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복지사의 소진은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가? :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연구경향 분석

        류주연(Ryu, Ju-Yeon),손유경(Son, Yoo-Kyung)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후속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1991년부터 2016년까지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다룬 연구 39편을 선정하여 서술적 분석과 주제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서술적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연구는 2010년 이후에 활성화되기 시작하였 으며, 주로 양적연구에 편중되어 대부분 소진의 발생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검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제별 분석 결과에서는 소진의 개념요소가 한정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으 며, 종사자의 소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조직적 수준이 중점적으로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소진의 발생에 관하여 소진을 예방하고 방지하는 보호요인과 악화하는 위험요 인을 비롯하여 소진의 발생과정 등 다양한 측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사 소진에 대한 연구의 지속적인 필요성을 비롯하여 이와 관련된 학문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 prevent burnout of social workers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We selected and analyzed 39 KCI empirical studies on social workers’ burnout that published between 1999 and 2016. By using descriptive analysis, we found there has been a growth in the number of studies addressing the burnout of social workers since 2010 and 35 of literatures used the quantitative method. And by using thematic analysis, it appeared that burnout was defined narrowly and most studies focused on the effects of burnout on the organizational level such as problems of turnover, job performance and outcome of agencies. Also, they analyzed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at more research on burnout is needed to diversify the definition of burnout, research methodology, and related variable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교과의 다문화적 내용 요소 분석

        류주연(Ryu Ju Yeon),박경희(Park Ky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우리 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급속하게 변화되고 있으며,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다문화 교육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 내용이 초등 교과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2017년 6월부터 8월까지 현직 초등학교 교사 1인과 교차점검으로 2015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 통합 1학기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등 6권을 분석하였다. 내용 요소 분석 준거 틀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 다문화적 요소 분석을 통한 개정 방안연구(교육과학기술부, 2009)」에서 제시한 ‘다문화적 내용 분석틀’로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체성의 영역에선 정체성의 차원이 9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둘째, 다양성·다원성 영역은 문화 다양성 및 다원성 인식이 82%, 문화 다양성에 대한 태도 및 관점과 문화 집단 간 상호의존성이 각 9%를 차지하였다. 셋째, 사회정의 영역은 소수자가 79%, 그 뒤로는 차별, 인권존중이 그 뒤를 이었다. 종합적으로는 핵심영역 중 정체성의 요소, 다양성·다원성, 사회정의 영역 순으로 그 비중을 차지하였다. Our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reflected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rom June to August 2017, one elementary school teacher crossed the check list with 2015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1st and 2nd graders integrated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were analyzed. The content element analysis framework was analyzed as ‘multicultur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proposed by ‘Study on revision through analysi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element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identity, the dimension of identity occupied the majority of 94%. Second, in the diversity and pluralism area, cultural diversity and pluralism perception were 82%, attitude and perspective on cultural diversity, Respectively. Third, in the social justice area, 79% of the minorities followed discrimination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Comprehensively, they accounted for the elements of identity, diversity·pluralism, and social justice.

      • KCI등재

        공공기관의 여성 시간선택제 근로자에 대한 일과 가정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선민정(Sun Min Jung),류주연(Ryu Ju Yeon) 한국가족학회 2018 가족과 문화 Vol.30 No.2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을 높이고 여성이중노동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자 실시한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미치는 영향과 효과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여성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일과 가정에서의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는 공공기관에서 6개월 이상 시간선택제로 근무하고 있는 기혼여성 5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Giorgi의 현상학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은 3개의 대주제와 7개의 소주제로 나타났다. 첫 번째 대주제는 시간선택제 근로이전의 삶과 선택까지의 과정으로 1. 일과 양육을 병행하기 어려운 환경, 2. 시간선택제 근로자가 되기로 선택함의 소주제로 범주화되었으며, 두 번째 대주제는 시간선택제 근로자가 됨으로써 직장과 가정에서의 삶이 변화함으로 3. 전일제 근로와는 다른 직장 안에서 시간선택제 근로의 경험, 4. 아이와 함께 하는 삶을 살 수 있게 됨, 5. 가정 내 성별분업의 심화를 경험함, 6. 나를 위한 시간을 갖게 됨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대주제는 앞으로의 시간선택제 지속에 대해 생각해봄으로 7. 여성이 원하는 자신의 일에 대한 미래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시간선택제의 발전과 개선, 확대를 위한 효과적인 체계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 on work and family life of part-time working women at the public sectors. 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art-time work which is expanded for increasing economic participation of women and reducing the double burden of childcare and full-time work.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married woman part-time workers who had more than 6 months’ experience at the public secto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as 3 main themes and 7 sub themes. First main theme was life before part-time working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being part-time worker. It included two sub themes - 1. having difficulties of childcare as a full-time worker, 2. choosing to be a part-time worker. Second main theme was a change of work and family life, which was divided into four sub themes - 3. experiencing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 with full-time work’s, 4. having the life to be with my child, 5. ongoing conflict of gender division between husband and wife, 6. having time for myself. Third main theme was considering wether to keep working as part-timer. Sub theme for it was 7. the future what women want. Finding from this study have some implications of providing basis for establishing effective system to improve and expand part-time employment.

      • KCI등재

        이타주의와 시민권리의식이 연령주의(Ageism)에 미치는 영향

        김미혜(Kim Mee Hye),김수진(Kim Soo Jin),류주연(Ryu Ju Yeon)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사회적 가치인 이타주의와 시민권리의식이 노인에 대한 연령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1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를 사용하여 전국의 18세 이상 연구대상자 1,513명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TATA14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의 연령주의 정도는 2.43점(5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층별로 비교해 본 결과 노년층이 가장 높았고, 중년층, 청년층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별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연령주의가 높았다. 이타주의는 3.95점(5점)으로 높은 수준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년층, 중년층, 청년층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별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이타주의가 높았다. 시민권리의식은 5.83(7점)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이타주의와 시민권리의식은 연령주의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연령주의를 낮추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ltruism and the civil right consciousness on the ageism against older people. Using data of 1,513 persons over 18 years old from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2011), this study applied descriptive analyse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with STATA14. According to results, the degree of ageism was slightly lower(2.43 out of 5). Compared to age groups, the results were followed: elderly, middle age, and young age group. Among them, the ageism level of the group to have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was higher than one of the group not to have it. The degree of altruism was high(3.95 out of 5), followed by elderly, middle age, and young age group. The group experienced in discrimination had higher level of altruism than another. The degree of the civil right consciousness was high(5.83 out of 7) without differences among age groups. I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the ageism was negatively affected by altruism and the civil right consciousnes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and political opinions for reducing age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