쓰는 까닭에 문화콘텐츠학에 있어서의 특정 대상에 대한 분석이 엄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기도 했다. 본고는 이 부분에 착안하여, 이 다섯 가지 용어들의 정의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했다. 이 다섯 가지 개념의 검토를 통해 필자가 의도하려 한 바는 문화콘텐츠학에서의 탈경계 현상이 어떻게 이야기되어야 하는지, 또한 전개되어야 하는지를 고민해 보는 것이다. 향후, 통섭, 퓨전, 컨버전스, 복합공간, 절합이라는 다섯 가지 용어는 탈경계현상이 많은 특정의 문화콘텐츠 사례들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나름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가능성이 많을 듯하다. 이 다섯 용어에 대한 적절한 사용은 문화콘텐츠학에 있어서 다양한 탈경계 상황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하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영화 <스팽글리쉬>로 살핀 미국의 다문화성

        임아영(A-young 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3 No.-

        오늘날, 우리는 여러 문화들이 마주하며 섞이는 문화 다양성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물론 문화란, 동일 집단 안에서도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우리는 과거로부터 이미 다문화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을지 모르지만, 기술문명의 발달 등을 이유로 초국가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현대사회에서는 타문화와 공생이 더욱 삶의 필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과거로부터 문화전파나 교류는 주로 개개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인정하지 않는 일방적인 문화이식이나 지배로 이루어진 것이었고, 그 결과 타문화에 대한 배려보다 공공연하게 문화의 우열을 가리는 서구중심의 제국주의적 사고가 우리 안에 자리 잡아 문화정체성을 흔들게 되었다. 하지만 문화정체성 없이 문화다양성은 존재 할 수 없으며, 문화다양성 없이 다문화사회가 만들어질 수 없다.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문화다양성은 일방적으로 타자화 된 문화 여럿을 말하고 있을 가능성이 큰 것이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멕시코 불법이민자의 좌충우돌 미국 적응기를 다룬 영화 <스팽글리쉬>를 통해, 다문화사회라 자부하는 미국사회의 다문화성을 찾아보는 과정으로 글을 진행하였다. 인물 개개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들이 타인과 타문화를 어떻게 마주하는지 들여다보고 현실을 반성해 봄으로써, 다문화 사회의 정체성과 소통이 어떠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언어가 영화에서 중요한 기제라는 전제로, 언어와 소통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주인공 플로르와 딸 크리스티나가 겪는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영화의 배경인 미국사회의 다문화성을 관찰하였다. Today, we live in an age with many diversified cultures. While one may argue that people have been living in a multi-cultural environment since many ages ago, because each individual, even within the same group, ma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and morals; the real multi-cultural environment didn’t really emerge until recently, especially due to fast advancem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dvancem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allowed for easier exchange in many information and cultures, and reinforced accepting and embracing other cultures not only symbiotic but also mandatory in our lives today. However, when viewed more closely, such cultural exchange has not really been an “exchange” historically. Rather, transferring or interchanging of culture has always been enforced by stronger nations, ruling and implanting its own culture and neglecting individual’s specialties or characteristics of weaker nations. As a result, we often create a hierarchy of various cultures internally and identify which culture is more superior than the other. Such notion many times brings crisis in our cultural identity. However, cultural identity cannot exist without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cannot exist without cultural identity. Based on these speculations, this thesis emphasizes the existence of the identity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recognition in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s through the movie "Spanglish", which shows the Mexican illegal immigrant's adopting to American life, and how the individuals' characteristics face different culture and people.

