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또래관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도혜인 ( Do Hye-i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4 아동교육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그릿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초등학생 4~6학년 45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릿을 통한 부분 매개효과도 확인하였다. 이것은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릿 발달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등의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gri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s perceived by children,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peer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55 4th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child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peer relationships,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grit was also confirmed. This suggests that support for various programs to develop grit is needed for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adjusting to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 KCI등재

        거짓 탐지와 뇌과학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활용한 거짓 탐지

        최예라,김상준,도혜인,신경식,김지은,Choi, Yera,Kim, Sangjoon,Do, Hyein,Shin, Kyung-Shik,Kim, Jieun E.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5 생물정신의학 Vol.22 No.3

        Since the early 2000s, there has been a continued interest in lie detection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in neuroscience and forensic sciences, as well as in newly emerging fields including neuroethics and neurolaw. Related fMRI studies have revealed converging evidence that brain regions including the prefrontal cortex, anterior cingulate cortex, parietal cortex, and anterior insula are associated with deceptive behavior. However, fMRI-based lie detection has thus far not been generally accepted as evidence in court, as methodological shortcomings, generalizability issues, and ethical and legal concerns are yet to be resolved. In the present review, we aim to illustrate thes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fMRI-based lie det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