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댐 건설 전 후 내성천 수·생태환경 비교 분석

        노연정 ( Yeonjung Noh ),홍은미 ( Eunmi Hong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2008년 정부가 추진한 4대강 사업으로 많은 보와 댐이 시공됐다. 댐이 하천 유속을 감소시키면서 SS (suspended solid), T-P (Total Phosphorus)가 감소된 반면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TOC (Total Organic Carbon)등이 증가하고 녹조류의 대량번식이 발생하면서 대부분의 하천에서 사업후의 수질등급이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다. 가장 최근에 시공된 영주댐 또한 녹조류의 대량번식으로 수질문제가 불거졌다. 영주댐은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낙동강 중하류 수질 개선과 하천 유지용수 확보를 위해 내성천 상류에 건설되었다. 상류에 4개의 댐이 건설되면서 내성천은 급격한 환경 변화에 직면했다. 본 연구에서는 영주댐 건설 전 후의 내성천 유역 환경 수질분석을 통해 영주댐건설이 내성천 유역 환경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댐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영주댐 건설 전후 내성천의 수질비교를 위하여 환경부가 제공하는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연구지역내의 댐 상류1개 지점(토일천) 과 4개의 댐(영주댐4, 3, 2, 1), 하류 12개 측정지점(내성천4, 영주서천, 영주서천2, 내성천5, 옥계천, 석관천, 내성천1, 내성천2, 한천, 내성천3-1, 북계천, 금천)에 대한 2001-2020 월별 수질 데이터를 활용했다. 분석항목으로 pH, DO (Dissolved Oxygen), BOD, COD, SS, T-N (Total Nitrogen), T-P, TOC, 수온(℃), EC (Electrical Conductivity), 총대장균군 (Total Coliform Bacteria)을 지정하였으며, 영주댐 건설 전후를 각각 2001-2016, 2017-2020으로 설정하고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건설 전후의 수질 비교를 통해 각 측정항목들에 대한 변화를 분석했다. 댐 시공 후 대부분의 하류 하천들에서 전보다 안정된 측정값이 관측되었다. 반면 총대장균군은 시공전보다 하천간의 변동 폭이 크게 증가함이 관측됐다. 또한 DO, SS의 감소와 BOD, COD의 증가가 관측되었다. 댐과 가까울수록 BOD의 증가정도가 컸으며, COD 또한 방류수인 ‘내성천4’ 지점에서 가장 크게 증가함이 관측되었다. 본 연구는 댐 건설로 발생되는 수질변화와 그에 대한 대책방안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은유추출기법을 이용한 편의점내 식음공간 연출

