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거는 미래다 - 『文化戰線』의 발견과 비/역사화

        남원진(Nam, Won-jin) 한국근대문학회 202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2 No.1

        북조선 기관지 연구는 공식적 기록이나 비공식적 사실에서 망각된 기록의 복권뿐만 아니라 은폐된 기억의 흔적도 찾아야 하는 지난한 과정이다. 과거는 미래다. 이는 사라진 과거의 조각을 호출하여, 만들어진 전통을 통하여 찬란한 미래가 도래하길 기원한다. 과거를 지배한다는 것은 미래를 지배하는 것이다. 현재의 고통은 망각된다. 북조선 담론은 이에 복종한다. 이 글에서는 1946년 3월 25 27일 북조선예술총련맹 결성대회, 그리고 1946년 5월 24일 북조선 각 도 인민위원회, 정당 사회단체 선전원, 문화인, 예술인 대회에서 한 김일성의 연설과 관련한 문제, 그리고 1946년 7월 25일 북조선예술총련맹 중앙기관지 『문화전선』의 창간 과정을 추적했다. 여기서 여러 국내외 연구자의 혼란스러운 주장들을 수정하고자 했는데, ‘『문화전선』은 『조선문학』의 전신’이 아니며, 북조선예술총련맹 결성대회와 『문화전선』의 창간과 성격 규명, ‘문화전선의 투사’라는 용어는 후대에 만들어진 것이며, 「개벽」 과 「모자」, 「김장군의 노래」의 선택과 배제의 드라마에 대해서 피력했다. 또한 북조선에서 『문화전선』의 발견은 김일성의 문학예술 영도사를 찬양하기 위해 만들어진 과거일 뿐만 아니라, 북조선의 다면적인 실체를 억제하고 단일한 모습만 강요하는, 즉 북조선의 민얼굴만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학문은 우리 자신에 대한 자각과 사실관계의 인식에 이바지하기 위해 전문적으로 행해지는’ 작업이라는 낡고 오래된 명제는 다시 한번 음미해볼 만하다. 연구자(연구자를 포함하여)는 작금의 ‘척박한 연구 풍토’에서 ‘학문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질문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A study on a North Josun organ is an extremely difficult process of having not only to reinstate an official record or a record forgotten in an nonofficial fact but also to find traces of hidden memories. This text pursued the inaugural meeting for General League of North Josun Art from March 25 to 27, 1946, the question related to Ilsung Gim’s speech at the joint meeting on May 24, 1946 and the process where ‘The Cultural Battle Line’, a central organ of the league, was founded on July 25, 1946. It chose to correct the confusing assertions of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Also, it expressed that the organ found in North Josun was not only the past made to praise Ilsung Gim’s literary art leading history, but also oppressed North Josun’s multifaceted realities and forced only its single form, that is, showed only its naked face. Also, the researcher hoped that it would be a chance of appreciating once again the old proposition that all the results on studies constituted a process of new questions, which was inevitably behind the times by means of other achievements. Finally, the old proposition that ‘learning is a professionally performed occupa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awakening to ourselves and recognizing factual relations’ is worth appreciating once again. The researcher wonders if he has to put the question of ‘What is Science?’ again in recent reality.

      • KCI등재

        한설야의 「승냥이」의 각색 양상 연구

        남원진(Nam, Won-ji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0 No.-

        한설야의 단편소설 ?승냥이?에 비해 희곡이나 시나리오 ?승냥이?는 긍정적 인물과 부정적 인물의 성격을 한층 강화하여 집단적 저항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각색된다. 이는 6?25전쟁 이후 강화되던 냉전 체제의 압력 아래에서 미제에 대한 집단적 저항성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각색된 것이다. 남한에서 ‘친미’가 기독교(개신교)에서 폭넓게 공유되고 높이 평가된 것에 반해 북조선에서는 기독교 비판을 수반한 ‘반미’가 확고한 자리를 잡았는데, 이런 냉전 체제의 무게 아래 만들어진 ?승냥이? 작품군은 냉전 체제 속으로 편입시키려는 방향으로 각색되거나 개작된 것이다. 따라서 긍정적 인물과 부정적 인물의 선명한 대립구도로 설정하여 조선인의 집단적 저항을 강조함으로써, ?승냥이? 작품군은 1950년대 중반 확고하게 자리잡은 냉전체제에서 반미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북조선의 정전으로 자리잡는다. 그래서 작가의 의도적 개작이나 각색이라 하더라도 ?승냥이? 작품군은 냉전 체제의 압력을 실감하게 하는 대표작이 아닐까라고 판단한다. Compared to the short story A Korean wolf, a drama or scenario A Korean wolf was adapted in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collective resistance by strengthening even more the personality of its positiv and negative characters. Such adaptation revealed having been changed into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collective resistance against ‘American imperialism’ under the pressure of the cold war system reinforced after the Korean War. Here, in South Korea ‘pro-American’ stance was widely shared and highly evaluated in Christianity(Protestantism), whereas in North Josun ‘anti-American’ stance accompanying criticism against Christianity firmly established itself. A group of A Korean wolf works made under the weight of such cold war system was adapted or dramatized in the direction of being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Therefore, it established itself as the typical canon of North Josun which showed anti-American viewpoint in the cold war system establishing itself firmly in the middle of the 1950s by setting up a composition of the clear opposition between its positive and negative characters and stressing Josun people’s collective resistance. Thus, the writer judges if it is the group of typical works which has me realize the pressure of the system even though the author adapted or dramatized it intentionally.

