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라 캐인(Sarah Kane)의 텍스트와 트라우마 -<갈망(Crave)>, <4.48 사이코시스(4.48 Psychosis)>를 중심으로

        남지수 ( Ji Soo Nam ) 한국연극학회 2009 한국연극학 Vol.0 No.39

        This study analyzed Sarah Kane`s dramaturgical reception of trauma focused on her late texts Crave and 4.48 Psychosis. Although she left only six texts during the short time as a professional playwright, she has steadily showed interests about the trauma in all of the texts, and, in fact, treated it as one of the key themes. Considering that Kane suffered from deep depression and melancholia,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fragmented and split personality of Kane is reflected on the writing in unconscious way. The study starts from this premise. The thesis is to research the dramaturgical aspects in terms of how the invisible unsubstantial trauma appears on the texts Crave and 4.48 Psychosis: traumatic aspects of Kane`s works make itself more recognizable given that the subjects of enunciation in Crave and 4.48 Psychosis seems to suffer, and may show most extreme and unstable inner status in the last texts being written just before her tragic end. Traces and evidences of Kane`s trauma found in Crave and 4.48 Psychosis can be looked under the three subcategories: structure, character, and language. First, the structure has characteristics of repetition and cycle, and it produces the image of horror and repressed feeling. Fractured dialogues repeated in Crave and dramatic compositions cycled in 4.48 Psychosis-as if turning around at 4:48-remind us of endless pain of trauma. It shows that trauma has the high possibility and enormous power to attack you anytime and ruin your life without any expectation. Also even not realizing when on earth you are hooked off from the trauma, the horror and repressed feeling are intensified. Second, characters show deconstructed aspects having only alphabet-name or disembodied voice, and it emphasizes the isolated self in the world. Because trauma makes lose sense of the self and destabilize the construction of the identity and others, characters seem to confine the self in own world. On the other hand, they are eager to be protected and loved in a way of overcoming the trauma. From the unstable and pressed feeling, they try to make relationship with others at hard edge. This sort of double edges of sword that end up denying and craving others at the same time show trauma`s dialectic characteristic, also Kane`s coherent love theme. Third, language creates uneasy and empty status of mind. Because unconscious trauma exists in eidetic image and senses, it is impossible to explain the trauma`s entity and the very source of the pain. In this sense, language does not carry the meaning, but deliver the image to audience as a signifier. Particularly, in 4.48 Psychosis, unique line-disposition like poem and sporadic number arrangement are noticeable. The gap which derived from the imperfect meaningful structure and blank or space is to be placed by human sense, so language becomes the language with image. As language bears intense aspiration to leave its traces, we need to look into the emotion and sentiment embedded in the language and its gap. Kane`s trauma unconsciously infiltrates and leaves its traces sporadically in the texts. The cruelty of trauma in the Crave and 4.48 Psychosis does not explain cruel reality, but the real cruelty embodied in structure, character and language that can be only recognized by the human sense. That is, real threat is that the represented world will fail to cohere, and thereby indict the very notion of a coherent reality.