        노연아(Noh, Yeon-Ah),한경수(Han, Kyung-Soo) 한국식공간학회 2021 식공간연구 Vol.16 No.1

        연구의 목적은 편의점 공간 변화를 인지하여 편의점내 식음공간 구성요소를 도출, 소비자 가치관 변화에 따른 소비패턴을 파악한 차별화된 식음공간 연출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소비자 잠재된 내면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은유추출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로 소비자의 편의점 공간 인식을 파악하였고 문헌고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편의점내 식음공간 구성항목을 도출, 내용요소를 분석하였다. 면접대상은 통계자료에 의해 편의점 공간 주 이용고객 25세에서 35세 12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소비자들이 인식한 편의점 공간 최종개념은 이용이 자유로운 휴식처와 같은 공간으로 판명되었다. 도출된 편의점내 식음공간 영역별 구성은 도입부 영역, 중심부 영역, 서비스 영역이었다. 도입부 영역은 입구, 카운터, 물품진열대로 상품구입 후 식음공간 가기 전까지이다. 중심부 영역은 섭취공간으로 소비자의 니즈에 따라 1) 개성적인 식음공간 2) 오락적 식음공간 3) 상업적 식음공간으로 구별하였고 서비스 영역은 간편식 섭취를 위한 부가기능을 행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편의점은 판매공간과 식음공간이 공존하지만 식음공간은 판매식품 필요성에 따라 형성된 영역이다. 따라서 단순 공간 분리가 아닌 소비자 식사를 위하여 마련한 식음공간임을 인식한 공간연출 계획이 필요하다. 결론에서 식음공간 연출을 제시하고 학문의 발전과 실무적 연구 방향,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fferentiated displays of dining space that reflects consumer’s change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new space composition in conveniece store(CVS). Zaltan Metaphor-Elicitation Technique that allows us to identify the inner psychology of consumers, was employed as methodology. How consumers perceive CVS was examined as its study instrument and the composition items of dining space derived from its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n their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Interviewees were 12 CVS users aged from 25 to 35, who are major main consumers according to statistical data. Consumers’ ultimate CVS perception turned out to be a space for freedom and rest. The dining space consists of entrance, main, and service area. The entrance area includes entrance, counter, and display stand before consumers reach the dining space. The main area is a place where intake occurs and is classified into 1,differentiated dining space, 2,entertaining dining space, and 3,commercial dining space. The service area is a space for additional function. CVS has both selling and dining space, and the latter is created by food consumption. In other words, CVS needs space display plan for meals, not simple space separation. The dining space display is shown and academic development, direction for its further practical study, and its limitations a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각막지형과 동공크기에 의한 굴절교정값의 변화

        노연수(Yeon Soo Noh),김상엽(Sang Yeob Kim),문병연(Byeong Yeon Moon),조현국(Hyun Gug Cho) 한국안광학회 2014 한국안광학회지 Vol.19 No.3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neal unique shape to changes of refractive full corrections when pupil size changes. Methods: Subjective refraction for monocular full correction was performed to 30 subjects (23.33±1.78 of age, 60 eyes) in two room conditions, 760 lx and 2 lx, respectively. Pupillary diameter was measured in two conditions and the change pattern was analyzed using a peak data of corneal topography. Results: Pupillary diameter was 3.74~4.00 mm in 760 lx and 5.52~5.90 mm in 2 lx. By comparison with refractive data in 760 lx, those data in 2 lx was changed as follows: more (-) spherical power of 17 eyes (28.3%), more (+) spherical power of 10 eyes (17.7%), more (-) cylinderical power of 17 eyes (28.8%), less (-) cylinderical power of 9 eyes (15.3%), and astigmatic axis rotation of 36 eyes (62.1%). From peak data of corneal topography, the changing pattern of two principal meridians was classified into 4 types. Conclusions: Expansion of the corneal refractive surface accompanied with pupillary dilation may be a main factor that effects the changing a values of subjective refraction because of unique corneal shape. Therefore, subjective refraction should be performed under the nearest lighting condition to a main living environment.

      • 어류 서식처 평가를 통한 한강 지류 생태유량 산정

        노연정 ( Yeonjung Noh ),홍은미 ( Eunmi Hong ),김성준 ( Seongjoon Kim ),박진석 ( Jinseok Park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하천 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수, 치수 목적만의 고려하던 과거와 다르게 환경기능까지 모두 고려한 하천 환경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기능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최적 유량에 대한 평가에는 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 개발한 어류에 대한 유량과 서식지 가용성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물리적 서식처 모형 Pysical HABitat SIMulation, PHABSI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PHABSIM은 가중가용면적(Weighted Useable Area, WUA)과 유량의 관계 곡선을 산출하여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PHABSIM을 이용하여 한강 지류의 5개 지점 원주천 치악교, 양화천 율극교, 복하천 흥천대교, 탄천 대왕교, 중랑천 신곡교에서 각 지점의 대표어종에 대한 가중가용면적을 산정하고 최적 생태유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유량은 한강 지류 5개 지점의 2012~2021년 데이터가 사용되었으며, 대표 어종으로는 원주천에서 돌고기가 양화천, 복하천, 탄천에서는 피라미가 그리고 중랑천에서는 참붕어가 사용되었다. 산정된 생태유량을 각 하천의 유지유량과 비교하였을 때 원주천, 양화천, 중랑천 지점에서는 생태유량이 기존의 유지유량 보다 작게 나타났다. 반대로 복하천, 탄천의 경우 하천 유지유량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5개 지점에서 생태유량은 대체로 갈수량~저수량 또는 저수량~평수량 사이 값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하천복구 또는 생태유량 유지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기준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신문기사 내용 분석을 통한 도시락 현황 연구

