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대학에 대한 국민의 평가 : 소위 '경찰대학 폐지론' 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중심으로

        이웅혁;최규범 경찰대학교 2005 경찰학연구 Vol.0 No.9

        If there were single and the most important value for both scholars and social scientists, it would be the constant caution not to violate the integrity and objectiveness of scholarly articles by avoiding the conflict of interests. Unfortunately, not few scholars give enough attention to this principle. In such a case, studies are not quite different from political propaganda if not a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arguments asserting to repeal the laws establishing Korea National Police University (KNPU hereafter)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such as relevant official statistics and telephone survey. First, we reviewed arguments claiming to abolish KMPU and checked the validity of facts on which the arguments were rooted. Second, we analyzed official statistics gathered from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KNPA) in an effort to find out objective facts that were free from value judgment. Third, we interviewed 1,900 randomly selected adults nationwide. Then w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public survey asking the debated issue. In conclusion, we suggested practical solutions to solve the problems that challenged Korean police organization.

      • KCI등재

        증강현실 기술의 경찰도입에 관한 연구

        라광현;이윤호 경찰대학교 2011 경찰학연구 Vol.11 No.4

        최근 실용화 단계에 진입한 증강현실 기술은 경찰활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변화 시킬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다양한 법 집행 상황에서 경찰활동의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옴에도 불구하고 경찰활동과 증강현실 기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의 개념, 경찰활동과의 이론적 매개, 실제적인 도입 방안, 그리고 증강현실 기술 도입을 위한 선결과제를 고찰하였다. 증강현실은 HMD(head mount display) 흑은 HUD(head-up display)등 각종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현실세계에 가상의 이미지를 덧입히는 기술로써 현실세계와 실 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 현실세계를 보충하고,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은 위험성, 돌발성 그리고 기동성 등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신속하며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는 경찰활동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더불어 증강현실 기술이 소셜 네트워크와 접목된다면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촉진까지도 기대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증강현실 기술의 도입과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 , 시스템의 구축과 보안의 문제 등 선결되어야 할 문제들이 존재한다. 증강현실 기술의 접목 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실무적인 노력, 실제적 도입을 위한 선결과제의 해결 그리고 도입 이후의 평가와 보완이 적절히 이루어진다면 증강현실 기술은 경찰활동을 보다 효율 적으로 변화시키게 될 것이다. Practical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has been made possible recently. This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make police activitie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Despite the potential to maximize performance of police activities in various scenarios, there is almost no ongoing research that relate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police activitie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ncept of virtual reality, theoretical connections to police activity, practical application and obstacles that need to be resolve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Virtual reality uses various types of displays, such as a HMD(head mount display) or a HUD(head-up display), to add a layer of a virtual world onto the real world,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 real world real-time, add complementary information on the real world, and increase sense of reality for the user. Considering the elements of danger, spontaneity and mobility of police activities,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be expected to become an effective complementary tool for making rational decisions with celerity in a well-informed manner. Additionally, if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social networking, facilitation of community policing can also be expected. Obstacles to stable oper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the lack of social consensus, the lack of a reliable, working system, and security issues. These must be resolved to implement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to police activities. Further research, effort and interest of practitioners, resolving obstacles to actual implementation, and appropriate evaluation and correcting any problem that may arise after implementation is required for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change the police into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work force.

      • KCI등재

        경찰대학생의 역량모델 개발

        민경석(Min, Kyung Seok),문경환(Moon, Kyeong Hwan),황문규(Hwang, Mun Gyu)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7 경찰학연구 Vol.17 No.2