      • 한중 단오 풍속문화 비교연구

        위군(魏群)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2 No.-

        단오는 유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진 한국과 중국이 모두 지니고 있는 전통명절이다. 한국 강릉단오제가 유네스코에 등재한 기간에 단오의 소유가 한중 양국 문화계의 하나의 주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중국 전문가들이 부정적인 태도에서 출발하였지만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 중에서 서로의 전통 풍속문화차이점에 대해서 깊이 생각했고 한국의 단오제와 중국의 단오절의 비교연구를 시작했다. 다툼에서 시작했지만 같은 유교문화권에 속하는 나라로서 전통문화의 공유 및 개발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서 한국과 중국 단오의 풍속문화를 중심으로 연구를 전개했고 연구 내용을 앞으로 한국과 중국 단오, 심지어 기타 전통 명절 문화를 비교할 때에 하나의 바탕 내용을 될 수 있도록 단오제와 단오절에 대해서 전반적인 비교를 해보았다. 传统节日文化是文化产业的重要组成部分,它是维系国家统一、民族团结和社会和谐的重要精神纽带,作为同在东亚地区的韩国与中国有着相似的传统节日,而其中由于申请非物质文化遗产而引发的争论更使传统节日成为了一个重要的讨论话题.因此,本文选择了传统节日中的端午节作为研究对象,从两个国家端午起源的比较开始入手,对其发展的过程进行概述后,集中对两国端午风俗文化的比较进行了分析. 节日是按照一定的历法或季节顺序,在每年特定时间或季节举行的仪式或庆典.它是一年当中由种种传承线路形成的固定的或不完全固定的活动时间,以开展有特定主题的约定俗成的社会活动日.作为人类文化的一个重要组成部分,节日文化最能集中而全面地体现民族文化的风采和底蕴.由于全球一体化进程的加剧了中国国的传统节日文化受到了很大冲击,有的甚至正在面临消失.而正在这种时候,出现了韩国把端午祭申请为非物质文化遗产一事.虽然这件事情在中国的学术界引起了轩然大波,但是作者确认为恰恰相反,这件事情反而引起了中国对传统节日的重视,反而大大有利于促进开发中国传统的文化节日. 韩中两国的端午活动,虽然都是在同一天举行,但是究其发展历程和风俗文化,以及活动内容则是不尽相同的.简单来讲对其的称呼而言中国称之为端午节,而韩国称之为端午祭;从其现今的主要节日活动性质而言中国主要以赛龙舟为主,而韩国则是以祭天活动为主等等的实例颇多.因此作者在这里以韩中两国端午的风俗文化为中心进行了整理以及对比,借此希望为以后对两国的传统节日风俗文化的更深一步地对比打下基础.

      • 유럽의 다문화정책에 나타난 상호문화주의 고찰

        홍종열(Jong-youl H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본 연구는 기존에 국내에 보편화되어 있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또 다른 대안으로서 유럽의 상호문화주의에 대해 고찰해본다. 국내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는 다문화주의는 다문화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보완하기 위한 방식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여기에 관해 현재 여러 가지 한계점들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본고는 다문화사회의 해결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국내에서 아직 연구가 미비한 ‘상호문화주의’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다수의 유럽인들은 주로 다문화적 입장에 지향을 둔 영미 계통의 사람들과는 달리 이미 상당히 오래 전부터 다문화주의에 대한 회의를 드러내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여러 가지 문화적 실천을 해 오고 있는 것이다. 또한 현재 유럽연합은 다문화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수많은 과제를 풀기위한 하나의 열쇠로 상호문화주의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이 각 회원국 내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상호문화주의가 유럽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되어 왔는지에 관해 고찰하고자 한다. 유럽으로의 외국인 이주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각국가들은 비교적 유사한 이민의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각기 다른 성격과 방식으로 다문화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고는 독일, 프랑스, 영국이 어떻게 다문화정책을 시행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상호문화주의를 추구해왔는지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상호문화주의는 우리에게 다문화성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재고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interculturalism in Europe as an alternative to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ism is just one way to trying to solve problems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 are some limits and critical points raised on multiculturalism. The history of foreign immigration in Europe has a long time.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s related to how to implement multicultural policy in Europe as well as how to seek interculturalism in the process. Interculturalism will open a new possibility to rethink some aspects involved with multicultural socity.

      • 문화의 4대 특성과 문화적 전환, 그리고 문화콘텐츠산업

        김성수(Soung-s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22 철학과 문화 Vol.46 No.-

