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복식에 표현된 선(線)의 미(美)에 대한 고찰

        都周衍,權瑛淑 服飾文化學會 2000 服飾文化硏究 Vol.8 No.2

        The study is on the beauty of the line in the Cho-sun Costume. In the aspect of the Costume Aesthetics and Study of Clothing Design, I try to find the beauty of the line in the external form and the immanent beauty of the external line in the Cho-sun Costume. The results of the study is that: 1) The beauty of the line external form have ① the functional beauty of the line ② the beauty of draped line ③ combination of the line of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④ the beauty of wearing with the Chi-ma. ⑤ the beauty of sharp line in the ornamenats 2) The immanent beauty of the line in the Cho-sun Costume: There are a natural beauty found by the reason of nature, temperate beauty, simple beauty in the Cho-sun Costeme.

      • KCI등재

        조선시대 남자복식에 표현된 선(線)의 미(美)

        都周衍,權瑛淑 服飾文化學會 2000 服飾文化硏究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and extemal line beauty of men's dress of the Chosun period from the views of dress design and dress aesthetics. 1) External Line Beauty of Men's Dress of the Chosun Period ① Functional Beauty: Having the beauty of functional line in terms of convenience, notion, effectiveness, practice and sanitation. ② Structural Beauty: H77ing the beauty harmonizing between lines of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s. ③ Ornamental Beauty: Having the beauty of simple line by mashing accessories (gat, fan, sejodae, shoes) with a simple dress. ④ Wearing Beauty: Making tall-looking or expressing a mature masculine beauty by a visual mistake caused by a combin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al beauty lines. 2) Internal Line Beauty of Men's Dress of the Chosun Period Including a simple but natural beauty based on natural philosophy, the beauty of courtesy emphasizing official hat and dress and the beauty of dress having aesthetic consciousness with which people enjoy an idyllic life.

      • KCI등재

        Costume Images of the Chosun Period`s Po for Men ( Part 1 ) : Constituent factors , Type , Reflection of the Period 남자포제 이미지구성 요인 및 유형별,시기별 복식이미지

        Kwon, Young Suk,Do, Ju Yeun 한국의류학회 2001 한국의류학회지 Vol.25 No.10

        본 연구는 조선시대 남자 포제(袍製)에 나타난 복식이미지의 구성요인을 밝히고 남자포제 유형별(철릭, 답호, 직령, 도포, 창의, 주의), 시기별(전기, 중기, 후기) 복식이미지를 알아봄으로서 조선시대 남자포제가 가진 복식이미지를 밝혀 현대 전통복식 디자인에 응용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의복 자극물은 남자 평상복을 중심으로 하여 조선초기(1477년∼1543년)의 남자 포재로는 철릭, 답호, 직령 3점과 조선중기(18세기)는 도포, 창의 2점, 조선후기(19세기 후기∼20세기 초)는 주의 1점으로 하였고, 당 시대의 정확한 복식이미지를 살펴보기 위해 유물을 복원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것을 모델에게 착장시켜 슬라이드로 제작한 후 자극물로 제시하였다. 의미미분척도의 구성은 자유언어연상법으로 형용사를 수집하여 23쌍의 형용사쌍을 구성하였다. 패널단은 대학생 남·여 총 600명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AS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분산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1. 조선시대 남자 포제의 요인구조는 품위성 요인(25.2%), 활동성 요인(14.2%), 관할성 요인(10.9%), 현시성 요인(6.7%), 경연성 요인(5.7%)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 5개 요인의 전체변량 62.7% 중에서 품위성 요인, 활동성 요인, 관할성 요인이 전체변량의 50%를 넘어서 이 세 요인이 남자 포제에서 기본적으로 느껴지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2. 조선시대 남자 포제 유형별 복식이미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철릭은 가장 부자연스러운, 곡선적인, 부드러운, 특이한 이미지의 포제로 나타났으며, 답호는 가장 절제된, 직선적인, 딱딱한, 특이한 이미지로, 직령은 가장 비활동적인, 답답한, 전통적인 이미지로, 도포는 가장 품위있는, 관할한 이미지로, 창의는 다른 포제에 비해 평범한, 단순한, 이미지로, 주의는 가장 품위 없는, 일상적인, 활동적인, 단순한, 순수한 이미지의 포제로 평가되었다. 모든 남자포재가 전통적, 순수한 이미지의 포제로, 철릭을 제외한 모든 포제가 단순한 이미지로 나타나 조선시대 남자 포제가 공통적으로 가지는 이미지는 단순하고 순수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남자 포제의 시기별 복식이미지에서는 조선전기(철릭, 답호, 직령)의 포제는 관할성 요인이 높은 의례적인, 관할한, 특이한 이미지로 평가되었고, 조선중기(도포, 창의)의 포제는 품위있는, 절제된, 풍성한 이미지로 평가되었으며, 조선후기(주의)의 포제는 활동적인, 단순한, 직선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대별 남자 포제의 이미지는 시대적 여건과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며, 시대에 따라 추구하는 이미지가 달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Hairstyle 변화에 의한 얼굴 이미지 요인과 분석 : Computer Graphic simulation 을 이용하여 using by Computer Graphic Simulation

        도주연,권영숙 한국의류학회 1992 한국의류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nalyze factor stucture and the face image to hairstyles which was made by Computer graphic simulation. To select ten hairstyle, a standard face selected between women of 20-25 years, and four factor (straight, curl, hair length, front hair, part hair) which were made of stand of hairstyle were appl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ace image factor by hairstyle variation were found to five factor; negative and pogitive, indivisuality, youthfulness, unbanity, intelligence. 2. The result of analysis to face image by hairstyle factor were (1) In the hair state, straight hair was explained by the youthful, pure, decent image than curl. (2) In the hair length, the longer hair was explained by the more feminine, softness image. The shorter hair was explained by the more vigorous, youthful image. (3) In the presence of front hair, bang hair was explained by the commonness, moderate, classical image than all back hair. (4) In the part hair, part hair was explained by the modern and unbanity image than no part hai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