      • KCI등재

        남아프리카공화국 버바텀 연극의 특수성 -핸드스프링 퍼펫 컴퍼니의 < 위비와 진실 위원회 >를 중심으로

        남지수 ( Ji Soo Nam ) 한국연극학회 2016 한국연극학 Vol.1 No.58

        본고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대표하는 연극단체인 핸드스프링 퍼펫 컴퍼니(Handspring Puppet Company)의 < 위비와 진실 위원회(Ubu and the Truth Commission) >(1996)를 중심으로 남아공 버바텀 연극에 나타나는 특수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1990년대 남아공에서는 거의 반세기 동안 흑인을 공식적으로 차별하고 억압했던 아파르트헤이트가 철폐되면서 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한 ``진실과 화해 위원회``가 발족했다. 위원회는 피해자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진실을 밝혀내기 위해 수많은 청문회를 개최했고, 이것은 방송을 통해 전국에 생중계되었다. 이후 남아공 연극인들은 청문회의 이야기와 기록된 말들에 주목해 버바텀 연극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기에 이르렀는데, 이것은 소수 연극인의 특정한 작업방식에 국한된 것이 아닌 남아공 연극 전반에 나타난 하나의 연극적 움직임이었다. 남아공 버바텀 연극은 두 가지 측면에서 특별히 주목된다. 첫째, 남아공 버바텀 연극이 유럽의 버바텀 연극과 두드러지는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남아공의 독특한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경험에서 기인한다. 둘째, 유럽이나 미국의 버바텀 연극이 주로 실재를 포착하기 위해 버바텀 기법을 활용한다면, 남아공 버바텀 연극은 실재에 주목함과 동시에 의도적으로 허구적 연극성을 증폭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남아공 버바텀 연극에 내재되어 있는 이러한 특수한 연극적 지점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outh African verbatim theatre with an example of Ubu and the Truth Commission(1996) of Handspring Puppet Company. As of 1990s when the apartheid was finally abolished, South Africa has launched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to uncover the past affairs. What made the committee`s works most significant was to held a hearing which is open to the public and broadcasted in live all over the country. During that time, all the attention of citizens was targeted at what is testified and what is newly revealed through the hearings. It became the important theatrical environment because South African theatre practitioners actively attempted to create verbatim theatres based on the testimony and documents of the hearings since 1990s. It was not about someone`s individual practice, but considered as a sort of national theatrical movement. The verbatim theatre of South Africa attracts the attention from the two sides. First, it is very intimately related to historical, social, cultural context of South Africa. Second, it shows a different theatrical approach compared to other verbatim theatres such as in England, Europe, America and so on. While European and American verbatim theatre tend to apply verbatim method as a way of capturing the real, South African verbatim theatre is likely to emphasis fictional qualities in spite of leaning on verbatim method. Considering these aspects, I will study on how South African verbatim theatre is theatrically distinctive and what it ultimately goes to achieve.

      • 코로나 시대 연극의 새로운 생존방식과 연극성 : 언택트를 넘어 온택트로 공연하기

        남지수 ( Nam Ji Soo ),양찬미 ( Yang Chan M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29 No.-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출현 이후 연극과 미디어 매체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연극 제작과 유통 측면에서 매체의존도가 더욱 높아진 이 시대의 국내외 온라인 및 오프라인 공연 사례를 분석해봄으로써 동시대적 연극현상의 한 줄기를 파악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전염병 시기를 겪으며 미디어 매체를 새롭게 활용하는 연극성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제작과 유통에 있어서 연극의 방향성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how contemporary Korean theatres deal with the Covid 19 pandemic particularly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atre and media. Theatre tends to show a growth on the media-dependency as a form or content under, and it seems a sort of way to achieve a breakthrough in the event not within the control of human power: Is it another survival for theatre to keep practicing or is it a experiment of new theatricality?