        노연아(Noh Yeon Ah),정혜승(Chung Hye Seung) 한국식공간학회 2017 식공간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가구구조의 변화로 급부상하고 있는 도시락의 현황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도시락 상품의 전략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3대 일간지의 도시락 기사를 수집하였으며, 총802개의 기사를 경제, 사회, 문화로 나누어 신문기사를 내용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문기사의 양은 2010년 경제 불황으로 도시락 브랜드가 붐이 일고 2012년에 편의점 도시락이 본격적으로 출시를 하게 되면서 꾸준히 증가하여 도시락의 관심이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제의 불황으로 도시락이 급부상은 하였지만 장기침체로 간편식의 도시락에서 사회구조가 변하면서 소비자의 니즈가 증가하고 세분화 되면서 도시락 전문점과 편의점, 그리고 대중음식점의 도시락 메뉴는 다양해지고 있다. 도시락의 기능적인 면으로는 자기계발을 위한 시간절약과 저 비용으로서의 도시락이 직장인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시니어가 거대 인구집단이 되면서 이들을 겨냥한 시니어 라이프스타일을 대비한 상품과 서비스 개발의 중요성으로 영양 균형을 맞춘 도시락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또한 국제 행사에서도 도시락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일반 행사에서도 도시락의 역할이 변화되었고 문화면에서는 기업체에서 소통의 장의 도구로 이용되고 있으며, 대중적으로 자신을 홍보하고 마음을 전달하는 제품으로 사용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는 도시락 상품 개발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Recently packed meal market has been up and coming as social structure chang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set up directions for future packed meal products.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802 articles from three major daily newspapers are collected, divided into three section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then contents of the paper articles analyzed. According to the articles, packed meal brand boomed up in the aftermath of recession in 2010 after released at convenience stores. Then people have increasingly been interested in packed meal. Recession led to a rapid increase in packed meal. As the society has changed and consumer needs get specific, simple packed meals have turned into a variety of packed meal menu from specialty store, convenience store and restaurants. Considering its functional prospectives, time-saving for self-development and low cost are two main reasons why packed meal is popular with workers. Moreover, as senior citizens become a huge population group, products and service which targets for senior citizens are appreciated and packed meals with nutional balance are demanded. In addition, packed meal plays an important part in international events and its role has changed in general events. For instance, it is used for a communication tool as well as a promotion tool in corporation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packed meal which suits these needs are explained in this research.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이색카페 형태와 트렌드

