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경찰대학에 대한 국민의 평가 : 소위 '경찰대학 폐지론' 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중심으로
이웅혁;최규범 경찰대학교 2005 경찰학연구 Vol.0 No.9
If there were single and the most important value for both scholars and social scientists, it would be the constant caution not to violate the integrity and objectiveness of scholarly articles by avoiding the conflict of interests. Unfortunately, not few scholars give enough attention to this principle. In such a case, studies are not quite different from political propaganda if not a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arguments asserting to repeal the laws establishing Korea National Police University (KNPU hereafter)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such as relevant official statistics and telephone survey. First, we reviewed arguments claiming to abolish KMPU and checked the validity of facts on which the arguments were rooted. Second, we analyzed official statistics gathered from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KNPA) in an effort to find out objective facts that were free from value judgment. Third, we interviewed 1,900 randomly selected adults nationwide. Then w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public survey asking the debated issue. In conclusion, we suggested practical solutions to solve the problems that challenged Korean police organization.
김남현 경찰대학교 2012 경찰학연구 Vol.12 No.2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focuses on training a police officer who could sacrifice themselves for his/her country and citizens with excellent problem solving skills. Especially, KNPA decided to extend the training period and convert training contents into problem solving centered learning in order to train an officer with good personality who could quick adapt to the real field after placement. The Cadet Training Program of RCMP in Canada could be a good role model for KNPA in pursuit of high-quality police training education. Cadets learn core values of the RCMP in training and CAPRA is used as model as a standard for Community Policing Problem Solving and last5ly the IMIM is also used as a framework by which RCMP officers assess and manage risk through justifiable and reasonable intervention. The Cadet Training Program at the RCMP Training Academy is receiving positive evaluations. In order to make Korean National Police Training Program successful, we need to focus on creating core values of KNPA that Korean citizens can trust and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 should be applied throughout improving of the training method, contents and environment.
Lee, Yung Hyeock 경찰대학교 2003 경찰학연구 Vol.0 No.4
날로 증가하는 청소년 비행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서 한국 경찰은 이 제 주민과 함께 하는 새로운 방범 활동을 모색할 때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경찰관이 관할 구역의 초중학교의 선생님으로서 약물복용, 흡연등의 해악성, '왕따' 현상의 피해사례, 적절한 인터넷 사용 방법과 예절 등에 대하여 그 비행의 예방을 목적으로, 정복을 착용하고 한 학기동안 정규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을 생각 해 볼 수 있다. 이는 대다수의 미국 학교에서 경찰관이 정규 교과과목의 한부분으로서 진행하는 마약 예방수업 (Drug Abuse Resistance Education)에서 그 아이디어가 도출 된 것이지만, 우리의 청소년 마약복용 문제가 아직 심각 한 단계에 이른 것이 아님을 고려 할 때, 현재 새롭게 문제가 되고 있는 초등학생의 흡연문제, 왕따 현상과 관련된 학교 폭력문제, 그리고 청소년에 의해서 저질러지는 각종 컴퓨터 범죄등의 예방에 수업의 초점을 맞추면 일정한 방범효과가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지역사회내에서의 청소년 비행을 줄이기 위한 학교와 경찰, 그리고 관련 기관과 긴밀한 상호 협조 관계를 형성하게 되며, 무엇보다도 청소년이 실제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학생과 교사, 부모, 그리고 경찰 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회가 마련될 수 있다는 점에 그 효과성이 있다 할 것이다. 즉, 경찰관이 한학기 동안 관내 학교에서 진행하는 방범수업을 통해서, 구호에 그치는 경찰활동이 아니라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청소년 비행 예 방 활동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탁종연 경찰대학교 2007 경찰학연구 Vol.7 No.1
This paper is an attempt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selection and education process of the Korean Police by examining those of the American Police. Extant selection and education process of the American police has been developed through year-long struggles of the police pioneers and support of the federal government. Currently, the American process is very task-oriented, which is reflected in application qualification, selection process, and police academy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a civilian applicant becomes an independent police officer through such a complex process which consists of approximately 900 hours of the in-academy education and 600 hours of the post-academy education in most large-size police departments. Many departments however have difficulty recruiting good applicants since the police job is notorious for hardworking and shallow chance of advancement. After careful examination of the American police, I suggest that the Korean police should reform the selection and education processes that enable the recruits become more capable police officer. In order to do so,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national task force, just as the President Lyndon John's commission on the Law Enforcement and Administration of the Justice in the 1960's.
