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Wafer Spin Coating 공정에서 증발과 용액이 박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영미,임익태,김광선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03 한국반도체장비학회지 Vol.2 No.1

        The fluid flow, mass transfer, heat transfer and film thickness variation during the spin coating process are numerically studied. The model is said to be I-dimensional because radial variations in film thickness,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are ignored.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is employed to solve the equations that are simplified using the similarity transformation. In early time, the film thinning is due to the radial convective outflow. However that slows during the first seconds of spinning so the film thinning due to evaporation of solvent becomes sole. The time varing film thickness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wafer spin speed, the various solvent fraction in the coating liquid, and the various solvent vapor fraction in the bulk of the overlying gas during the spin coating is estimated.

      • KCI등재

        1950~70년대 약혼사진 촬영의 의례화

        노영미 비교민속학회 2023 비교민속학 Vol.- No.78

        이 글은 1950~70년대에 나타난 약혼사진 촬영의 의례화에 주목했다. 1950~70년대의 약혼문화는 사진 도입으로 급속하게 변화했다. 전통혼례에서 사주단자는 혼인을 약속한 증표로서 중요하게 기능했다. 그러나 약혼사진이 이미 존재하고 있던 사주단자의 기능을 수행하고, 나아가 그 이상의 효용성 띠게 된다. 혼례에 빠르게 수용된 약혼사진은 약혼의 표상이 되었다. 1950년대에 농어촌에서 맞선 문화가 확산하고, 영업 사진관 수가 증가하여 일생의례 사진의 대중화가 시작될 때, 약혼사진도 출현했다. 초기 약혼사진 촬영은 신랑신부 주도로 기념과 이벤트, 그리고 신문화 소비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이후 약혼사진이 자신이 보여주는 것을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증명하고, 보여주는 대상들의 영속적인 결속을 상징했다. 이 ‘증명’과 ‘결속’은 의례화 요소인 ‘전통성’과 ‘상징성’에 기인한다. 또한, 약혼사진 촬영은 신랑신부가 혼례의 전이기를 건너뛰고 통합기로 들어서게 하는 의례적 기능을 수행했다. 사주단자가 ‘약혼=결혼’이라는 기능을 했다면, 약혼사진도 객관성과 가시성을 바탕으로 약혼한 신랑신부를 부부로 인식하게 하였다. 이때, 약혼사진이 강력한 구속력을 지니고 파혼과 같은 불행한 일에 맞서는 방어수단으로 기능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itualization of taking engagement photos that appeared in the 1950s to 1970s. The engagement culture of the 1950s to 1970s changed rapidly in conjunction with the popularization of studio photography. In traditional weddings, the Sajudanja(letter to the house of the fianc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token of promise to marry. However, the engagement photo fulfills the function of an already existing invocation, and furthermore, it becomes more useful than that. Engagement photos were quickly accepted at weddings and became a symbol of engagement. In the 1950s, when the Majseon(see each other with a view to marriage) culture spread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the number of photo studios increased, and the popularization of ceremonial photos began, engagement photos also appeared. Initially, engagement photo shoots were conducted by the bride and groom for commemoration, events, and consumption of new culture. Afterwards, the engagement photo scientifically and rationally proved what was being shown and symbolized the permanent bond of the subjects being shown. This ‘proof’ and ‘solidarity’ is due to the ritualization elements of ‘tradition’ and ‘symbolism’. Of course, it is not just tradition or symbolism that played a role in making engagement photos a ritual. Additionally, the engagement photo shoot performed a ritual function that allowed the bride and groom to skip the transition period of marriage and enter the integration period. If the Sajudanja had the function of ‘engagement = marriage’, the engagement photo also made the engaged bride and groom recognized as a married couple based on objectivity and visibility. At this time, the engagement photo had a strong binding force and functioned as a means of defense against unfortunate events such as the breakup of an engagement.

