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식생별에 따른 가리왕산의 개미분포

        류동표 ( Dong Pyo Ly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2

        가리왕산에 분포하는 개미상은 5아과 24속 39종으로 확인되었는데 두마디개미아과는 11속 16종이, 불개미아과는 5속 15종이, 침개미아과는 4속 6종이, 톱니침개미아과와 시베리아개미아과는 각각 1속 1종이 채집되었다. 식생별 개미상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층층나무가 우점종으로 나타난 활엽수지역에서는 23속 36종의 개미들이 채집되었는데, 스미스개미와 코토쿠뿔개미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활엽수지역에서만 12속 13종이 채집되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이 우점종으로 나타난 침엽수지역에서 총 15속 24종의 개미가 채집되었으며, 왕침개미와 스미스개미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침엽수지역에서만 3속 4종이 채집되었다. 일본왕개미와 곰개미가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된 지역에서도 스미스개미가 우점하였고, 특히 침개미아과와 시베리아개미아과의 개미들은 고지대로 갈수록 거의 볼 수가 없었다. 두 지역의 공통적으로 나타난 종은 13속 20종으로 이들 중 가장 두드러진 종인 스미스개미(불개미아과)와 코토쿠뿔개미(두마디개미아과)의 colony현황은 저지대에서는 스미스개미가 우세하였고, 고지대에서는 코토쿠뿔개미의 세력이 우세하였다. The ant fauna in Mt. Gariwangsan was composed of 39 species 24 genera 5 subfamilies. The collected ants in Mt. Gariwangsan were Subfamily Myrmicinae(16 species 11 genera), Subfamily Formicinae(15 species 5 genera), Subfamily Ponerinae(6 species 4 genera), Subfamily Amblyoponinae(1 species 1 genera), and Subfamily Dolichoderrinae(1 species 1 genera). Ant fauna by vegetation in Mt. Gariwangsan, 36 species 23 genera were collected in broadleaf tree areas in which Quercus mongolica, Fraxinus rhynchophylla, Tilia amurensis, and Cornus controversa were dominant species. Paratrechina flavipes and Myrmica kotokui were dominant species. 13 species 12 genera were collected only in broadleaf tree areas. In the coniferous tree areas where Pinus densiflora, Pinus korainensis, and Larix kaempferi were dominant, 24 species 15 genera of ants in total were collected. Pachycondyla chinensis and Paratrechina flavipes were dominant species. 4 species 3 genera were collected only in the coniferous tree areas. Paratrechina flavipes was dominant even in the areas in which Camponotus japonicas and Formica japonica had been assumed to be dominant. Specifically, the higher the land was, the rarer Ponerinae and Dolichoderinae were observed. The common species observed in both areas were 20 species 13 genera. Of these ants, Paratrechina flavipes(Subfamily Formicinae) and Myrmica kotokui(Subfamily Myrmicinae) were distinctive ants. With regard to the current state of colony of these species, Paratrechina flavipes was dominant in lowland areas. Myrmica kotokui, on the other hand, was dominant in highland areas.

      • KCI등재

        The Red imported fire ant, Solenopsis invicta Buren (Hymenoptera: Formicidae: Myrmicinae) discovered in Busan sea port, Korea

        류동표,이흥식,Lyu, Dong Pyo,Lee, Heung Si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4

        The red imported fire ant, Solenopsis invicta Buren, 1972 (Hymenoptera: Formicidae: Myrmicinae) was discovered in Busan sea port, Korea. Only one colony was found and then removed rapidly by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벌목 개미과 두마디개미아과(Hymenoptera: Formicidae: Myrmicinae)의 Solenopsis invicta Buren, 1972가 국내 부산항에서 처음 발견되어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의해 신속하게 제거되었다.

      • KCI등재

        Pycnomerus vilis Sharp, 1885 (Coleoptera: Zopheridae: Zopherinae) New to Korea

        박상욱,류동표,이승환,Park, Sang-Wook,Lyu, Dong-Pyo,Lee, Seung-Hwan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2

        딱정벌레목 혹거저리과 혹거저리아과 (Coleoptera: Zopheridae: Zopherinae)의 Pycnomerus vilis Sharp, 1885의 국내분포를 처음으로 확인하고, 외형 사진과 함께 형태적 특징과 조사지역 및 분포 등 종 동정에 필요한 정보를 간략히 기술하였다. The species, Pycnomerus vilis Sharp, 1885 (Coleoptera: Zopheridae: Zopherinae) is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rief informations on the species are provided with the photos of adults and genitalia.

