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차 라플라시안 행렬 시스템의 상태일치속도 및 상태일치시각 분석

        남지연(Jiyeon Nam) 대한전자공학회 201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6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network obeys a double-integrator dynamics of the position and the velocity. Each agent achieves the consensus of the position and the velocity by communicating the difference of the states. We analyze the time that each agent achieves the consensus from the convergence rate of the error states.

      • KCI등재

        북한이탈 대학생의 심리사회적응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합성

        남지연(Jiyeon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본 연구는 대학 내 증가하고 있는 북한이탈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대학생활에서 나타나는 심리사회적 측면의 변화과정을 알아보고 적응경험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가 중심을 이루면서 2011년부터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관련하여 ‘북한이탈주민’, ‘남한적응’, ‘북한이탈대학생’을 AND로 연결하는 검색식을 구성해 반복적 논문검색을 실시하였다. 검색을 통해 채택된 논문을 중심으로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CASP) 방식의 질평가를 실시하고, 이 후 전문가와의 교차평가를 실시해 최종 7편의 논문을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정된 7편의 논문을 Thomas와 Harden의 질적메타합성 방법에 기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질적메타합성 분석결과, 북한이탈 대학생의 대학생활 심리사회적응 과정에 대한 경험의 본질은 실망과 좌절 속에서도 변치않는 미래를 향한 적응과 극복의 시간인 것으로 드러났다. 북한이탈대학생들의 적응과정을 크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대학준비과정, 대학생활적응과정, 그리고 대학생활 적응 후로 나누고 각 시간대별 공통속성에 따른 도출결과를 분석하였다. 도출된 합성범주는 총 3개로 1) 탈북민으로서의 한계상황인식, 2) 좌절과 불안을 느끼는 대학생활, 3) 자기초월을 통한 삶의 의미부여로 드러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북한이탈 대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심리지원과 학습지원 1:1 맞춤형 멘토링 서비스 등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향후 정체성과 관계성에 대한 보다 깊이있는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o finding the meaning of the nature of their college life adaptation process and psychosocial chang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universities, which is increasing as the number of North and South Korean defectors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Methods As qualitative research on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was centered, 7 papers from July, 2011 to June, 2021 related to college life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Searching formula was trying to find ‘North Korean defectors’, ‘North Korean college student’ ‘adaptation process’, with “AND” through various resources. Then, selected 7 papers was criticized through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 (CASP) with expert who has been teaching Qualitative Research in many years to cross checking and finally was analyzed based on Qualitative meta-synthesis method by Thomas and Harden. Results As a result of qualitative meta-synthesis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essence of the synthesized topic was the time to adapt and overcome the future of dreams that do not give in despite disappointment and frustration. The adapt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college preparation courses, college life adaptation cours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courses over time, and the results of the derivation according to the common attributes of each time period were analyzed. The derived results were analyzed in a total of four categories: 1) the marginal situ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2) frustrated and anxious in college life, 3) Transcendence of overcoming factors, 4) Giving meaning to one’s lif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psychological support and learning support 1 on 1 mentoring services to help North Korean defectors adapt to school life; moreover, In the future, I would like to suggest a more in-depth study of identity and relationship in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

      • KCI등재

        지방대학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참여 결정요인 유형 및 특성연구

        남지연(Nam, Ji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한 지방대학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참여 결정요인 유형 및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수집과정은 K지역의 3개 대학 9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와 설문지를 실시하여 수집된 191개의 진 술문을 바탕으로 최종 47개의 Q표본을 확정하였다. 30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47개의 카드를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11점 척도의 정규 분포표에 분류하게 하였고 분류후 개별적 면담을 실시하여 최종 5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 제1 유형은, 미래의 꿈을 이루기 위해 목표 지향적 태도를 보이는 목표지향형, 제 2유형은 열심히 노력하지만 뚜렷한 학습목표가 부재한 주변중시형, 제 3유형은 학습 후 느끼는 성취경험과 이로 인한 인정과 칭찬의 보상을 중시하는 성공 경험 중심형, 제 4유형은 승부욕, 환경조성 등의 학습동기유발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동기유발 중심형, 그리고 제 5유형은 학습에 대한 흥미와 배움의 즐거움을 중시하는 의미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형별 분류를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참여의 결정요인을 알아보고 향후 이들을 위한 학습상담에 활용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This study using Q-methodology was to distinguish types and characters for self-directed academic engagement among local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the focus group interview, surveys and literature review were collected 191 statement through 98 college students at 3 different colleges in Kwang-Ju, and finally 47 Q-statements were collected. The subjects were asked to place statements on a rank-ordered 11-point continuum and then follow-up interviewed for the Q-sorting with 30 participants using 1: 1 interview. As a result, 5 types of self-directed engagement types came out; the first type was defined as ‘Goal-centered’ who is future-oriented in order to achieve future dream, the second type was defined as ‘environment/others-centered’ who is effective learner without concrete goals for learning, the third type was defined as ‘achievement experience-centered’ who is focused on achievement experience and satisfaction after studying, the fourth type was defined as ‘motivation-centered’ competitive environment makes this type to study more and the fifth type was defined as ‘meaning-centered’ to study because of fun and joy from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upply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basic data to develop academic achievement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디자인씽킹 기반 창의융합프로젝트 사례연구