      • KCI등재

        버바텀 극작술의 한 가지 방식에 관한 소고 - 영국 트라이시클 극장의 법정연극

        남지수 ( Nam Jisoo ) 한국연극학회 2017 한국연극학 Vol.1 No.62

        90년대 후반부터 영어권 국가를 중심으로 주요하게 부상해온 버바텀 연극(Verbatim Theatre)은 어떠한 사건에 대한 기록과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것을 편집하여 인용하거나 재배열, 재맥락화 하는 기법으로 구성된 연극을 말한다. 버바텀 연극은 주로 청문회, 공청회, 심의, 심리, 재판 등의 법적 기록에서부터 공적·사적으로 진행된 인터뷰(또는 일상의 말), 그리고 일기, 메모, 사진, 영상 등의 사적 기록물들을 재료로서 활용한다. `말/글자 그대로(word for word)`라는 의미를 지니는 `버바텀`이란 용어에도 잘 드러나듯이, 버바텀 연극은 언어가 이 세계를 포획할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해 현실의 언어를 텍스트로 가능한 온전히 옮겨오려는 실험으로서 문서나 구술자료 등을 인용하여 텍스트를 구성하는 다큐멘터리 연극의 한 가지 방식이다. 버바텀 연극은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의 활력 속에 그 연극적 위상과 가치가 함께 주목되고 있지만,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이 포스트드라마적 경향을 보이는 작업들이 많은 반면, (영국) 버바텀 연극에서는 드라마적 구성을 존중한 작업들이 다수 목도된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변별점을 드러내기도 한다. 본고는 오늘날 버바텀 연극이 주목받게 된 계기 또는 다큐멘터리적 충동은 무엇인지, 새로운 글쓰기의 한 경향으로서 어떠한 공연적 특징을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동시대 버바텀 연극의 부흥지라 할 수 있는 영국 버바텀 연극에 주목해, 이것이 성장할 수 있었던 영국의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살펴보고, 버바텀 극작술의 주요한 기법이자 하나의 형식으로서 법적 기록을 토대로 구성되는 법정연극(Tribunal Theatre)을 트라이 시클 극장의 대표작 < 정의의 색(The Colour of Justice) >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e verbatim theatre, which has been actively experimented in many english speaking countries since 1990s, refers to a dramatic presentation through editing, arranging or re-contextualising of research, records or interview. Its sources of material, so-called document, ranges from the official transcripts of such as trial, hearing and public inquiry, official or private interview (oral words of real people) to very private records such as diary, memo, photo, video etc. As we know the literal meaning of verbatim(word for word), the verbatim theatre is a sort of documentary technique which leans on the spoken texts. The recent manifestation of verbatim theatre is very recognizing with a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ical booming. The verbatim theatre is a part of documentary theatre, however, it reveals a different theatrical tendency: While the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e seems to show of postdramatic characteristics, British verbatim theatre tends to be armed a kind of conventional dramatic form and structure. With the recent theatrical phenomenon, this study aims to research on these issues: What makes the verbatim theatre to be received high attention these days? Have there been social, political or cultural stimuli to documentary/verbatim drive? What kinds of characteristics does the verbatim theatre have as a new(contemporary) dramatic playwriting? As I focus on British verbatim theatre, the so-called motherland of contemporary manifestation of verbatim theatre, I would like to study the theatricality of verbatim form focused on the particular tribunal play The Colour of Justic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repertoire of Tricycle theatre.

      • KCI등재

        버바팀 연극의 창작방식 연구 -<킬링타임>(2016)에서의 버바팀 드라마투르기

        남지수 ( Nam Ji-soo ) 한국드라마학회 2018 드라마연구 Vol.0 No.56

        다큐멘터리 연극의 한 가지 방식인 버바팀 연극은 90년대 이후부터 영미권, 유럽권, 아프리카권 및 한국 연극계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왔다. 특히 한국연극에서는 2014년 세월호참사, 2015년 검열사태 및 블랙리스트 의혹, 2016년 국정농단과 촛불집회, 2017년 새정부 출범과 적폐청산 개혁, 2018년 미투운동 등으로 이어지는 흐름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 공적/법적 사건들에 많은 대중적 주목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기록과 진술, 증언, 폭로들이 그야말로 쏟아지면서 현실을 포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버바팀 연극에 대한 관심이 크게 부상했다. 요컨대 현재 우리 사회 전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치적, 제도적, 사회적, 윤리적 탐색과 정치사회적 담론들의 발생은 버바팀 연극에 대한 주목으로 이어지며 동시대 정치극의 스펙트럼을 확장시키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이에 본고는 버바팀 연극이 응용될 수 있는 실천적 가능성을 탐색해 보기 위해 극단 ‘여기는 당연히, 극장’의 <킬링타임>(2016)을 중심으로 버바팀 연극에서의 드라마투르기 방식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Verbatim Theatre as one of the documentary techniques has been increasingly experimented in many countries from Europe, Africa, US to Korea since 1990. In order to take a look at the tendency of Korean verbatim theatre, it is worthy to note that a series of critically political issues were clashed when the verbatim theatre started being focused in Korea: Sewol Ferri disaster in 2014, revealing evidences on state-leading censorship and state-sponsored blacklists in 2015, presidential scandal and candlelight demonstration in 2016, launching the new government and its drive to reform in 2017 and so on. While we have been through such a fierce political time, we came to pay much attention to official/legal events such as hearing, trial, inspection than ever, and also watched a pour of testimonies and statements to reveal a hidden/oppressed truths. The verbatim theatre in Korea receives much attention in this particular situation in a way to represent the reality, which seems more theatrical and even fictional than theatre in ironic way.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verbatim theatre is closely related to Korean social political environment, and contributes to widen contemporary Korean political theatre as well. Considering theatre practitioner's need and desire to understand what is verbatim theatre and how to approach it, this thesis aims to introduce a possibility of applying verbatim technique by specifically studying on the dramaturgy of Killing Time, based on the hearing of Sewol Ferri disaster directed by Ja-Hye Khoo,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contemporary Korean verbatim theatre.