      • KCI등재

        사진관과 예식장 경영자의 구술생애사로 본 혼인문화의 전개

        노영미 한국구술사학회 2014 구술사연구 Vol.5 No.2

        이 연구는 구술생애사(oral life-history)를 통한 문화연구라 할 수 있다. 구술사란 역 사의 길 위에 남아 있는 또 다른 발자취로서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뿌연 먼지에 덮인 발 자취(기억)이다. 구술을 통해 그 먼지가 걷히고 난 후에 드러난 발자취는 구술사가 된다. 또한 개인의 삶이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구술생애사가 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구술생애 사를 통해 근대 사진관과 예식장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서 사진문화와 혼인문화의 전개 를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 중에 사진관과 예식장의 긴밀한 연관성을 밝혀낸 연구가 없으 며 더욱이 구술생애사적으로 접근한 연구도 없으므로 이 연구는 구술생애사적 연구 분야 를 좀 더 확장하였다고 할 수 있다. 김동욱의 아버지인 김남용은 1930년대 중반에 일본인으로부터 취미로 사진을 배우기 시작한 계기로 충남 서천군 길산에서 1930년대 후반에 사진관을 개업하였다. 당시에 조 선인에 의해서 운영되는 사진관이 전국적으로 늘어가는 시기였다. 김남용은 길산보다 장 항이 더 경기가 좋아지자 1946년도에 장항으로 이전을 한다. 장항에서 1960년대까지는 혼인식을 신부집 마당이나 교회에서 올렸기 때문에 김남용은 출사를 많이 다녔다. 그러다 차츰 사진관의 스튜디오에서 간단히 예식을 올리고 사진촬영도 하기를 원하는 신랑신부 가 늘어났다. 이때부터 김남용은 사진관의 스튜디오를 예식에 어울리는 배경으로 바꾸어 예식을 진행하였다. 사진관의 예식이 차츰 늘자 김남용은 1968년에 사진관을 증축하고, 그 후 1971년에 넓은 정원이 있던 자리에 별관을 지어 예식을 전문으로 진행하였다. 이때에 장항에서 유 일한 예식장이었기 때문에 예식이 아주 많았다. 1953년도에 도민증으로 호황기를 보내 고 1960년대에는 학교 졸업 앨범으로 호황기를 보내고 다시 예식장을 경영하면서 호황 기를 맞이한다. 이상과 같이 김동욱의 구술생애사는 장항의 미라미사진관/예식장이 어떻게 변화해 왔 는가를 보여주므로써 근대적 사진문화와 혼인문화의 전개를 일부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 를 통해 근대 사진관이 혼인식 사진 때문에 신부집이나 교회를 대신한 예식 장소로 선호 되면서 전문 예식장으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진이 일반사람들에게 보급된 후 혼 인의례에서 혼인식이 가장 중요한 절차로 인식되는 것처럼 이 혼인식을 담은 사진도 매 우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혼인식은 혼인을 사회적으로 공표하기 위한 의식이고 이때 촬영 한 원판사진은 혼인을 증명하게 된다.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사진이 매개가 되어 사진관 이 예식장으로 변화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농촌에 서양식의 혼인식이 보급된 것은 1960년대라고 하였고 예식 장이 보급된 것은 1970년대라고 하였다. 그러나 농촌지역의 예식장들이 어떻게 보급되 었는가에 대해서는 밝혀내지 못하였다. 미라미예식장의 형성과정은 1970년대 농촌지역 예식장들이 어떻게 보급되었는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can be described as a cultural study through oral life-history. Oral life-history is a footprint (memory) covered with a cloud of dust over a long period of time as another footprint left on the historical road. The footprint appears after the dust clears as an oral statement becomes an oral history. In addition, a person’s life becomes an oral life-history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photographic and marriage cultures while investigating the formation of modern photographic studios and wedding halls through oral life-history. There have been no previous studies clarify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ic studios and wedding halls, and furthermore there have been no such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oral life-history. Therefore, this study extends the field of research on oral life-history. Kim Nam-yong (김남용), the father of Kim Dong-uk (김동욱), began to learn photography from a Japanese person in the mid-1930s and then opened a photographic studio in Gilsan (길산; 吉山), Seocheon-gun (서천 군; 舒川郡), Chungcheonnam-do (충청남도; 忠淸南道) in the late 1930s. At that time, there was an increase in Koreans who operated photographic studios nationwide. When the economy improved in Janghang (장항; 長 項) more than Gilsan, Kim Nam-yong moved to Janghang in 1946. In Janghang, wedding ceremonies had been held in the gardens of brides’ families or churches until the 1960s. Therefore, Kim Nam-yong frequently visited these places to take photographs. Gradually, more and more brides and grooms wanted to have a small wedding ceremony in the photographic studio and then to have their photograph taken there. Subsequently, photographic studios were used as a wedding hall when a wedding ceremony was held. As described above, Kim Dong-uk shows how the Mirami Photographic Studio/Wedding Hall in Janghang has changed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modern photographic and marriage cultures through oral life-history. This study shows that modern photographic studios changed to wedding halls as they became preferred as a wedding venue instead of gardens of brides’ families or churches. As the marriage ceremony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procedure among marriage rituals since photographs have been popularized, photographs have been regarded as important to this marriage ceremony. A marriage ceremony is held to socially announce the marriage, and the original photograph taken at the time proves the marriage. Based on this concept, it is shown that photographic studios changed to wedding halls through the medium of photograph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Western marriage ceremonies were prevalent in rural areas in the 1960s and wedding halls in the 1970s. However, they failed to demonstrate how wedding halls became prevalent in rural areas. I argue that the formation of the Mirami Wedding Hall is a clear example of how wedding halls were popularized in rural areas in the 1970s.