        노연아(Noh, Yeon-Ah),장혜진(Chang, Hea-Jin),박반야(Park, Ban-Ya) 한국식공간학회 2020 식공간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 및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이색카페 형태와 현재 이색카페 트렌드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메가트렌드 기준을 바탕으로 2010년 1월 1일–2020년 9월 30일까지 포털 순위 1위인 네이버(Naver)에서 사회적 환경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기사 데이터만 텍스톰 4.5를 통해 수집하였다. 키워드 “이색카페”에 대해 수집된 데이터는 총 2,489개이었으며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빈도수가 높은 200개의 단어 중 분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121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 언어들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하여 중심성을 바탕으로 중요단어와 핵심단어를 추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핵심단어를 통해 이색카페는 복합공간으로 힐링형과 체험형의 콘셉트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2) 총 4개의 그룹이 생성되었으며 그룹 1의 추출단어는 41개로 중요단어는 총 11개이다. 그룹 2의 추출단어는 30개로 중요단어는 총 7개가 추출되었다. 그룹 3의 추출단어는 29개로 중요단어는 총 1개이며 그룹 4의 추출단어는 21개로 중요 단어는 총 7개가 추출되었다. 결과에 따른 이색카페는 소비자가 일상에서 벗어나 심리 및 육체적 안정을 위해 먹고, 마시고, 새로운 것을 경험하는 공간이며, 일상과 여유가 공존하길 원하는 니즈를 바탕으로 형성되어있었다. 현재 이색카페 소비자층은 과거에 비해 확대되고 있으므로 주요 타깃 고객층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에 맞는 이색카페를 힐링형 또는 체험형 콘셉트를 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ypes of the differentiated cafes and analyze their trends by collecting big data and using text-mining technique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news on Naver to help understand the social changes were collected through Textom 4.5 from January 1, 2010 to September 30, 2020. 2,489 data was collected and among 200 words with high frequency, 121 key words were extracted. For in-depth analysis, important words and key words were extracted based on centraliti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1) Differentiated cafes refer to a complex space which can be divided into a healing and experience type. (2) A total of four groups were created. The first group: 41 extractive words and 11 important words. The second group: 30 extractive words and 7 important words, the third group: 29 extractive words and 1 important word. The fourth group: 21 extractive words and 7 important words. The differentiated cafes were places where customers eat, drink and experience for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ability; moreover, it was formed based on the needs that daily life and relaxation should co-exist. Compared to the past, customer base visiting the differentiated cafes is getting bigg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se the target customers and decide on whether a healing or an experience type the cafe should be accordingly.

      • KCI등재

        일본 도시락(弁当)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노연아(Noh Yeon Ah) 한국식공간학회 2014 식공간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일본 도시락인 벤토(弁当)가 역사의 흐름과 함께 어떻게 일본 식문화에 정착하고 발전해 왔는지를 고찰하였다. 일본 도시락은 다른 나라의 도시락 개념과는 달리, 가정 식탁의 축소화를 지향하고 있는데 이것은 일본 문화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락은 오랜 역사를 거쳐 오는 동안 기능적인 면에도 변화를 보여 왔다. 이전에는 편이성, 경제성, 휴대성의 기능이 부각되었다고 한다면 요즘은 사회의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여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반영하고 교육적인 측면이 더해진 면이 새롭다. 일본의 도시락 산업이 시장 규모면에서 독자적이고 월등한 경쟁력을 갖게 된 이유는 다양한 상품 개발과 함께 끊임없이 진화해 왔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 예로 휴대용 식사에서 미니 세트형 식사로의 변화, 철도 교통을 이용한 에키벤의 등장, 외식산업의 확대에 따른 레스토랑 메뉴로의 등장이다. 또한 기업과 기관 등이 주도하여 다양한 상품화가 시도되었는데, 에키벤 이외에도 편의점 도시락이나 도시락과 관련한 이벤트 등도 이에 포함된다. 본 논문을 통해 분석한 결과로는 일본 도시락이 탄생에서 현대까지 발전해 오면서 사회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했고, 지역 산물과 함께 문화를 반영하여 상품화 한 것이 현대의 일본 특유의 도시락 산업의 성공으로 연결되었다는 점이다. This research suggests how Japanese packed meal, bento has took root in the country and developed its dietary culture over time. Unlike any packed meals in other countries, Japanese want to have a feeling of having a meal at a table when they have a bento, which represents the unique side of Japanese culture. Bento has changed a lot in terms of functions since it first appeared. Convenience, economic feasibility and portability used to be considered important. However, what is new with bento today is that it not only reflects the life pattern of people in a modern society but also has some educational aspects as it responds to the social needs. Japanese bento industry has had unique and superior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so far because it has constantly evolved with a variety of menu developments. For instance, a portable bento is transformed to a miniature set bento. Ekiben (a station bento) emerged with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restaurant menu bentos came up as a result of expanding catering service industry. In addition, enterprises and institutions lead to commercialize plenty of bento products. Besides ekiben, convenience store bento and bento-related promotions are included in this category. According to this research analysis, there are obvious reasons why this unique bento culture is successful in Japan. Bento, most of all, timely responded to societal changes, related with crops from local areas from the beginning as well and has continued to develop until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