민경석(Min, Kyung Seok),문경환(Moon, Kyeong Hwan),황문규(Hwang, Mun Gyu)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7 경찰학연구 Vol.17 No.2
최근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대응하여 대학에서는 기존의 ‘지식습득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탈피하여 학생들이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식 학습과 더불어 이를 적용하고 확장시키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경찰관 및 대학생 역량지표와 경찰대학의 교육목표를 토대로 향후 경찰대학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한 경찰대학생의 역량모델 및 하위요소를 제시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경찰대학생에 대한 교육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역량진단 도구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F.G.I.와 중요도 평정 등을 통하여 1) 전문지식역량, 2) 리더십역량, 3)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4) 자기관리역량, 5) 글로벌역량, 6) 직업의식, 7) 공동체의식, 8) 문화감수성의 8개 역량이 최종 선정되었으며, 이에 따른 진단도구로는 총 8개 영역, 19개 요소에 대해 96문항을 구성하였다. 진단도구에 대한 신뢰도 검증에서 8개 영역, 19개 요소는 0.8이상의 신뢰도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또한 적절한 이론적 모형이 가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개발된 역량지표를 통해 경찰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역량진단조사를 실시한 결과, 8개 역량 수준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더십역량, 직업의식역량, 공동체의식역량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글로벌역량, 문화감수성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역량 진단 결과에 따라 경찰대학 총 이수학점 수의 축소와 소양관련 교과목(예, 글로벌역량, 문화감수성)에 대한 확대가 필요성 등이 제안되었다. 현재 개발된 역량모델과 진단도구를 통해 매년 정례적으로 경찰대학생의 역량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향후 종단적 비교를 통해 경찰대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객관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have demanded th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rather than traditional knowledge based education, in which emphases are laid on practical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for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and test for Korea National Police University(KNPU) considering KNPU educational goals, police competency and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discuss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Base on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data analysis, KNPU competency model was suggested as 8 domains, such as professional knowledge, leadership, critical problem solving, self-management skills, global competency, work ethics and cultural literacy. Then the KNPU core competency test consisted of 8 competency domains, 19 sub-domains and 96 items, which showed fairly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competency test was administered to KNPU students in Dec. 2016. As a result, the scores of global competency and cultural literacy were relatively low, while KNPU students showed good levels of all 8 competency domains (over 3 points out of 5 on average). Based on the test results, it is required that the number of subjects of KNPU curriculum should be reduced but subjects on global and cultural literacy have to be more emphasized. It should be also mentioned that the competency model and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ovide empirical base for KNPU curriculum reform and evaluation of education effects.
라광현;이윤호 경찰대학교 2011 경찰학연구 Vol.11 No.4
최근 실용화 단계에 진입한 증강현실 기술은 경찰활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변화 시킬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다양한 법 집행 상황에서 경찰활동의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옴에도 불구하고 경찰활동과 증강현실 기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의 개념, 경찰활동과의 이론적 매개, 실제적인 도입 방안, 그리고 증강현실 기술 도입을 위한 선결과제를 고찰하였다. 증강현실은 HMD(head mount display) 흑은 HUD(head-up display)등 각종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현실세계에 가상의 이미지를 덧입히는 기술로써 현실세계와 실 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 현실세계를 보충하고,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은 위험성, 돌발성 그리고 기동성 등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신속하며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는 경찰활동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더불어 증강현실 기술이 소셜 네트워크와 접목된다면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촉진까지도 기대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증강현실 기술의 도입과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 , 시스템의 구축과 보안의 문제 등 선결되어야 할 문제들이 존재한다. 증강현실 기술의 접목 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실무적인 노력, 실제적 도입을 위한 선결과제의 해결 그리고 도입 이후의 평가와 보완이 적절히 이루어진다면 증강현실 기술은 경찰활동을 보다 효율 적으로 변화시키게 될 것이다. Practical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has been made possible recently. This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make police activitie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Despite the potential to maximize performance of police activities in various scenarios, there is almost no ongoing research that relate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police activitie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ncept of virtual reality, theoretical connections to police activity, practical application and obstacles that need to be resolve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Virtual reality uses various types of displays, such as a HMD(head mount display) or a HUD(head-up display), to add a layer of a virtual world onto the real world,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 real world real-time, add complementary information on the real world, and increase sense of reality for the user. Considering the elements of danger, spontaneity and mobility of police activities,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be expected to become an effective complementary tool for making rational decisions with celerity in a well-informed manner. Additionally, if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social networking, facilitation of community policing can also be expected. Obstacles to stable oper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the lack of social consensus, the lack of a reliable, working system, and security issues. These must be resolved to implement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to police activities. Further research, effort and interest of practitioners, resolving obstacles to actual implementation, and appropriate evaluation and correcting any problem that may arise after implementation is required for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change the police into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work force.
