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정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라광현,이윤호 대한범죄학회 2011 한국범죄학 Vol.5 No.1

        Similar to other government employees in general, turnover rate of correction officers is relatively low. However, various functions of the government has nowadays been privatized, and in corrections privatization has reached the point where an entire correction facility is run under private management. Also, businesses in need of professionals and specialists are seeking to recruit public servants with the required expertise. Businesses in the private sector such as law firms and private prisons may seek to recruit such expert public servants, which could lead to increased turnover rates. To address this issue, this research intends to empirically analyze secondary data from the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KOSSDA) to look for factors that influence turnover intentions of public servants. Results indicate factors that influence turnover rates are gender, rank, inate-related stress, relationship with fellow workers, perception towards the work environment and social evaluation of correctional work.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everal countermeasures to address turnover of correctional officers. First, stressor of which are related to inmates and work environment should be eliminated, and work stress needs to be systematically managed. Secondly, efforts to maintain desirable relationships among coworkers and their superiors should be made. Last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social evalua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오늘날 다양한 정부의 기능들이 민영화되거나 민간에서 보완・대체하고 있으며, 교정 역시 민영교도소를 개소하기에 이르렀다. 향후 민간조사원제도가 실시되고 교정의 민영화가 확대된다면 이들 직종의 공무원들의 이직이 활발해 질 수 있다. 물론 아직까지는 정년보장, 연금혜택 등 정부 각 기능들이 고용경쟁에서 비교 우위에 있지만, 공무원들의 이직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학자료원의 2차 자료를 통하여 교정공무원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았다. 분석 결과 여성 교정공무원들에 비하여 남성 교정공무원들이, 직급이 낮을수록, 수용자 관련 스트레스가 클수록, 동료 혹은 상사와의 관계가 나쁠수록, 근무환경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그리고 교정공무원의 업무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정공무원의 이직의도가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정공무원의 높은 이직 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강구 하였다. 첫째, 교정공무원들의 이직의사를 낮추기 위해서는 수용자, 그리고 근무환경과 관련한 스트레스의 유발요인들이 제거되야 하며, 발생한 스트레스에 대한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둘째, 교정공무원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동료 혹은 상사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조직 내 직류별 갈등 문제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정공무원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교정공무원들을 위한 직접적인 개선방안 뿐만 아니라, 교도행정과 교정공무원들을 향한 사회적 인식의 제고가 요구됨이 연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 KCI등재

        증강현실 기술의 경찰도입에 관한 연구

        라광현;이윤호 경찰대학교 2011 경찰학연구 Vol.11 No.4

        최근 실용화 단계에 진입한 증강현실 기술은 경찰활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변화 시킬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다양한 법 집행 상황에서 경찰활동의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옴에도 불구하고 경찰활동과 증강현실 기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의 개념, 경찰활동과의 이론적 매개, 실제적인 도입 방안, 그리고 증강현실 기술 도입을 위한 선결과제를 고찰하였다. 증강현실은 HMD(head mount display) 흑은 HUD(head-up display)등 각종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현실세계에 가상의 이미지를 덧입히는 기술로써 현실세계와 실 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 현실세계를 보충하고,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은 위험성, 돌발성 그리고 기동성 등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신속하며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는 경찰활동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더불어 증강현실 기술이 소셜 네트워크와 접목된다면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촉진까지도 기대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증강현실 기술의 도입과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 , 시스템의 구축과 보안의 문제 등 선결되어야 할 문제들이 존재한다. 증강현실 기술의 접목 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실무적인 노력, 실제적 도입을 위한 선결과제의 해결 그리고 도입 이후의 평가와 보완이 적절히 이루어진다면 증강현실 기술은 경찰활동을 보다 효율 적으로 변화시키게 될 것이다. Practical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has been made possible recently. This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make police activitie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Despite the potential to maximize performance of police activities in various scenarios, there is almost no ongoing research that relate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police activitie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ncept of virtual reality, theoretical connections to police activity, practical application and obstacles that need to be resolve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Virtual reality uses various types of displays, such as a HMD(head mount display) or a HUD(head-up display), to add a layer of a virtual world onto the real world,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 real world real-time, add complementary information on the real world, and increase sense of reality for the user. Considering the elements of danger, spontaneity and mobility of police activities,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be expected to become an effective complementary tool for making rational decisions with celerity in a well-informed manner. Additionally, if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social networking, facilitation of community policing can also be expected. Obstacles to stable oper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the lack of social consensus, the lack of a reliable, working system, and security issues. These must be resolved to implement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to police activities. Further research, effort and interest of practitioners, resolving obstacles to actual implementation, and appropriate evaluation and correcting any problem that may arise after implementation is required for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change the police into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work force.

      • KCI등재

        교정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라광현 ( Kwang Hyun Ra ),이윤호 ( Yoon Ho Lee ) 대한범죄학회 2011 한국범죄학 Vol.5 No.1

        Similar to other government employees in general, turnover rate of correction officers is relatively low. However, various functions of the government has nowadays been privatized, and in corrections privatization has reached the point where an entire correction facility is run under private management. Also, businesses in need of professionals and specialists are seeking to recruit public servants with the required expertise. Businesses in the private sector such as law firms and private prisons may seek to recruit such expert public servants, which could lead to increased turnover rates. To address this issue, this research intends to empirically analyze secondary data from the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KOSSDA) to look for factors that influence turnover intentions of public servants. Results indicate factors that influence turnover rates are gender, rank, inate-related stress, relationship with fellow workers, perception towards the work environment and social evaluation of correctional work.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everal countermeasures to address turnover of correctional officers. First, stressor of which are related to inmates and work environment should be eliminated, and work stress needs to be systematically managed. Secondly, efforts to maintain desirable relationships among coworkers and their superiors should be made. Last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social evalua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