        최근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대응하여 대학에서는 기존의 ‘지식습득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탈피하여 학생들이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식 학습과 더불어 이를 적용하고 확장시키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경찰관 및 대학생 역량지표와 경찰대학의 교육목표를 토대로 향후 경찰대학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한 경찰대학생의 역량모델 및 하위요소를 제시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경찰대학생에 대한 교육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역량진단 도구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F.G.I.와 중요도 평정 등을 통하여 1) 전문지식역량, 2) 리더십역량, 3)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4) 자기관리역량, 5) 글로벌역량, 6) 직업의식, 7) 공동체의식, 8) 문화감수성의 8개 역량이 최종 선정되었으며, 이에 따른 진단도구로는 총 8개 영역, 19개 요소에 대해 96문항을 구성하였다. 진단도구에 대한 신뢰도 검증에서 8개 영역, 19개 요소는 0.8이상의 신뢰도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또한 적절한 이론적 모형이 가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개발된 역량지표를 통해 경찰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역량진단조사를 실시한 결과, 8개 역량 수준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더십역량, 직업의식역량, 공동체의식역량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글로벌역량, 문화감수성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역량 진단 결과에 따라 경찰대학 총 이수학점 수의 축소와 소양관련 교과목(예, 글로벌역량, 문화감수성)에 대한 확대가 필요성 등이 제안되었다. 현재 개발된 역량모델과 진단도구를 통해 매년 정례적으로 경찰대학생의 역량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향후 종단적 비교를 통해 경찰대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객관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have demanded th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rather than traditional knowledge based education, in which emphases are laid on practical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for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and test for Korea National Police University(KNPU) considering KNPU educational goals, police competency and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discuss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Base on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data analysis, KNPU competency model was suggested as 8 domains, such as professional knowledge, leadership, critical problem solving, self-management skills, global competency, work ethics and cultural literacy. Then the KNPU core competency test consisted of 8 competency domains, 19 sub-domains and 96 items, which showed fairly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competency test was administered to KNPU students in Dec. 2016. As a result, the scores of global competency and cultural literacy were relatively low, while KNPU students showed good levels of all 8 competency domains (over 3 points out of 5 on average). Based on the test results, it is required that the number of subjects of KNPU curriculum should be reduced but subjects on global and cultural literacy have to be more emphasized. It should be also mentioned that the competency model and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ovide empirical base for KNPU curriculum reform and evaluation of education effects.

      • KCI등재

        캐나다 연방경찰의 경찰후보생 훈련과정 및 시사점 연구

        김남현 경찰대학교 2012 경찰학연구 Vol.12 No.2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focuses on training a police officer who could sacrifice themselves for his/her country and citizens with excellent problem solving skills. Especially, KNPA decided to extend the training period and convert training contents into problem solving centered learning in order to train an officer with good personality who could quick adapt to the real field after placement. The Cadet Training Program of RCMP in Canada could be a good role model for KNPA in pursuit of high-quality police training education. Cadets learn core values of the RCMP in training and CAPRA is used as model as a standard for Community Policing Problem Solving and last5ly the IMIM is also used as a framework by which RCMP officers assess and manage risk through justifiable and reasonable intervention. The Cadet Training Program at the RCMP Training Academy is receiving positive evaluations. In order to make Korean National Police Training Program successful, we need to focus on creating core values of KNPA that Korean citizens can trust and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 should be applied throughout improving of the training method, contents and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미국 신임경찰의 선발과 교육제도 고찰

        탁종연 경찰대학교 2007 경찰학연구 Vol.7 No.1

        This paper is an attempt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selection and education process of the Korean Police by examining those of the American Police. Extant selection and education process of the American police has been developed through year-long struggles of the police pioneers and support of the federal government. Currently, the American process is very task-oriented, which is reflected in application qualification, selection process, and police academy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a civilian applicant becomes an independent police officer through such a complex process which consists of approximately 900 hours of the in-academy education and 600 hours of the post-academy education in most large-size police departments. Many departments however have difficulty recruiting good applicants since the police job is notorious for hardworking and shallow chance of advancement. After careful examination of the American police, I suggest that the Korean police should reform the selection and education processes that enable the recruits become more capable police officer. In order to do so,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national task force, just as the President Lyndon John's commission on the Law Enforcement and Administration of the Justice in the 1960's.

