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도 및 무당파 유권자 특성: 무태도(non-attitudes)인가 부정적 태도(negativity)인가?

        류재성 대한정치학회 2013 大韓政治學會報 Vol.20 No.1

        성에 관한 연구이다. 무당파 및 중도 성향 유권자가 갖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들 의 특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성과는 축적되어 있지 못하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등 치되는 무당파 및 중요 유권자가 동질의 집단이기 보다는 매우 다른 기준에 의해 분류된 이질적 집단임을 밝힌다. 경험적 분석은 무당파 및 중도 유권자의 사회경제적 지 위, 정치적 태도 및 선거참여 선택과 관련된 특성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으며,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터의 한국종합사회조사, 2009 와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의 제19대 국회의원선거 유권자 조사, 2012 를 사용했다. 이를 통해 한국의 무당파 및 중도 유권자가 일반적으로 유추되는 것처럼 동질적 집단이 아님을 보이도록 한다. 즉 중도 유권자는 ‘무정향’을 특징으로 하지만, 무당파 유권자는 정 당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실제적 함의에 대해 토론한다.

      • 憲法保障에 關한 硏究

        柳在成 圓光大學校大學院 1980 學位論叢 Vol.4 No.-

        This theis is an attempt to study the institutions to guarantee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must be guaranteed not only it's practical application but also it's continuation. It means that the constitution must be protected from all aggressive behaviors against the constitution. If there are infringements on the constitution or menaces of continuation of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must be protected. The constitution need it's security and permanency. The security of the constitution, especially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onstitution, become a most important issue to study the institution to guarantee the constitution because the constitution has some peculiar characters different from other laws. To guarantee the constitution is not only to enable the constitution to continue which is the product of new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but also to secur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onstitution for all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The institutions to guarantee the constitution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cultural stages and the political phases of nations. The historical and comparative studies of the constitutions and the institutions are essential to study the institutions to guarantee the constitution. It is connected with the problems of institution, organiz tion, politics and sociology. The constitutions of modern nations have laid stress on the institutions to guarantee the constitution. Especially West Germany concentrated her attention upon the institutions to guarantee the constitution to prevent reappearance of totalitarianism such as Nazi. Postwar Korea has established the democratic constitution based on liberty and equality, and has made it of a connerstone to develop democracy up to the present. To look back upon the history of constitu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we have a feeling that three was alienation between constitutional reality and constitutional norm even though she has a typical democratic constitution. West Germany adopted various methods to guarantee the constitution, for instance, constitutional judgement, disorganization of unconstitutional party, invalidation of fundamental human rights, the limitation of amendment of a constitution and declaration of a state of emergency.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s not exceptional.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 KCI등재

        제5회 영남지역 지방선거 결과 분석 : 지역패권정당체계의 지속과 변화

        柳載成 한국의정연구회 2010 의정논총 Vol.5 No.2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는 여러 지역에서 선거전 예측을 뒤엎는 선거 결과가 나타났지만, 전통적인 한나라당 강세 지역인 영남지역에서의 선거 결과는 복합적인 양상이다. 대구와 경북 지역, 그리고 부산에서의 전체적인 선거 결과는 한나라당의 우세로 나타났지만, 경남도지사 선거를 비롯해 이 지역의 기초자치단체장 및 기초의회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의 지역 내 영향력이 예전에 비해 상당한 정도로 약화된 징후들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나타난 영남지역 유권자의 투표행태 및 투표선택에서의 특징을 변화와 지속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영남지역에서의 지역주의 정당체계가 갖는 한계와 과제에 대해 논의 한다. 이를 위해 영남 지역 유권자의 전통적인 투표 행태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해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치러진 선거 환경을 후보자와 이슈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 선출 단위별로 선거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이번 지방선거 결과의 특징 및 이 지역에서의 선거(혹은 정당) 정치의 과제에 대해 논의하도록 한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5th local election results in Young-Nam province, focusing on change and continuity of hegemonic party system. The ruling Grand National Party(GNP) won most seats in Daegu, Gyeongbuk-do, and Busan areas but lost several seats in municipal level elections and especially in gubernatorial election of Gyeongnam-do. The electorate in Young-nam province have exclusively voted for the GNP in the last 4 local elections as well as in presidential and National Assembly elections. It is well-known that Young-nam voters have made electoral choices based on regionalism, which has been significantly striking in Young-nam and Ho-nam provinces. I voting pattern of the Young-nam electorate in line with electoral context regarding campaign issues and candidate choice. I wrap up the paper with some discussions about characteristics of this local election in Young-nam area and implications for partisan politics in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프레이밍효과(framing effects)에 대한 설문실험연구

        류재성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미래정치연구소 2018 미래정치연구 Vol.8 No.3