        남지연(Nam Ji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K지역 4년제 대학의 상담심리학과와 미술학과 학생 7명의 비공학계열 학생들의 디자인씽킹 기반 창의융합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사례는 디자인씽킹 기법을 적용한「마음위로」책 완성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로 총 15주에 걸친 수업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자존감이 낮은 소외계층 초등학교 아동 4명이 참여하였고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상담심리학과와 미술학과 대학생 7명이 참여하였다. 책의 스토리라인은 참여아동들을 상담한 결과를 질적분석하였고 아동들의 의견을 충분히 공감하고 수렴하여 그들이 원하는 캐릭터 구현을 위해 최종 요구를 반영한 캐릭터와 그림을 완성하여 결과물의 질적향상을 도모하였다. 본 수업사례는 사회과학분야에서 흔히 시도되지 않는 미술학과와의 협업을 시도했다는 것과 동시에 디자인씽킹 기법을 충실히 적용한 수업사례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design thinking-based creative convergence capstone design project class of seven nonengineeri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art in K area. This case is a case study o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a book 「Mind and Consolation」completion project with using design thinking techniques. Four children with economically disadvantaged from elementary schools with low self-esteem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even college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the department of art participated in the project. The storyline of the book was qualitatively analyzed for the results of the consultation of participating children. Characters who fully sympathize with and converge children’s opinions and reflect their final needs to implement the characters they want. This case study is significant that is was a case with using design thinking techniques were faithfully applied at the same time as an attempt to collaborate with an art department that is not commonly attempted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 KCI등재

        융합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남지연(Nam Ji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This study is using Colaizzi phenomenological method of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convergence Capstone Design. This is about participated students’ psychological phenomena and the essence of the meaning of capstone design project experience. A total 7 students who took the elective course, Capstone Design in Counseling Psychology and Arts department participated in two times Focus group interview 5, 30, 2019 and 06, 20, 2019 in K city. Results show the two categories: Positive effect and Limitation. Positive effect of the Convergence Capstone Design is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own majors, improvement of their competencies, creation of meaning about their field training, and having opportunity to be self-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side is about the results was confronting of professional capabilities and limitation of teamwork.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discussing convergence capstone design in nonengeering department and has positive effect to students. 본 연구는 Colaizz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융합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수업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심리적 현상 및 수업경험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참여자는 K지역 4년제 대학의 상담심리학과와 미술학과 학생 7명을 대상으로 캡스톤디자인 과목 수강생 중 융합 캡스톤디자인 팀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30일과 6월 20일 두 차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분석결과 본 연구 참여자들의 수업경험은 크게 긍정적 영향과 한계점으로 나뉘었다. 긍정적 영향으로는 전공에 대한 이해증진, 학생역량개발의 증진, 의미 경험의 창출, 자기발전 기회의 제공이었다. 수업경험에 대한 한계점은 전문역량부족의 한계경험과 팀작업의 제한점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융합 캡스톤디자인의 시도에 대한 경험을 질적연구를 통해 드러내고 비공학계열 학생들의 융합캡스톤디자인의 시도에서의 긍정적 영향력을 밝힌 것에 있다.