      • KCI등재

        Putting Police Officer into Classroom : Adoption of the Idea of American D.A.R.E. Program for Implementation of "Community Policing" in South Korea

        Lee, Yung Hyeock 경찰대학교 2003 경찰학연구 Vol.0 No.4

        날로 증가하는 청소년 비행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서 한국 경찰은 이 제 주민과 함께 하는 새로운 방범 활동을 모색할 때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경찰관이 관할 구역의 초중학교의 선생님으로서 약물복용, 흡연등의 해악성, '왕따' 현상의 피해사례, 적절한 인터넷 사용 방법과 예절 등에 대하여 그 비행의 예방을 목적으로, 정복을 착용하고 한 학기동안 정규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을 생각 해 볼 수 있다. 이는 대다수의 미국 학교에서 경찰관이 정규 교과과목의 한부분으로서 진행하는 마약 예방수업 (Drug Abuse Resistance Education)에서 그 아이디어가 도출 된 것이지만, 우리의 청소년 마약복용 문제가 아직 심각 한 단계에 이른 것이 아님을 고려 할 때, 현재 새롭게 문제가 되고 있는 초등학생의 흡연문제, 왕따 현상과 관련된 학교 폭력문제, 그리고 청소년에 의해서 저질러지는 각종 컴퓨터 범죄등의 예방에 수업의 초점을 맞추면 일정한 방범효과가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지역사회내에서의 청소년 비행을 줄이기 위한 학교와 경찰, 그리고 관련 기관과 긴밀한 상호 협조 관계를 형성하게 되며, 무엇보다도 청소년이 실제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학생과 교사, 부모, 그리고 경찰 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회가 마련될 수 있다는 점에 그 효과성이 있다 할 것이다. 즉, 경찰관이 한학기 동안 관내 학교에서 진행하는 방범수업을 통해서, 구호에 그치는 경찰활동이 아니라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청소년 비행 예 방 활동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민 시각을 반영한 112신고 코드 체계에 관한 연구

        이지은,최 훈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2

        As the demand for police services increased rapidly while police personnel failed to comply, the police introduced a 112 code system as part of a differential police response. However, the public is still demanding a quick and professional response from police officers. This study sought to reflect the public's perspective in the 112 reporting code in order to harmonize the seemingly contradictory code system with the problem of public satisfac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the public and the police with 100 cases based on actual reported cases, and analyzed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of a mixed-model two-way ANOVA using pre-code (code0/ code1/ code2/ code3/ code4) and group (public/ polic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de by respondents as 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main effect of pre-code’and 'interaction between pre-code and group' were found. In addition, through independent t-test for all cases, cases in which the public and the police officer assigned different code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s, the public respondents tended to give more urgent codes than the police for reports related to "human damage" and "public safety," and the police tended to give more urgent codes for "material damage" and "report with unclear contents." In addition, public respondents gave high codes for infringement of public risk and life, low codes for noise and traffic inconvenience, and moderate codes for property infringement. In addition, they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assigning codes based on practical risk rather than legal punishment. In order to reflect these analysis results in the code system, this study proposes a 3-track approach, that is, ① reflecting the public's perspective, ② maintaining the existing police position, and ③ improving public awareness. In general, the public's perspective should be reflected in the police code, and reports with unclear contents should maintain a high cod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public awareness through media and local police activities regarding 112 reports on other institutions' work. 경찰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급증하는 반면 경찰 인력은 그에 따르지 못하자 경찰은 차별적 경찰대응의 일환으로 112신고 코드 체제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국민들은 여전히 경찰관의 신속하고 전문적인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렇듯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코드 체제와 국민 만족도 문제를 조화시키고자 국민 시각을 112신고 코드 체계에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신고사건을 토대로 100건의 사례를 구성, 국민과 경찰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접수 당시 코드(코드0/코드1/코드2/코드3/코드4)와 집단(국민/경찰)을 독립변수로, 응답자가 부여한 코드를 종속변수로 하여 혼합설계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한 결과, 유의한‘접수당시 코드의 주효과’ 및 ‘사전 코드와 집단간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전체 사례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국민과 경찰관이 서로 상이하게 코드를 부여한 사례들을 선별하였다. 이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국민은‘인적 피해’ 및 ‘공공 안전’과 관련된 신고에 있어 경찰보다 더 긴급한 코드를 부여하고, 경찰은 ‘물적 피해’ 및 ‘내용이 불명확한 신고’에 있어 더 긴급한 코드를 부여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또한 국민은 공공위험과 생명신체에 대한 침해에 대해서는 높게, 소음․교통불편․분실습득 등에 대해서는 낮게, 재산 침해에 대해서는 중간 정도의 코드 부여를 하였고, 법정형보다는 실질적 위험성을 기준으로 한 코드 지정, 주취 정도에 따른 차별화된 코드 부여 및 분실 습득에 대한 최하위 코드 부여 등의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코드체계에 반영하기 위해 신고 접수 요원 및 지역 경찰을 대상으로 한 면담을 종합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3-track 접근, 즉 ① 국민 시각 반영 ② 기존 경찰 입장 유지 ③ 국민 인식 개선의 방식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분야에 있어서는 국민의 시각을 반영하되, 내용이 불명확한 신고의 경우 현재처럼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코드 지정을 하도록 하고, 타기관 사무임에도 자주 신고되는 유형의 신고에 대해서는 경찰 소관 업무가 아님을 언론 및 지역 경찰 활동 등을 통해 적극 홍보함으로써 국민 인식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제3의 탈경찰화와 민간경비원의 권한확대 : 영국의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 중심으로