        This research is to examine framing effects on 14 policy issues. Among them, 8 framing trials turned out to be statically significant. That means many of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survey changed their preferences resorting to the direction intended by framing trials. Failed 6 framing trials seem to be caused by either nature of issues or instrumental failures. This paper's finding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mass audience are neither accustomed to interpret new information and then make a choice nor willing and able to critically review the framed information. Instead mass audience are likely to automatically resonate to the facts, considerations, and values chosen and emphasized by frames. Second, information available for now provided by frames are likely to affect change of policy preferences. Framing functions through the effects of visibility, saliency and accessibility of the given information. Third, framing effects are limited or constrained by the nature of issue. Framing effects, especially group cue framing effects, on valence or non-partisan issues are hardly successful. Mass audience do rarely change their policy preferences simply because of in-group consciousness. 본 연구는 프레이밍에 대한 다양한 개념, 실증연구에서의 프레이밍 개념의 서로 다른 조작화(operationalization), 프레이밍효과의 조건과 심리적 경로에 대한 다양한 기존 논의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면서, 한국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 설문 연구(experimental survey research)를 설계·실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프레이밍 연구에 대한 이론적 기여를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총 14개의 정책 이슈를 대상으로 프레이밍효과를 검증했는데, 그중 8개(57.15%) 정책 이슈에서 프레이밍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등가 프레이밍효과(equivalent framing effect)는 시도된 2개 이슈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치적 담론에서 정책 이슈의 어떤 사실, 어떤 고려사항, 어떤 가치가 선택되고 강조되느냐에 따라 정책 선호에서의 극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집단신호(grup cue) 제공 유형의 강조 프레이밍효과(emphasis framing effect)는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검증을 시도한 5개 이슈 중 4개 이슈에서 정책 선호분포가 프레이밍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노무현 대통령’을 제외한, ‘박근혜 대통령,’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보수시민단체’ 집단신호는 선호분포의 변화를 끌어내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는 프레이밍효과가 이슈의 본질 혹은 속성과 조응될 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합의 이슈(valence issue)에서는 집단신호 프레이밍이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적어도 합의 이슈는 갈등 이슈보다 프레이밍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적다고 할 수 있다. 추가정보 제공 유형 강조 프레이밍효과는 시도된 7개 이슈 중 5개 이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프레이밍을 통해 제공된 현재 이용 가능한 정보가 선호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 강조 프레이밍효과는 가시성, 현저성, 접근성 제고를 통해 ‘현재’의 정보가 선호 결정에서 갖는 영향력을 확대한다.

      • KCI등재

        노인 아증후군적 우울증 환자의 인지기능 및 삶의 질 저하

        류재성,김문두,이창인,박준혁,Ryu, Jae Sung,Kim, Moon Doo,Lee, Chang In,Park, Joon Hyuk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3 생물정신의학 Vol.20 No.2

        Objectives Non-major depression with fewer symptoms than required for 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ition diagnosi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has consistently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functional impairment. In this study, we aim to estimate the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subsyndromal depression (SSD) compared with non-depressive elderly (NDE). Methods The Korean version of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was administered to 194 outpatients with depression and 108 normal controls. SSD is defined as having five or more current depressive symptoms with core depressive symptoms (depressive mood or loss of interest or pleasure) during more than half a day and more than seven days over two weeks. Depression was evaluated by the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of a 15-item short version. Global cognition was assessed by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version of CERAD assessment packet (MMSE-KC).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was assessed by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 Questionnaire.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by the Korean Version of Short-Form 36-Item Health Survey.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MMSE-KC in the SSD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NDE group with adjustment for age, gender, and education [F = 4.270, p = 0.04,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If we defined those having Z-score of MMSE-KC < -1.5 as a high risk group of cognitive impairment, the odds ratio for the high risk group of cognitive impairment was 1.86 [95% confidence intervals (CI) 1.04-3.34] in SSD and 7.57 (95% CI 3.50-16.40) in MDD compared to NDE. The scores of physical component summary (F = 9.274, p = 0.003, ANCOVA) and mental component summary (F = 53.166, p < 0.001, ANCOVA) in the SS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DE group with adjustment for age, gender, and education. Conclusions The subjects with SSD, as well as those with MDD, showed impairment of global cognition and also experienced low quality of life in both physical and mental aspects, compared to the NDE group.

      • KCI등재

        미국 의회 의사규칙의 역사적 진화와 이론적 쟁점

        류재성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09 의정연구 Vol.15 No.2

        This paper describes the changes in legislative rules i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discusses the roles of legislative rules in public policy making. I argue that much of reform experiences in the U.S. House provide good references by which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may follow for its reforms. For this, I summarize primary reforms of legislative rules in the U.S. House and discuss dynamics in power distribution between committees and party leadership. These reforms are then reviewed on the basis of political stability, protection of minority rights, and legislative delib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연방 하원에서의 의사규칙 변화를 역사적으로 개괄·분석하고, 그 변화의 방향에 대한 논의를 통해 의회 의사규칙의 입법 과정 및 입법 결과에서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입법 구조 및 과정을 포함한 의회 운영에 있어 산적한 개혁과제를 안고 있는 한국 국회의 의회 개혁방향에 대한 일정한 시사점을 도출하려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는 미국 건국 초기부터 최근까지의 의회에서의 일련의 주요한 개혁 내용을 일별한 후, 하원에서의 상임위원회와 정당 리더십 사이의 권한 배분의 동학에 대해 논의하고, 정치적 안정, 소수당 권리의 보호, 법안 심의의 숙고 등을 중심으로 의회 개혁을 평가하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