      • KCI등재

        우리나라 국화과 식물의 화기구조와 방화 곤충 연구

        김갑태 ( Gab Tae Kim ),류동표 ( Dong Pyo Lyu ),김회진 ( Hoi Ji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2

        우리나라에 생육하는 국화과 식물들의 화기구조와 화분매개충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고자, 2010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꽃을 찾는 곤충들을 조사였으며 꽃들의 화기구조를 관찰하였다. 나비목 곤충이 38, 꽃등에과를 비롯한 파리목 곤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38, 벌목 곤충들이 36의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꽃무지과를 비롯한 딱정벌레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6으로 가장 낮았다. 주요 화분매개충은 벌목 13종(꿀벌과 11종, 개미과 2종), 나비목 29종(배추흰 나비과 5종, 네발나비과 12종, 뱀눈나비과 3종, 팔랑나비과 3종, 부전나비과 2종, 왕나비과 1종 및 나방류 2종), 파리목16종(기생파리과 1종, 꽃등에과 12종 및 집파리과 1종), 딱정벌레목 6종(꽃무지과 2종, 하늘소과 2종, 잎벌레과 1종 및 꽃벼룩과 1종) 등 65종으로 나타났다 개망초는 방화곤충이 31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등골나물이 15종, 까실쑥부쟁이가 13종 순으로 낮아졌다. 솜방망이, 씀바귀, 금불초, 지느러미엉겅퀴, 곰취, 단풍취, 수리취, 고려엉겅퀴, 이고들빼기 및 산국은 모두 방화곤충이 2종으로 매우 적었다. 나비목 곤충들은 황색이나 자주색에 비하여 백색의 꽃에 상대적으로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이 연구로 국화과 식물의 화기구조와 화분 매개 곤충 간의 상리공생적 상호관계를 어느 정도 파악하였다. To search for the co-relationships between insect-pollinators and the plant species of Asteraceae, insects visiting in flower and the flowers in Korea, were studied from April 2010 to October 2011. The sum of flower visiting degrees are shown 38 in Lepidoptera, 38 in Diptera, 36 in Hymenoptera, and the lowest 6 in Coleoptera, respectively. 65 insect species are identified pollinators, Hymenoptera 13 species(Apidae 11 sp., Formicidae 2 sp.), Lepidoptera 29 species(Pieridae 5sp., Nymphalidae 12 sp., Satyridae 3 sp., Hesperirdae 3 sp., Lycaenidae 2 sp., Danaidae 1 sp., Moth 2 sp.), Diptera 16 species(Tachinidae 1 sp., Syrphidae 12 sp., Muscidae 1sp., Others 2 sp.), and Coleoptera 6 species(Cetoniidae 1 sp., Cermbycidae 3 sp., Chrysomelidae 1 sp., Mordellidae 1 sp.). 31 pollinator species visits the flower of Erigeron annuus, next 15 pollinator species does the flower of Eupatorium japonicum, and then 13 pollinator species does the flower of Aster ageratoides. Only 2 pollinator species visit the flower of Tephroseris kirilowii, Ixeridium dentatum,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Carduus crispus, Ligularia fischeri, Ainsliaea acerifolia, Synurus deltoides, Cirsium setidens, Crepidiastrum enticulatum and Dendranthema boreale. Pollinators of Lepidoptera visit more frequently white flower than yellow or purple one. This study found out that mutualisic relations between plants and insect pollinators is carried out in Korea.