        김학경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4 치안정책연구 Vol.28 No.1

        1990년대부터 시작된 제3의 탈경찰화는 사회 안전 예방책임의 민간영역으로 재분배 현상을 의미하는데, 그 배경은 종래 국가가 독점해오던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에 관한 경찰권을 민간인에게 위임하여 부족한 경찰력 등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3의 탈경찰화의 핵심은 지역사회 내 범죄예방이라는 보편적 목적을 위하여 민간영역에 제한적인 경찰권을 부여한 것인데, 이는 2002년 경찰개혁법에서 시작된 영국의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와 유사한 측면이 많다.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는 지역경찰청장이 요건 및 자격 등을 검토한 후, 인가경비원 등에게 범칙금 통고처분권·불심검문·압수권 등과 같은 보편적인 성격의 경찰권을 부분적으로 부여하는 제도이다. 동 제도를 통하여 영국의 민간경비산업은 사적 계약관계에서 기인하는 사용자 종속성에서 벗어나, 이제는 지역사회 협력치안활동의 공식 파트너로서 범죄와 무질서 예방 그리고 반사회적 행위 근절이라는 보편적인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일각에서 제기되는 민간경비원의 법적권한 확대주장에 발맞추어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의 구체적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향후 도입 시 필요한 이론적·비교법적 근거 및 운영모델사례를 선제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첫 번째, 비교법적 근거도출을 위하여 대륙법계의 시대적 지향점인 탈경찰화 흐름과 영국의 지역사회안전 인가제도의 도입배경을 이론적으로 접목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구체적인 운영모델 사례를 제시하기 위해서 승인 및 인가절차 그리고 교육훈련 및 범죄경력요건 중심으로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를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비교고찰을 통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In Continental Europe, the concept of “Entpolizeilichung” means the reduction of duties and powers of the regular police to simply maintaining law and order. However, since the 1990s, the third Entpolizeilichung has gradually emerged, where the responsibility of maintaining law and order began to be re-distributed between state, local authorities, and the private business sector. In other words, the police started to entrust limited, but targeted, police powers to the private sector in order to complement the deficiency of manpower and resources of the police. In a similar vein, the UK police force has also implemented the Community Safety Accreditation Scheme (CSAS), based on the Police Reform Act 2002. Through the CSAS, the Chief Constable of a local police force can grant a limited, but targeted, range of police powers to employees of non-police organisations, such as private security officers who can also contribute to community safety. Individuals who have been granted these powers are known under the Act as Accredited Persons, and they are also required to wear a uniform and a badge approved by the police when exercising their powers. In particular, the badge must show and detail the powers which they are entitled to exercis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UK’s CSAS can be theoret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ntpolizeilichung. In Korea, academic discourses on the entrustment of police powers to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has recently occurred, but seems to fail to provide robust theoretical grounds and model examples, particularly based on cross-cultural studies. In this context, the study first tries to investigate the procedures and conditions of the CS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ird “Entpolizeilichung”. Drawn from the critical discussions of the findings, the study finally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1) the accreditation body should be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KNPA), 2) In order to evaluate private sector companies seeking approval, the Korea Security Association should be nominated on behalf of the KNPA, 3) the target of police powers needs to be confined to misdemeanours in a community, 4) the entrustment of limited, but targeted, police powers with the exception of arrest, detention, and weapons, 5) accredited persons should be restricted to legally-licensed private security officers, 6) education programs should include “crime and incident scene management” and “disaster and crisis management”, 7) the criminal record check standard needs to be reinforced, and finally 8) the imposition of criminal charges against accredited persons in the event the given powers are abused, and against any civilians who challenge their legitimate powers.