        본래 문화란 무엇인가는 일반적인 질문이지만 답변하기 어려운 내용이다. 문화가 여러 방식으로 다양하게 이야기될 수 있는 용어인 탓이다. 실제로 문화만큼 유동적인 용어를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 사람들은 문화에 대해 종종 쉽고 편하게 말하곤 한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중요하게 생각한다. 결국에는 무엇에나 문화라는 용어를 궁극에는 갖다 붙이고자 하는 성향도 있다. 문화가 중요하다는 데에는 재론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문화가 이렇게 중요해진 이유 중 하나는 ‘문화’라는 용어의 외연과 내포량이 ‘문화적 전환’이라는 용어의 사용 등과 더불어 이미 1970년대 때부터 매우 크게 확장되었기 때문이라는 측면이 있다. 이 견지에서 본고는 문화의 4대 특성, 문화적 전환, 문화콘텐츠산업 개념이라는 3가지 주제를 각기 따로 정리해 이해해보았다. 물론, 각각의 맥락에는 서로 상통하는 바가 있다. 사람들이 문화를 어떻게 생각하고 이해하느냐가 문화적 전환과 문화콘텐츠 산업을 만들어 낼 수 있게 했다는 맥락이 있는 까닭이다. 본고는 먼저 문화란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고, 문화와 문화적 전환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더불어 우리의 문화콘텐츠산업은 어떠해야 하는가도 추가적으로 알아보았다. 모두 다 문화를 어떻게 보느냐라는 문화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이다. 문화콘텐츠산업이 만들어낸 문화 산물들을 협의의 문화 차원에서 문화 자체로 보게 된 내막의 흐름이기도 하다. Although the question of how to define culture is a general one, it is not easy to answer it. This is because culture is a term that can be defined in many different ways. The term ‘culture’ is arguably one of the most flexible terms. And yet people use the term very easily and comfortably. At the same time, they regard it as something important. Moreover, the term is used to address such a variety of phenomena. No one could argue that culture is not important. One of the reasons that made culture so important is the fact that the extension and the connotation of the term have expanded tremendously since the 1970s with the use of the term ‘cultural turn’. This paper looks into three themes―4 characteristics of culture, cultural turn, and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ose three themes are of cours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becaue how people understand culture creates cultural turn and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paper first examines what culture is. Secondly,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cultural turn is analyzed. Thirdly, it discusses what Korean cultural contents industry should be like. All of these are detailed contents of how we see culture. It could be argued that the products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can be seen “cultures” in the narrow sense of culture.

      • 글로컬 시대의 철학

        박치완(Tchi-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이 논문에서 우리는 글로컬 시대의 철학이 천착하고 또 지향해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거시적으로 제시하면서 한국철학의 정체성, 현주소를 점검해보는 자리를 마련해보는데 연구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현대철학의 지형도 변화를 설명하면서, 차이와 타자를 배제의 대상이 아니라 교류, 소통의 대상으로 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논리를 통해 철학이 일반적으로 기대고 있는 서구유럽적 보편성, 보편주의를 문화적 상대성, 특수성과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조명해보았다. 그리고 본론에서는‘glocalization’(국내에서‘세계지역화’로 번역하고 있는)에 대한 새로운 번역과 해석(‘지역세계화’)을 통해 시장경제의 세계화나 문화의 세계화도 문제지만 특히 지식의 세계화를 미연에 막기 위해 대한민국의 철학계에서 고민하고 또 풀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적시해보았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모든 철학은 기본적으로 지역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독일철학, 프랑스철학, 영미철학 등), 한국철학도 이제는 우리의 삶-생활 연관적 지역성을 살려야만 하고, 그렇지 못하면 보편성/특수성에도, 지역성/세계성에도 다다를 수 없다는‘화두’를 던져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모든 철학에도 문화적 색깔이 상존한다는 점을 확인할수 있었다. 미국, 프랑스, 독일 등 경제∙문화강국일수록 그렇다. 게다가 현대에 이르러서는, 19세기에‘과학’이 그랬던 것처럼,‘경제’가 모든 학문 영역을 좌지우지 한다. 사유-자유의 추구를 본질로 하는 철학이‘과거의 죽은 보편성’에 빠져 소일 할 수 없는 이유이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보편성은 ‘로컬들’을 넘나들 수 있는 보편성이어야 하며, 그때 비로소 철학은 소수자에게만 이로운 것이 아니라 온 인류에게 봉사하는 공공성을 살릴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intend to propound macroscopically the adequate direction of Korean philosophy, which is inquired in the age of glocalization, by presenting the identity and current position of it. Firstly, a new logic which embraces difference and other-ness as objects of exchange and communication, not objects of elimination, is proposed. In this perspective, the western european universality and universalism, in relation with the cultural relativity and cultural speciality, is also examined, along with explaining the change of the topographic map of contemporary philosophy. Secondly, we discuss the problem of glocalization (interpreted as 'localization of global' in Korea) of the market economy and culture, in order to highlight the danger of the globalization of knowledge. It is also argued that the task of Korean philosophy is to avoid this danger, through a new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glocalization as 'globalization of local'. Finally, in conclusion, we argue that Korean philosophy must vitalize the locality related to life-living of its own, to establish the Korean indigenous perspectives of universality/speciality, locality/globality.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at what we call 'philosophy' in the academic world, fundamentally, reflects it's own locality, as German philosophy, French philosophy, and Anglo-American philosophy, etc. Through this study, we find every philosophy connotes its own cultural color, as is remarkable in the economic and cultural super-power countries, like USA, France, Germany, etc. Moreover, as 19th century’s science did, economy overwhelms every region of studies. This is why philosophy, that pursues thought-freedom, should not flounder in the realm of dead universality. Thus, it is not until the concept of the contemporary universality crosses over locals that philosophy can revitalize its public nature by serving not a few but whole mankind.