      • KCI등재

        실존주의상담의 철학적 가치관이 상담자의 자기인식 및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재희 ( Jaehee Han ),남지연 ( Jiyeon Na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7 人間理解 Vol.38 No.1

        본 연구는 실존주의 상담의 철학적 가치관이 상담자의 자기인식 및 상담과정에게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실존주의상담의 철학적 개념과 가치관에 대한 14주간의 세미나와 워크샵에 참여한 17명의 상담학전공 박사과정에 있는 상담사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자각, 경험, 변화의 3가지 대범주와 각각의 영역에서 4개의 소범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자각의 영역에서 14개의 구성적 개념이, 경험의 영역에서 13개, 마지막으로 변화의 영역에서 18개의 구성적 개념이 최종 도출되었다. 연구의 분석결과 실존주의상담의 철학적 가치관에 대한 인식 및 이해 경험은 참여자들의 개인적 삶의 변화와 함께 상담자 역할에서의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드러났다. 삶 가운데서 경험하였던 실존적 자기대면은 상담관계 안에서 내담자와의 관계맺기에 대한 인식의 확장으로 이어졌을 뿐 아니라 보다 깊이 있는 차원으로의 내담자에 대한 공감과 함께 상담자와 내담자간의 상호주관적 관계맺기를 가능하게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hilosophical values of existential counseling on the counseling process and on counselors` self-awareness. This study included 17 individuals deeply interested in professional existential counseling. Participants were doctoral candidate students taking a 14-week seminar and workshop training series with backgrounds of various skills levels and a wide range of experiences. Based on a qualitative framework,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following three domains emerged based on the results: awareness, experience, and changes. In the awareness area, there were 4 categories and 14 subcategories. In the experience area, there were 4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And finally, in the area of changes, 4 categories and 18 subcategories emerged.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who were aware of philosophical values of existential counseling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personal life as well to their role as a counselor. The counselors were able to expand their awareness of values in existential counseling and build in-depth relationships with their clients in the counseling setting through facing their existential real self. These factors were able to help develop the counselors` in-depth empathy towards their clients and also enhance their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 크라우드소싱형 배달을 위한 Stabilizer System 자세제어 캐리어설계에 상보필터와 칼만필터 적용

        김수빈(Subhin Kim),남지연(Jiyeon Nam),장정우(Jeong Woo Jang),정재진(Jae Jin Jeo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12

        크라우드소싱형 배달을 위한 Stabilizer System 자세제어 캐리어설계를 위해 상보필터와 칼만필터를 적용하였다. 두 필터의 결과를 그래프로 비교하고 더 적절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캐리어가 운송수단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캐리어가 위아래로 흔들리는 상황)를 제어하기 위해 x축 데이터를 활용한다. A complementary filter and a Kalman filter were applied to design a stabilizer system posture control carrier for crowdsourced delivery. We compare the results of the two filters in a graph and propose a more appropriate algorithm. The x-axis data is used to control the state in which the carrier is attached to the transportation means.

      • KCI등재

        대학 축구선수들의 스포츠 강인성 척도 개발

        홍성진 ( Seongjin Hong ),이기청 ( Kichung Lee ),남지연 ( Jiyeon Na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대학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스포츠 상황에서 강인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전문가회의, 개방형 설문의 과정을 거쳐 45문항을 제작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여 최종 문항을 개발하였다. 스포츠 강인성에 대한 문항은 최초 45문항으로 제작되었으며, ‘전념’, ‘조절’, ‘도전’이라는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26문항이 개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조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문항의 주요 내용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념은 ‘즐거움’, ‘노력’, ‘자부심’, ‘집중’ 등의 내용이, 조절은 ‘극복’, ‘집착’, ‘문제해결’, ‘감정 개입’ 등의 내용이, 도전은 ‘목표 달성’, ‘노력’, ‘기대’, ‘열정’, ‘극복’, ‘부딪쳐 보는 것’ 등의 내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스포츠 강인성은 전념, 조절, 도전 3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유지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결론을 얻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척도를 통해 축구 선수들의 스포츠 강인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University Football Players Sports Hardiness Scale. Initial 45 Hardiness scale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reviewing precedent studie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s, and open-ended surveys.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 26 items, which constitute three factors, namely, “commitment”, “control” and “challeng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validated a three-factor structure: “Commitment” factor includes items related to enjoyment, effort, pride, flow; “Control” factor includes items related to overcoming, obsession, problem-solving, and emotional regulation. “Challenge” factor included items related to goal achievement, effort, expectation, and confrontation.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item and factor structures were appropriate for the model. This study shows that Sports Hardiness a complex construct composed of commitment, control, and challenge. Sports Hardiness Scale will contribute to identify the degree of football players’ mental toughness and hard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