      • KCI등재

        자치경찰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소고

        곽영길,이승철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9 치안정책연구 Vol.33 No.3

        현재 한국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만 자치경찰제가 실시되고 있고 제도의 불완전함으로 인해 진정한 의미에서 자치경찰제는 요원한 상황이다. 따라서 전국적으로 지역에 적합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치경찰제의 도입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이에 현 정부에서는 「경찰법」을 전면 개정하여 「국가경찰 및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을 의원입법으로 발의하였고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다. 이 법률은 자치경찰제 도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주민 수요에 적합한 다양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고 국가 전체의 치안역량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민참여의 보장이라는 관점에서 현 정부안에서 도입하려는 시·도 경찰위원회를 고찰하고 이와 함께 일선 공무원들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파악한 자료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시·도 경찰위원회제도의 구성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 정부안의 시·도 경찰위원회는 과거 역대 정부가 주장한 시·도 경찰위원회를 다소 발전시킨 방안으로 생각되나, 시·도 경찰위원회가 실질적이고 능동적인 주민참여의 통로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향후 입법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보다 심도 있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첫째, 시·도 경찰위원회는 단순한 심의·의결기관으로 형식적인 주민참여가 아닌 능동적이며 실질적인 주민참여의 실현과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독립적인 행정위원회 기관형태로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시·도 경찰위원회의 자치경찰에 대한 관리·감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도 경찰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결정권과 감독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입법화해야 한다. 둘째, 주민참여를 활성화하는 측면에서 시·도 경찰위원회의 위원은 7인 이상 10인 이하로 하는 것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적정하다고 사료된다. 이때 1인의 위원을 대법원이 추천하는 것은 주민참여의 취지와 부합하지 않으므로 재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시·도 경찰위원회의 서무는 독립하여 수행토록 하고, 위원회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사무국을 시·도 경찰위원회 내에 두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Currently, only the Jeju Special Municipal Province has a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and due to the incomplete system, the real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is a long way off. Therefore, it is said that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a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that can provide adequate security services to the regions nationwide. Accordingly, the current government proposed the 「Act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Police and Municipal Autonomy Police」 by revising the 「Police Act」 and is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law aims to provide various security services suitable for the needs of residents and strengthen the security capabilities of the entire nation by providing legal ground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In this study,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were reviewed to introduc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guarantee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at the same time, based on data identified through a survey of the perceptions of frontline government officials, the government wanted to present desirable measures to organize and operate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 system. While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are thought to have improved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somewhat, they believe that the following matters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legislation proces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function as channels for practical and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First, the institutional form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committee to ensure active and practical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political neutrality, not as a mere deliberation and decision-making institution. In addition, a measure should be enacted to give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the right to decide and supervise the policies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at least seven members of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 terms of boosting residents’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it would be appropriate to make up a seven-ten-member committee, and the Supreme Court’s recommendation of a single member should be raised to be far from public particip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ordination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dependent and to consider having the secretariat within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to carry out the commission’s duties.

