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전통 창호의 현대적 공간 적용에 관한 연구

        다나카미카 ( Mika Tanaka ),한태권 ( Taekwon Han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전통 주거 공간은 사람이 사는 곳이며 그 시대의 사람들의 삶에 맞는 양식으로 발달해 왔다. 집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도 창호는 건축물의 내·외관적 중요 요소 중 하나이고 시대의 흐름에 따른 특성을 가진다. 전통 창호의 공간 특성은 현대에도 계승되고 있으나, 한국과 일본의 전통 창호들의 특성이 현대 공간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비교 연구함으로써 한국과 일본 공간 디자인의 특성에 대해 도출하고 분석하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전통 창호의 개념과 역사, 한국과 일본 각 나라의 전통 창호에 대한 특성, 공간과의 관계성을 정리하여 비교 분석한 다음, 한국과 일본의 전통 창호의 공간 특성을 도출하여 현대적 공간에서 볼 수 있는 전통 창호의 적용 유형에 따라 분석한다. 적용 유형은 크게 창호, 가구, 장식 등의 사용법을 볼 수 있었으나, 많은 현대적 공간 중 이러한 전통 창호의 요소가 현대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카페 공간을 중심으로 사례를 선정하여 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한국과 일본 모두 가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통적 공간 연출의 요소인 정서성과 조형성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의 계승이 중요한 면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계성은 한국보다 일본의 사례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용 유형으로는 한국이 일본보다 더 다양한 유형으로 전통 창호를 적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사례분석을 통해서 한국과 일본 모두 전통적 공간 연출 요소라 할 수 있는 정서성과 조형성이 강조된 사례가 많았고 반면 가변성이 떨어지는 사례가 많았다. 이는 현대적용 사례에서 전통을 계승하면서 현대 생활양식에 맞게 전통 창호를 활용하고 있다고 판단되며, 한국에서는 주로 공간디자인 요소로써, 일본에서는 주로 창호로써 현대적으로 적용되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전통 창호를 가지고 공간 특성을 정서성, 조형성, 가변성, 연계성의 4가지 요소로 카페 공간에 한정하여 연구하였고 이를 통해 각 나라의 공간 디자인의 특성을 엿볼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좀 더 확대하여 비교 분석을 통하여 두 나라의 더 많은 특성을 도출하여 한국과 일본의 공간 디자인 특성 비교 분석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raditional housing spaces are spaces where people live and where they have developed based on the lifestyle of the people of the age. Among housing elements, windows are significant elements of interior and exterior structures, and they have uniqu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space design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n how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and Japanese windows are applied in modern spaces. (Method) First,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oncept and the history of traditional wind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windows of Korea and Japan, and their relevance with the space by reviewing books, theses, and so on. Second, through the aforementioned comparative analysis, four types of analysis elements, namely, emotionality, formativeness, connectivity, and variability, with regard to the traditional windows of Korea and Japan were derived. Third, several applications of traditional windows that can be seen in modern spaces, furniture, interiors, and decorations were found, and this study analyzed cafe spaces, which have used the abovementioned applications, based on the previously suggested spatial characteristics. (Results)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both Korea and Japan had low variability. On the other hand, emotionality and formativeness were found to be high, which means that tradition has persisted. Regarding connectivity, the cases from Japan showed higher connectivity than those from Korea. In addition, with respect to applications, Korea applied traditional windows in more various forms than Japan. (Conclusion) Based on the case analysis, both Korea and Japan use traditional windows according to modern lifestyles while succeeding in maintaining tradition in modern application cases. Furthermore, traditional windows are used for interior design in Korea and for windows and doors in Japan. This study looked into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windows of Korea and Japan.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differed when cafe spaces were analyzed based on emotionality, formativeness, variability, and connectivity.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tinu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design between Korea and Japan by examining mor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expanding the scope of the research.

      • KCI등재

        출판사 신문관의 단행본-잡지사업 및 일본 출판계와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다나카 미카 상허학회 2020 상허학보 Vol.60 No.-