      • KCI등재

        한산모시짜기 모시농업 도구의 변화 -1950~60년대 ‘대칼’을 중심으로-

        노영미 실천민속학회 2022 실천민속학연구 Vol.40 No.-

        이 연구는 한산모시짜기 모시농업에서 쓰였던 ‘대칼’의 사용 시기 및 형태 변화에 대하여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칼은 1960년대까지 사용되었으며, 모시칼은 1950년대에 출현해서 1970년대에 보편화되었다. 대칼의 형태는 1950년대에 일자형이었으나, 1960년대에 모시칼을 닮은 기역자형으로 바뀌었다. 그러므로 전통직조기술인 한산모시짜기가 1950년대 이전의 서천군 모시짜기 문화를 전형으로 삼는다면, 대칼을 전형으로 삼아야 한다. 또한, 모시농업 농민들은 일자형 대칼보다 기역자형 대칼이 모시 훑기 작업에 유리했다고 인식했다. 모시 훑기에서 껍질을 누르는 면적이 넓고, 손과 팔을 밀어내는 자세를 취하는 기역자형 대칼이 작업 능률 면에서 일자형 대칼보다 우수했음을 확인했다.

      • KCI등재후보

        혼례에서 남녀위치의 변천

        노영미(Noh, Young-Mi)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8 民俗硏究 Vol.0 No.37