      • KCI등재

        인권기반 경찰 동료개입프로그램의 한국형 모델에 관한 고찰: 동조와 복종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이창용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1

        The Rights-Based Korean Police Peer Intervention Program is a program that prevents colleagues who become aware of misconduct from intervening immediately to maintain or exacerbate misconduct. Starting in 2020,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s recruited and trained instructors to teach The Rights-Based Korean Police Peer Intervention Program among incumbent police. Since than, in 2022, 20% of all police stations will be designated as pilot management offices, and mass-produced instructors will educate front-line police on fellow intervention programs. As such, This program continues to spread. Currently, the main content of the Korean-style human rights-based police peer intervention program is the character of each technical and microscopic approach, such as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The program, Disadvantages that may occur when fellow police who discover unjust or unlawful conduct do not intervene and intervention method, etc. Theoretic and macroscopic approaches, such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eer intervention, are relatively deficient because they do not present any other theories other than Active Bystandership. This lack of theoretical background may lead to poor understanding of peer intervention and poor empathy formation to the need for peer intervention. As a result, police officers who have learned this educational program may not use the learned program when they encounter situations requiring peer intervention. or Problems such as public complaints can be caused by distorted peer intervention that deviates from the original purpose. Repeated situations like this can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a peer intervention program is not neede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educational comprehension of the peer Interven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main contents of this program. In addition, I studied the US colleague intervention program,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The Rights-Based Korean Police Peer Intervention Program. and I would like to propose a more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design by includ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conformity and obedience, which may become an obstacle to the ethical police activity of peer intervention, in the educational content. 한국형 인권기반 경찰 동료개입프로그램이란 경찰의 부당 행위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인지한 동료 경찰이 즉각 개입하여 부당행위의 유지 및 악화를 예방하는 프로그램으로 경찰청은 2020년부터 현직 경찰 중 한국형 인권기반 경찰 동료개입프로그램을 교육할 강사를 모집·양성하였다. 이후 2022년 전 경찰관서 중 20%를 시범운영 관서로 지정하여 양산된 강사들에게 일선 경찰을 상대로 동료개입 프로그램을 교육하는 등 한국형 경찰 동료개입프로그램의 확산을 위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현재 한국형 인권기반 경찰 동료개입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본 프로그램이 나오게 된 배경, 부당·불법한 행위를 발견한 동료 경찰이 개입하지 않으면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 및 개입하는 방법 등 기술적이고 미시적인 접근의 각론 성격이 주 내용을 이루고 있다. 반면에 동료개입의 이론적 배경과 같은 원론적이고 거시적인 접근은 적극적 주변인(Active Bystander) 이외의 다른 이론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 상대적으로 부족한 면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의 결여는 동료개입에 대한 이해 궐여와 동료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 부족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는 본 교육 프로그램을 학습한 경찰이 동료개입 필요 상황을 마주쳤을 때 동료개입을 하지 않거나 본래의 취지를 벗어난 왜곡된 동료개입으로 민원 야기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황이 반복되다면 동료개입 프로그램 무용론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동료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본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한국형 인권기반 경찰 동료개입프로그램의 시발점이 된 미국의 동료개입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동료개입이라는 윤리적 경찰 활동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동조와 복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교육내용에 포함함으로써, 좀 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설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