        This paper examines Shinmungwan Publishing Company’s books in order to uncover the influence of Shinmungwan’s magazine business and the Japanese publishing world at that time, especially focusing on the series such as Shipchon-chongso십전총서, Bonyok-sosol 번역소설 and Yookchon-sosol 육전소설, which were published between editions of Sonyun 소년 and Cheongchun 청춘. Shipchon-chongso, the first of Shinmungwan’s series, aligned with the concept of Sonyun, which aimed to train ‘boys’ to have spirits strong enough for them to be responsible for the future of the country. The same original texts are translated in both publications, therefore it would seem that the books and magazine are related. However, Shinmungwan focused on the publication of magazines and offered the books as a supplement to the magazines. Although this kind of plan for series was rare in Korea at that time, many series were published in Japan during the same period. Choi Nam-seon, who had studied abroad in Japan, was translating Japanese series for his magazines, including Sonyun, so it is highly probable that he thought of publishing cheap series from the Japanese publishing world, including Yookchon-sosol, which was a reprint of a classical. Actually, most Bonyok-sosol were translations of the books from Naigaishuppankyokai內外出版協會, which shared the policy of emphasizing mental discipline with Shinmungwan. Shinmungwan translated several of Naigaishuppankyokai’s publications but also used illustrations and designs from Hakubunkan博文館, the major publishers in Japan, to create original content. Though Shipchon-chongso and Bonyok-sosol were translated in Hangul, Bonyok-sosol differed from magazines; they were not only translated into Hangul, new Korean words were increasingly employed in the translations. When compared with children’s magazine such as Aideulboi 아이들보이 and Bulgeun Jeogory 붉은 져고리, it is obvious that use of Korean words is not exhaustive enough and the translation as a whole is imperfect. An analysis of translation indicates that Bonyok-sosol was a preliminary step in the usage of new Korean words in children’s magazines. As mentioned above, the series was positioned to complement magazines, Shinmungwan’s main publications. It is possible that the series had an experimental role in Hangul translation and the creation of new Korean words, which were characteristic of children’s magazines. Some of these series are a translation of Japanese publications and seems to have been partly influenced by the projects and formatting of the series by Japanese Publishers. Therefore, not only the magazines but also the books confirm Shinmungwan’s relationship with the Japanese publishing world. 본고에서는 신문관 단행본에 관하여 특히 『소년』과 『청춘』 사이에 간행된 ‘십전총서’나 번역소설, ‘육전소설’ 등 시리즈 서적에 착안하여 잡지사업 및 일본 출판계와의 관계성이라는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했다. 신문관의 첫 총서인 ‘십전총서’는 나라의 장래를 짊어지는 굳건한 정신을 가지는 ‘소년’ 양성을 목표로 했던 『소년』과 컨셉이 일치하며, 또 공통된 번역 저본을 이용하고 있어 단행본과 잡지와의 관련성이 엿보인다. 다만 잡지 간행에 중점을 두었던 신문관은 단행본을 잡지를 보완하는 것으로 삼고 있었다. 이러한 총서기획은 당시의 조선에서는 새로운 것이었는데, 같은 시기의 일본에서는 이미 다수의 총서가 간행되고 있었다. 일본 유학 경험이 있는 최남선은 실제로 『소년』 등 잡지에서 일본 총서를 번역하고 있으므로 고전 복간인 ‘육전소설’을 포함한 저렴한 총서기획의 구상을 일본 출판계에서 얻었을 가능성이 높다. 내용면에서도, 예를 들어 번역소설은 그 대부분이 내외출판협회(內外出版協會)의 단행본을 번역한 것이었다. 정신수양을 중시하는 내외출판협회와 방침이 일치한 신문관은 내외출판협회의 간행물을 다수 번역하면서도, 삽화나 디자인과 같은 형식면에서는 대형 출판사였던 박문관(博文館)의 간행물을 이용하는 등 독자적으로 내용을 재구성하고 있었다. 또 단행본과 잡지의 관련성을 번역의 측면에서 분석하면, 우선 ‘십전총서’는 잡지와 달리 거의 한글로 번역되고 있는데, 이후에 간행된 번역소설에서는 원문의 한자어가 한글로 표기될 뿐만 아니라 고유어의 번역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이들보이』나 『붉은 져고리』 등 아동잡지와 비교하면 그 고유어 표기는 철저하지 않고 번역 자체도 불완전하다. 이러한 사실은 번역소설이 아동잡지에서의 고유어 표기를 향한 전단계였던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신문관의 시리즈 서적은 주력상품이었던 잡지를 보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아동잡지의 특징인 한글표기나 고유어 창출이 시도되고 있어, 잡지간행을 향한 실험적인 역할도 하고 있었다. 또 그 내용에서 일부 일본 출판사 간행물이 번역되어 총서기획이나 형식면에서의 영향도 엿보이는 등 잡지뿐만 아니라 단행본에서도 같은 시기의 일본 출판계와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지역사회간호 연구 동향 고찰

        유호신,다나까 미카,아리따 쿠미,조정현 지역사회간호학회 2010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research trends for community health nursing between Korea and Japan. Methods: Comparison was made in terms of research design, data collection and sampling method, and key concepts from community health nursing research by literature review. We analyzed original articles from representative Journals covering community health nursing research from 2004 to 2008. Results: We found that research design was quite differ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was dominant in Korea, while qual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designs were used equally in Japan. In particular, outcome research was found only in Korean papers. Conclusion: Based on the comparison,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related to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research concepts and methods observed in each country. It is suggested that future collaboration should be undertaken especially to improve the diversity of research design and method. More diverse research designs should be used in both countries. Particularly in today s aged society, evidence‐based research and outcome research are needed for community health nursing in both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