      • 영화 <세 얼간이>와 다문화사회 인도 엿보기

        박치완(Tchi-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3 No.-

        라즈쿠마 히라니(Rajkumar Hirani) 감독의 2009년 슈퍼급 히트 작품인 <세 얼간이(3 Idiots)>는 인도는 물론이고 인도 밖에서도 널리 흥행한 마살라무비(Masala Movie)의 대표작이다. 2011년 8월 한국에서 개봉되었으며, 특히 한국의 주입식 교육현실의 폐해가 무엇인지를 되돌아보게 한다는 측면에서 이 영화는 매스컴의 지목을 받기도 했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 영화를 표층구조 상으로 드러난 ‘로맨스 코미디’나 ‘코미디 드라마’로 분석하는 항간의 일반적인 비평방식을 탈피해 ‘문화적 독법(cultural interpretation)’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해보았다. 이러한 우리의 선택은 영화 <세 얼간이>에 감추어진 인도 문화의 심층, 즉 인도의 문화코드(Culture Code)를 분석해보기 위해서다. 주지하듯 인도는 다문화(다종교, 다인종, 다언어, 다신분)사회다. 그런데 히라니 감독은 이러한 인도의 다문화성을 단지 현상적으로 묘사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심층의 고리를 보여줌으로써 인도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해결책도 제시한다. 12억 인도인이 좋아하는 마살라뮤직을 적절히 사용하면서 대사를 이중언어(힌디어와 영어)로 처리한 것도 같은 고민에서 나온 결과라 할 수 있다. 음악과 대사는 인도의 명문 공대인 ICE(Imperial College of Engineering)의 세 반항아가 던지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이자 인도의 다문화성을 아우르는 촉매제이기도 하다. 모든 문화는 각기 고유한 토양을 가지고 있다. 다문화사회는 인도뿐 아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신자유주의의 등장과 더불어 ‘문화’는 점점 세계화의 먹이로 전락하고 있다. 전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무한경쟁, 약육강식의 논리가 그 주범이다. 그런데 <세 얼간이>에서는 바로 이것이 우리가 극복해야 할 제일 적임을 보여준다. 문화가 그렇듯, 삶의 서사(Narrative of Life)도 정체불명의 글로벌체제를 위해서 복무하는 것이 아니라 로컬에서 만들어지고 보존되며 전파된다. 그리고 그때에 한 해 그 로컬의 문화는 글로벌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 한류 열풍으로 들떠 있는 우리에게 <세 얼간이>가 건네는 교훈이 여기에 있다. <3 Idiots> by director Rajkumar Hirani, which was a big box office hit in India and in other countries in the year 2009, is a representative Masala movie. It was premiered in Korea in August 2011, and it received attention from the media, because it made viewers reflect on the harmful effects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is article goes beyond the general method of reviewing the movie which is based on its superficial structure, i.e. the view that it is a ‘romantic comedy’ or a‘comedy drama’, and applies a new method of reviewing called ‘cultural interpretation’. This method was applied in order to analyse the deep structure of the Indian culture, i.e. the ‘culture code’ of India, that is hidden in the movie. It is well-known that India is a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multi-racial, multi-lingual, and multi-stratal) society. Hirani not only describes the multi-culturality of India phenomenologically, but also reveals the chains that lie underneath it, thereby critically showing the problems of the Indian society and proposing some solutions. The fact that he used Masala music, a favorite of the 1.2 billion Indian people, and made the movie bilingually using Hindi and English can be understood as a sign of his agony. The music and the dialogue are the media that deliver the message of the three rebels of ICE (Imperial College of Engineering), a prestigious college of engineering in India.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catalyst that embrace the multi-culturality of India. Every culture has its own soil. And India is not the only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world. Unfortunately, however, with the advance of neo-liberalism, ‘culture’ is being reduced to prey to globalization. The culprit is the unlimited competition and the law of the jungle that dominate the world. <3 Idiots> shows that these are ourprincipal enemies that must be overcome. Like culture, the narrative of life does not exist to serve the elusive global system, but is made, conserved, and transmitted locally. And only that will make a local culture global. This is the lesson of <3 Idiots> to those of us who are overly excited about the Korean Wa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