        이 글은 전근대기부터 근대기까지의 혼례식 남녀위치의 변천을 살펴본 것이다. 혼인서약과 성혼기념 사진촬영 시의 남녀위치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예에 근간을 둔 혼례식의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인 `신랑과 신부의 위치`가 어떻게 규범화되었는지와 어떠한 질서유지의 장치로 기능하였는지 알 수 있었다. 전근대기 혼례식의 남녀위치는 `서동부서(壻東婦西)`와 `서서부동(壻西婦東)`으로 나뉘었다. `서동부서`는 주자가례의 친영에 따라 혼례식을 신랑집에서 행할 경우의 남녀위치라 할 수 있으며, `서서부동`은 혼례식을 신부의 집에서 행할 경우의 남녀위치라 할 수 있다. `서동부서`는 신랑이 동쪽에 신부는 서쪽에 위치하는 `왼쪽 우선` 및 `남성 우선`의 남녀위치이며, `서서부동`은 신랑은 손님이므로 서쪽에 신부는 주인이므로 동쪽에 위치하는 `주동객서`의 남녀위치에 해당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신부의 집에서 혼례식을 행한 전근대기에 `서동부서`와 `서서부동`이 혼재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근대기 신식혼례식의 남녀위치는 주례의 시선으로 오른쪽에는 신랑이 왼쪽에는 신부가 위치했다. 이는 서양 기독교문화의 `오른쪽 우선`이 유교의 `남녀유별사상`과 만나 토착화되면서 출현한 한국만의 독특한 개신교적 남녀위치에서 출발하였다. 즉, 근대에 등장한 상업적인 전문 예식장의 혼례식이 당대 개신교 혼례식 형태를 따르면서 개신교적 남녀위치도 함께 근대기 신식혼례식의 대표적인 남녀위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또한 혼례사진 촬영 시의 남녀위치도 사진 수용 초기부터 `왼쪽 우선`의 전통적 남녀위치를 따르지 않고, `오른쪽 우선` 관념의 서양문화를 따랐다. 인물을 기준으로 위계가 높은 사람을 상대적으로 위계가 낮은 사람의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하였으며, 여성의 오른쪽에 남성이 위치하도록 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와 같이 전근대기부터 근대기까지 혼례식 남녀위치의 규범화가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가부장적인 `남성 우선`의 관념이 시대를 초월하여 관통했다고 볼 수 있다. 곧, 혼례식의 남녀위치가 남성중심적 사회 질서를 구현하는 데 기여하는 요소로 작용했던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itional shift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at the wedding ceremony, especially focused on the position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when they exchange wedding vows and take commemorative photograph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he position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standard rules of the wedding ceremony based on the courtesy, has become the norm, and how it functions as the mechanism to maintain the social order. In the pre-modern times, the position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at the wedding ceremony can be divided into two: One is the bridegroom stands in the east and the bride in the west, the other is the bridegroom stands in the west and the bride in the east. The former is according to the custom called `Chinyoung`, one of the Confucian ritualism, meaning that the groom himself goes to the house of the bride to greet the bride, when the wedding is held at the groom`s house. The latter is when the wedding is held at the bride`s house. In the fashion that the bridegroom stands in the east and the groom in the west, the left and the male take priorities. On the other hand, in the fashion that the bridegroom stands in the west and the bride in the east follows the rule of the host standing in the east and the guest in the west. In other words, the groom, who is treated as a guest, stands in the west, and the bride, who is seen as the host, stands in the east. In pre-modern times, however, the wedding is generally held in the bride`s house, so it is supposed that the both practices mentioned above were held equally. In modern times, the bridegroom stands in the east and the bride in the west from the officiant`s at the new mode of the wedding. This is the combination of the two religious beliefs: Christian idea, the right-first and Confucian idea,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In belongs to Christian position of the man and the woman, which is very unique in Korea. The wedding ceremony in the modern business wedding hall observes the contemporary Christian wedding custom. Consequently, Christian position of the man and the woman take roots in the modern wedding ceremony as the typical position. When the newly-weds take the commemorative photos, the position of the couple doesn`t follow the traditional position of the man and the woman but complies with the western idea of the right-first. At the very beginning, when taking wedding photos, those in higher hierarchy stand in the east of those in the relatively lower hierarchy, the man tends to stand in the right of the woman. To sum up, from the pre-modern times to the modern times, the position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has been standardized, which helps the patriarchal concept transcend time. In other word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osition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has played a role in developing male-oriented social order to some extent.

      • KCI등재

        한산모시짜기 전승지식의 변화

        노영미(Noh, Yeong-Mi) 비교민속학회 2015 비교민속학 Vol.0 No.56

        이 연구는 중요무형문화재이고 세계인류무형유산인 한산모시짜기(이하 모시짜기)에 관한 전승지식이 다양한 변화요인에 따라 어떻게 지속되고 변화되는지에 대해서 현지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것이다. 옛날방식대로 전승되고 있다는 전통직조기술인 모시짜기의 지식 변화를 1970년대 이후에서 2014년까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시짜기와 관련된 전승지식이 전승집단, 도구와 환경, 분업화와 세대차이라는 변수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대해서 자세히 밝혔다. 제대로 된 전통무형문화 연구를 위해서는 과거와 지금의 모습을 모두 제대로 들여다보아야 한다. 1970년대 산업화 이전의 모시짜기만이 무형문화재이며 전통직조기술이라고 보는 것을 지양해야 하는 것이다. 이른바 현재의 전승양상과 전승지식에도 관심을 기울여 조사하고 연구해야 할 책임이 지금을 사는 우리에게 있는 것이다. This study has analyzed how the transmission knowledge of weaving Hansan Mosi (here in after called weaving Mosi)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has been transmitted and chang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factors based on the onsite inspection materials. I have particularly taken in-depth look into how the transmission knowledge of weaving Mosi (fine ramie), a traditional weaving technique that is known to long been transmitted without much change from its traditional method changed during the period between 1970s and 2014.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transmission knowledge of weaving Mosi has consistently changed while being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due to several variables, including transition group, tools and environment, specialization and generation gap, and I took a close look at them. Studying on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es in proper manner requires a holistic view of both the past and the present at the same time. That is, we should avoid a generalized view that weaving Mosi in 1970s prior to full-scale industrialization only is our intangible culture and traditional weaving technique. We are responsible for investigating and studying on the transmission pattern and transmission knowledge of today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