재외국민보호체계 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 경찰주재관의 역할 중심으로
정제용,김학경 경찰대학 경찰대학 2023 경찰학연구 Vol.23 No.1
There are two framework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cooperation through Interpol and mutual legal assistance for criminal justice, and cooperation through police attachés is quite new.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perates an attaché system and one of them is the police attaché. Police attachés carry out duties such as protecting citizens abroad, cooperating in investigations to arrest criminals, collecting data related to international crimes,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with law enforcement agencies in the host country. This study clarified the role of the police attachés, identified problems caused by conflict between roles, and suggested solutions. The framework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were the same as those actually performed by the attachés. Second, role contradictions and problems were discovered. There were cases in which activities to protect Korean nationals abroad and cooperation in investigations to arrest criminals collided. In this case, the former activity has a basis law called the Consular Assistance Act, but the latter activity was not clear. In addition, a problem of role conflict may arise between police officers with different status serving in the same country or region. Finally, two methods were proposed to resolve role contradiction. One is to separate the form of dispatch into two tracks, with police attachés concentrating on consular assistance activities, and police cooperation officers carrying out investigation and cooperation activities. The other is to make police attachés in charge of law enforcement cooperation activities related to criminal justice. 국제협력 및 공조에는 인터폴을 통한 협력과 국제형사사법공조라는 두 가지 프레임워크가 존재하나, 최근에 경찰주재관을 통한 협력이라는 새로운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외교부에서는 각 전문분야별로 재외공관 외교활동을 보좌하기 위해서 국가공무원을 선발하여 파견하는 주재관 제도를 운용하고 있고, 그중 하나가 경찰주재관이다. 경찰주재관은 재외국민보호, 범죄자 검거를 위한 수사공조, 국제범죄 관련 자료수집, 그리고 주재국 법집행기관과의 협력체제 구축 등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주재관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역할 간 모순 내지 충돌로 인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질적연구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워크 분석방법(Framework analysis)을 적용하여 경찰주재관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역할과 실제 주재관들이 수행하는 역할의 동일함이 확인되었다. 둘째, 역할 모순과 문제점의 발견으로, 재외국민보호활동과 범죄자 검거를 위한 수사공조활동이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 경우 전자인 활동은 영사조력법이라는 근거법이 있지만, 후자인 활동은 근거법이 명확하지 않았다. 또한, 한 국가나 지역 내에서 근무하는 다른 파견 지위를 가진 경찰관 사이에 역할갈등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역할 모순 내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파견 형태를 투 트랙으로 분리하여 경찰주재관은 영사조력활동에 집중하고, 경찰협력관은 경찰청에서 요청하는 수사공조활동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리하는 방안이다. 두 번째는 재외국민보호활동은 외교부 소속 임기제 (부)영사가 담당하고, 경찰주재관은 형사사법 관련 법집행 공조활동을 담당하는 방안이다.
김혁 경찰대학교 2010 경찰학연구 Vol.10 No.2
The Korean Penal Code sets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at 14 years or older and it is forbidden to indict juveniles under 14 years old in accordance with criminal proceedings. Even though they are not penalized by their delinquency, they could be subjects of protective measures which are to rehabilitate themselves. According to the former Juvenile Act, these measures were permissible to 12 years or older juveniles. However, the amendment in 2007 lowered the age from 12 to 10 and it is expected that these juveniles increase. Even if the Juvenile Act does not stipulate police investigation, it is the police officer who has first contact with the majority of delinquents and investigates them.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evidences of delinquency and facts related with delinquent's individual character at the stage of police investigation.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investigate these facts because there are no provisions which stipulate these procedures. Therefore, it is strongly needed to grant the police the power to investigate delinquency and make it possible to secure evidence by permitting search and seizure or verification at the stage of police investigation. And legal rights that are owed to a person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must be respected in the process of police investigation. To implicate these measures, amendment of the Juvenile Act is needed.