      • KCI등재

        단풍나무류 8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김갑태 ( Gab Tae Kim ),류동표 ( Dong Pyo Lyu ),김회진 ( Hoi Ji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5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8종의 단풍나무속 수종의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수목들은 강원도 치악산, 청태산, 방태산, 태백산과 원주시에 생육 중인 8수종에서 엽시료를 재취하여 2009년 4월부터 7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단풍, 고로쇠 및 복장나무의 domatia는 tuft type, 단풍나무, 신나무, 복자기와 시닥나무는 pocket+tuft type, 산겨릅나무는 pocket type 임이 밝혀졌다. 엽당 domatia 평균 갯수는 산겨릅나무에서 20.27개/엽으로 가장 많았고, 신나무에서 4.2개/엽으로 가장 적었다. 엽표변의 털은 단풍나무, 당단풍, 신나무 및 복장나무는 융모(villous), 고로쇠나무와 복자기는 연모(pilose), 시닥나무는 강모(strigose)였다. 일반적으로 털의 밀도는 잎 뒷면이 앞면보다 높았다. 단풍나무, 당단풍, 산겨릅나무 및 시닥나무에서만 엽맥의 말단부에 소량의 단물이 분비됨을 확인하였다. 엽당 응애의 개체수는 수종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엽당 응애 개제수 평균은 시닥나무가 9.2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복장나무, 당단풍, 복자기가 순이었다. 단풍나무류 잎을 가해하는 미소절지동물류는 진사진딧물, 단풍알락진딧물, 나무이, 혹응애, 매미충 등이었으며, 총개체수는 혹응애, 진사진딧물, 나무이, 단풍알락진딧물, 매미충 순이었다. 이들의 천적으로는 육식성 응애, 말별, 그 약충, 광대노린재 약충, 등이 확인되었으며, 고동털개미와 곰개미는 진딧물과 상리공생을 하여 단풍나무류의 초식피해를 가중시킴을 확인하였다. 육식성 응애가 진사진딧물을 공격하여 체액을 빨아먹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domatia가 중재하는 응애와 식물의 상리공생의 증거라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온대 활엽수종에서 이러한 응애와의 상리공생이 보편화되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discover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defense mechanisms against herbivores of 8 species of the genus Acerby examin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f, the structure and number of leaf domatia, herbivores insects and mites feeding on leaves,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trees growing in Mt. Chiak, Mt. Cheongtae, Mt. Jungwang, Mt. Bangtae, Mt. Taebaek and Wonju C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y through July, 2009,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omatia of A. pseudosieboldianum, A. pictum subsp. mono and A. mandshuricum belongs to tuft type; that of A. palmatum, A. triflorum and A. tschonoskii pocket+tuft type; and that of A. tegmentosum pocket type. The number of domatia per leaf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in the case of A. tegmentosum (20.2), and the lowest in the case of A. ginnala (4.2). Leaf surface trichomes of A. palmatum, A. pseudosieboldianum, A. ginnala and A. mandshuricum are covered with villi; those of A. pictum subsp. mono and A. triflorum with soft, pilose type of hair, and those of A. tschonoskii with stiff, strigose hair. The trichome density of lower leaf surface i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upper leaf surface. Only in the case of A. palmatum, A. pseudosieboldianum, A. tegmentosum and A. tschonoskii, a small amount of nectar is found to be secreted from the distal vein parts of the leaf margin. The number of mites on each leaf a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e species, and average mites number per leaf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A. tschonoskii (9.2/leaf), and A. mandshuricum, A. pseudosieboldianum, and A. triflorum follow it in decreasing order. Minute insects attacking the leaf of Acer spp. include Periphyllus californiensis, P. viridis, Psylla spp, and gall mites, and the number of these insects are found in Periphyllus californiensis, Psylla spp, P. viridis, and Cicadellidae sp. in decreasing order. The natural enemies of these herbivores insects are predatory mites, such as Chilocorus rubidus, Coccinella septempunctata and the nymph, Aphidius ervi, Poecilocoris lewisi and its larva, and Poecilocoris lewisi. Lasius japonicus and Formica japonica are symbiotic with aphids, and supports herbivores. Finally, our research confirmed that predatory mites attack Periphyllus californiensis and suck the body fluid of their victim. This proves that mites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plants through the mediation of leaf domatia. This also indicates that a protective mutualism may be more conspicuous in temperate broad-leaved trees.

      • KCI등재

        우리나라 꿀풀과와 산형과 식물의 화기 구조와 방화 곤충

        김갑태 ( Gab Tae Kim ),류동표 ( Dong Pyo Lyu ),김회진 ( Hoi Ji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1

        우리나라에 생육하는 꿀풀과와 산형과 식물들의 화기구조와 화분매개충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고자, 2010년 4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꽃을 찾는 곤충들을 조사였으며 꽃들의 화기구조를 관찰하였다. 꿀풀과 식물을 찾는 벌목 곤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21, 나비목 곤충들이 16의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꽃무지과를 비롯한 딱정벌레목과 꽃등에를 비롯한 파리목 곤충들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은 1로 매우 낮았다. 산형과 식물을 찾는 파리목 곤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27, 벌목 곤충들이 24, 꽃무지를 비롯한 딱정벌레목 곤충들이 21, 그리고 나비목 곤충들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은 13으로 나타났다. 식물종에 따른 화분매개충의 방화빈도 등급 합은 산형과의 기름나물이 2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구릿대가 13으로 높았으며, 꽃이 작은 편인 꿀풀과의 꽃층층이꽃, 석잠풀, 오리방풀이 등이 방화빈도 등급 합이 2로 가장 낮았다. 곤충 분류군별 방화빈도에서는 벌목 곤충이 57, 파리목 곤충이 46으로 높았으며, 나비목과 딱정벌레목 곤충은 23으로 낮은 편이었다. 참당귀는 방화곤충이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배초향 15종, 꿀풀 13종, 기름나물 13종, 구릿대 11종의 순으로 낮아졌다. 꽃층층이꽃과 오리방풀에서는 각각 좀뒤영벌과 어리황뒤영벌 1종만이 방화하였다. 딱정벌레목과 파리목 곤충들은 꿀풀과 식물의 꽃 보다 산형과 식물의 꽃에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파리목과 나비목 곤충들은 자주색에 비하여 백색의 꽃에 상대적으로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이 연구로 국화과 식물의 화기구조와 화분 매개 곤충 간의 상리공생적 상호관계를 어느 정도 파악하였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revealing the co-relationships between insect-pollinators and the plant species of Labiatae and Umbelliferae, insects visiting in flower and the flowers in Korea, were studied from April 2010 to August 2012. The sum of flower visiting degrees in Labiatae are shown 21 in Hymenoptera, 16 in Lepidoptera, and the lowest 1 in Diptera and Coleoptera, respectively. The sum of flower visiting degrees in Umbelliferae are shown 27 in Diptera, 24 in Hymenoptera, 21 in Coleoptera, and 13 in Lepidoptera, respectively. 17 pollinator species visited the flower of Angelica gigas, next 15 pollinator species did the flower of Agastache rugosa, 13 pollinator species did the flower of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13 pollinator species foraged on the flower of Peucedanum terebinthaceum. and then 11 pollinator species on the flower of Angelica dahurica. Only 1 pollinator species visited the flower of Clinopodium chinense var. grandiflora and Isodon excisus. Pollinators of Coleoptera and Diptera visit more frequently to the flowers of Umbelliferae than those of Labiatae. Pollinators of Lepidoptera and Diptera visit more frequently white flower than purple one. This study found out that mutualistic relations between plants and insect pollinators in Korea.