      • KCI등재후보

        자기 이야기하기 연극에 나타나는 디에게시스의 연기 수행방식 : 라비 므루에(Rabih Mroue)의 < 구름을 타고(Riding on a Cloud) >를 중심으로

        남지수 ( Ji Soo Nam ) 한국드라마학회 2015 드라마연구 Vol.0 No.46

        This study aims to analyze so-called diegesis-acting of performers in contemporary autobiographical theatre as a new re-presentational strategy. As basically leaning on narrative discours and Plato``s philosophy, I come to regard the diegesis, in broad perspective, as a performative concept that synthetically includes from narration, movement, gesture, situation to performing atmosphere. Since 1970s, performances in which performers perform themselves, through performing stories from their lives, have been ubiquitous especially in performance art area. Many artists during the period tried to draw their resources from themselves and their lives and reflect their own image. However, the way of performing oneself has been quite changed in terms of contemporary autobiographical theatre. The performers, often amateurs, ready-made or experts in daily life, stop to reflect and represent their memories, events and daily lives. Instead, they tend to expose themselves and appear as themselves through postdramatic theatrical strategies: I regard, one of them is to adopt diegesis-acting, that is, delivering a narration or text from the third person in objective perspective, giving off atmospheres just like speech, presentation, lecture and so on.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effects of diegesis-acting with a particular example of Rabih Mroue’s Riding on a Cloud, which is recently staged in Korea, as a new way of fictionalization and detachment. By studying so, I would also like to contribute to broaden the spectrum of postdramatic acting and suggest a possible analytical model of diegesis beyond the aesthetic structure of representation/presentation and ideas of performance study such as materiality, physicality, image etc. 1990년대 이후부터 자전적 주체 또는 기억과 경험의 소유자가 직접 무대 위에 등장하는 ‘자기 이야기하기’ 방식의 연극이 급격히 증가했다. 동시대 자기이야기하기 방식의 연극에서 부각되는 것은 작가 또는 배우로서 경험의 주체이거나 매개하는 존재이기보다는, 이야기하기의 과정에 참여하는 서술적 주체로서의 공연자의 모습이다. 이야기하기에 직접 참여하는 실제의 공연자는 캐릭터를 구축하거나 역할을 구현하지 않고, 자기 자신에 대해서, 자신의 지식과 정보와 경험 등에 대해서 서술하며 이야기하기의 과정을 통해 스스로를 드러내고 전시하는 행위를 수행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설명하기에 가까운 발화방식을 수행하기 때문에 마치 자기 경험을 고백하는 듯, 인터뷰나 증언을 수행하는 듯, 때로는 연설이나 낭독을 하는 듯 보이기도 한다. 즉, 자기 이야기하기방식은 모노드라마 같은 관습적인 드라마 형식이나 독백체의 연기방식 등과 변별되는 독특한 수행적 특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일상의 인물이 직접 등장하는 자기 이야기하기 연극에서의 공연자의 연기적 수행방식에 주목해 고전적인 연극적 재현방식을 극복하는 새로운 수행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사담론의 ‘디에게시스(diegesis)’의 개념에 바탕해 서술자의 위치에서 텍스트를 서술하고 서술체의 발화방식을 활용하는 동시대 자기 이야기하기 수행방식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특히 최근 국내에서 공연된 레바논 연출가 라비 므루에(Rabih Mroue)의 < 구름을 타고(Riding on a Cloud) >를 중심으로 디에게시스의 수행방식이 어떠한 양상을 띠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어떠한 효과가 창출되는지, 그 미학적 특성을 살펴보는 데 주목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