이지은,최 훈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2
As the demand for police services increased rapidly while police personnel failed to comply, the police introduced a 112 code system as part of a differential police response. However, the public is still demanding a quick and professional response from police officers. This study sought to reflect the public's perspective in the 112 reporting code in order to harmonize the seemingly contradictory code system with the problem of public satisfac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the public and the police with 100 cases based on actual reported cases, and analyzed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of a mixed-model two-way ANOVA using pre-code (code0/ code1/ code2/ code3/ code4) and group (public/ polic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de by respondents as 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main effect of pre-code’and 'interaction between pre-code and group' were found. In addition, through independent t-test for all cases, cases in which the public and the police officer assigned different code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s, the public respondents tended to give more urgent codes than the police for reports related to "human damage" and "public safety," and the police tended to give more urgent codes for "material damage" and "report with unclear contents." In addition, public respondents gave high codes for infringement of public risk and life, low codes for noise and traffic inconvenience, and moderate codes for property infringement. In addition, they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assigning codes based on practical risk rather than legal punishment. In order to reflect these analysis results in the code system, this study proposes a 3-track approach, that is, ① reflecting the public's perspective, ② maintaining the existing police position, and ③ improving public awareness. In general, the public's perspective should be reflected in the police code, and reports with unclear contents should maintain a high cod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public awareness through media and local police activities regarding 112 reports on other institutions' work. 경찰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급증하는 반면 경찰 인력은 그에 따르지 못하자 경찰은 차별적 경찰대응의 일환으로 112신고 코드 체제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국민들은 여전히 경찰관의 신속하고 전문적인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렇듯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코드 체제와 국민 만족도 문제를 조화시키고자 국민 시각을 112신고 코드 체계에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신고사건을 토대로 100건의 사례를 구성, 국민과 경찰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접수 당시 코드(코드0/코드1/코드2/코드3/코드4)와 집단(국민/경찰)을 독립변수로, 응답자가 부여한 코드를 종속변수로 하여 혼합설계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한 결과, 유의한‘접수당시 코드의 주효과’ 및 ‘사전 코드와 집단간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전체 사례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국민과 경찰관이 서로 상이하게 코드를 부여한 사례들을 선별하였다. 이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국민은‘인적 피해’ 및 ‘공공 안전’과 관련된 신고에 있어 경찰보다 더 긴급한 코드를 부여하고, 경찰은 ‘물적 피해’ 및 ‘내용이 불명확한 신고’에 있어 더 긴급한 코드를 부여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또한 국민은 공공위험과 생명신체에 대한 침해에 대해서는 높게, 소음․교통불편․분실습득 등에 대해서는 낮게, 재산 침해에 대해서는 중간 정도의 코드 부여를 하였고, 법정형보다는 실질적 위험성을 기준으로 한 코드 지정, 주취 정도에 따른 차별화된 코드 부여 및 분실 습득에 대한 최하위 코드 부여 등의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코드체계에 반영하기 위해 신고 접수 요원 및 지역 경찰을 대상으로 한 면담을 종합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3-track 접근, 즉 ① 국민 시각 반영 ② 기존 경찰 입장 유지 ③ 국민 인식 개선의 방식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분야에 있어서는 국민의 시각을 반영하되, 내용이 불명확한 신고의 경우 현재처럼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코드 지정을 하도록 하고, 타기관 사무임에도 자주 신고되는 유형의 신고에 대해서는 경찰 소관 업무가 아님을 언론 및 지역 경찰 활동 등을 통해 적극 홍보함으로써 국민 인식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Police “Code of Silence” and Municipal Liability Risks: A Review of U.S. Federal Case Law
Lee Hoon(이훈),mohael S. Vaughn,Kim Dong Lyoul(김동률)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5 경찰학연구 Vol.15 No.1
폐쇄적인 경찰 조직의 특성 및 근무 환경으로 인해 경찰 내 소위 “침묵 코드”(Codeof Silence)가 발달하게 되며, 이러한 “침묵 코드”로 인해 조직 구성원이 다른 경찰관의불법행위를 인지하더라도 내부고발을 주저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경찰조직 내에 “침묵 코드”가 만연한 경우에는 경찰조직 내부에 대한 외부의감시 또는 처벌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는 위험한 경찰하위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미국 1871년 민권법은 경찰조직 내의 위헌적 정책 또는 관습으로 인해 미국 국민의 헌법적 권한이 침해된 경우 경찰에 대한 민사배상청구권을 폭넓게 인정하고 있는 바, 경찰조직 내에 팽배한 “침묵 코드”로 인한 경찰관 불법행위 옹호행태에 대해서도 일정 부분 경찰의 민사배상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 경찰의 “침묵 코드”로 인한미국 1871년 민권법 민사배상책임에 관한 연방하급심 판례 분석을 통해 경찰조직의 비리행위 은폐 실태와 조직운영 책임 사이의 인과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LexisNexis에 수록된 경찰 “침묵 코드”와 관련된 총 539건의 미국 연방 민사소송 사건 일체에 대한 분석 결과, 도합 59건에서 경찰의 민사책임이 인정되었으며,경찰 중간 관리자 및 지도부에 의한 조직 구성원의 불법행위에 대한 조직적 무시, 제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내부감찰활동 및 비리경찰관에 대한 면책 등 경찰조직 내의의도적 인식회피로 시민의 헌법적 권한이 침해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조직 구성원을 보호하기 위해 법정에서의 허위 증언도 종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경찰 “침묵 코드”에 동조하지 않는 양심적인 경찰관에 대해 조직적인 괴롭힘, 징계, 배척, 배반자라는 낙인, 감찰조사 등을 통한 보복을 자행함으로써 경찰 “침묵코드”를 유지하려는 행태도 발견하였다. 따라서 시민의 인권보장 및 건전한 경찰 조직문화 형성을 위한 바람직한 경찰조직 운영 및 조직문화 형성의 중요성 인식이 필요하며 경찰 “침묵 코드” 척결에 대한 반성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