      • KCI등재

        며느리밥풀속 서식지 특성 및 개미와의 공생관계에 관한 연구 -강원도의 꽃며느리밥풀, 새며느리밥풀 및 알며느리밥풀을 중심으로-

        이재현 ( Jae Hyeon Lee ),류동표 ( Dong Pyo Lyu ),김갑태 ( Gab Ta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2

        우리나라에서 개미가 종자를 분산시키는 반기생 한해살이풀 며느리밥풀속 식물종의 서식지, 전파체 특성과 관련개미를 밝히고자, 2012년 5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며느리밥풀속 3종의 서식지 특성, 열매 수집, 전파체 특성 및 급여시험을 실시하였다. 며느리밥풀속 서식지는 약산성의 토양층이 비교적 얕은 남향사면 수관층이 열린 숲 가장자리였다. 공통적으로 출현한 식물종은 신갈나무를 포함한 4수종과 대사초를 포함한 4종의 초본식물이었다. 이들 식물종들이 며느리밥풀속의 숙주식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며느리밥풀속 전파체의 모양은 타원형의 종자 한 쪽에 백색의 지방체가 모자처럼 붙어있는 형태였다. 전파체 중량은 새며느리밥풀이 10.6mg으로 가장 무거웠고, 알며느리밥풀이 8.0mg, 꽃며느리밥풀 7.2mg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체 중량은 알며느리밥풀이 1.2mg으로 가장 무거웠고, 새며느리밥풀 1.0mg의 순이였으며, 꽃며느리밥풀이 0.8mg으로 가장 가벼웠다. 며느리밥풀속 서식지에서 전파체를 활발히 물어가는 개미는 두마디개미아과(Myrmicinae)에 속하는 3속 4종의 몸집이 작은 개미들로 코토쿠뿔개미, 항아리뿔개미,가시방패개미와 일본장다리개미로 확인되었다. 반기생 한해살이풀이며 개미가 종자를 산포하는 며느리밥풀속 식물체들은 개체의 생육상태에 따라서 변이가 크며, 환경조건의 변화에 민감하므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o search for habitat characteristics of myrmecochory Melampyrum species, diaspores and related ant species, habitat characteristics, collecting fruits and diaspores of three Melampyrum species, cafeteria experiments, and the related ant species were studied from May 2012 to November 2014. The habitat of Melampyrum species was south-facing open forest edge with slightly acidic soil and relatively shallow soiil layers. Major plants coexisting with Melampyrum species were four woody species including Quercus mongolica and four herbaceous species including Carex siderosticta. These Plants might be host plants of the Melampyrum species. The shape of the diaspore was an oval seed attached to the white cap on one side. Significant differences is proved between three plant species in weight of diaspores, seeds and and elaiosome ratios. Mean values of diaspores weight showed 10.6mg, 8.0㎎and 7.2㎎in M. setaceum var. nakaianum, M. roseum var. ovalifolium and M. roseum, respectively. The heaviest elaiosome is M. roseum var. ovalifolium with 1.2㎎, M. setaceum var. nakaianum has 1.0㎎and the lightest elaiosome is M. roseum with 0.8㎎. Major ant species frequently transporting the diaspores of Melampyrum species are Myrmicinae four species; Myrmica kotokui, M. excelsa, Myrmecina nipponica and Aphaenogaster japonica. Further studies on Melampyrum species, hemiparasite annual myrmecochorous plant, and related ant species should be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