      • KCI등재

        문학과 정치

        남원진(Nam, Won-Ji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2 No.-

        한설야의 『력사』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다루었던 인민상 계관작품이며 널리 북조선에서 읽혀졌던 장편소설이었는데, 여러 판본이 있었다. 1953년 연재된 후 1954년 단행본으로 출판되면서 여러 부분이 개작되었는데, 김일성의 형상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항일무장투쟁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수정되었다. 특히 ‘시난차 전투’와 ‘황니허즈 전투’에 대한 것이 변경되었고 조국광복회의 강령도 개작되었다. 김명수의 평가 이후 이런 개작으로 인해 엄호석 등의 여러 평문이나 안함광 등의 문학사에서는 개작본 ?『력사』를 가지고 내용을 정리하거나 평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는 한설야의 문학에 국한된 것이 아니기에 더욱 문제일 수밖에 없었다. 북조선 문학이 최초로 발표된 후 인용이나 재수록 등의 과정을 통해서 빈번하게 개작되었듯, 북조선 평문이나 문학사<br/> 도 이에 자유롭지 못했다. 이런 것이 북조선 문학이나 연구의 한 특징이었다. 그래서 여러 가지 문제가 생겼다. 아마도 이는 문학이나 문학사를 바라보는 북조선의 근본적 입장에서 온 것이었다. 북조선 문학은 줄곧 정치적 문제를 떠맡았는데, 이로 인해 북조선 인민들에게 공산주의 사상을 교양해야 하며 더 나아가 당 정책을 교양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이는 북조선 문학이 정치적 문제를 떠맡으면서 생긴 난제인 한편 중심 과제이었는데, 사회주의 문학 더 나아가 근대문학이 그러했듯 북조선 문학에선 문학과 정치는 분리할 수는 성질의 문제가 아니란 말이다. 이러하듯 북조선 문학은 ‘문학과 정치’라는 근대문학의 오래된 과제를 떠맡고 있다. Han Sulya’s History was the work laureate of the People’s Award which dealt with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novel which was widely read in North Josun, which had various block books. When it was serialized in 1953 and published in book form in 1954, its various parts were adapted and modified to more reinforce the form of Kim Ilsung and solve the problem for hi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istory. In particular, what were about ‘the Sinancha Battle’ and ‘the<br/> Hwangnihuz Battle’ were changed and the platforms of Association of the Restoration of the Fatherland were also adapted. After Kim Myungsoo’s evaluation, such adaptation caused the problem that Um Hosuk and others arranged or evaluated the contents of various plain texts with History adapted or Ahn Hamgwang and others literary history. It was inevitably more problematic because it was not limited to Han Sulya’s literature. Because literature of North Josun was frequently adapted through the process of quotation or reinclusion and so on after it was first published, plain text or literary history of North Josun was not free from it. Such a thing was one feature of literature or research of North Josun. It caused various problems. Perhaps it came from the fundamental position of North Josun toward literature or literary history. Literature of North Josun continually undertook political questions, which caused it to assume the task of having to inoculate the people of North Josun with communist idea and further with party policy. It is a challenge and central task resulting from literature of North Josun undertaking political questions, which means that literature is inseparable from politics in literature of<br/> North Josun like socialist and further modern literature. Like it, literature of North Josun has undertaken the long task of modern literature called ‘literature and politics’.

      • KCI등재

        황건의 「불타는 섬」 재론 -황건의 「불타는 섬」의 창작과 변용에 관한 연구-

        남원진 ( Won Jin Na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황건의 단편소설 「불타는 섬」은 1952년 판본에서 2012년 판본까지 있는데, 이 판본에 대한 정리뿐만 변용 과정이나 문학사적 평가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인 작업이다. 특히 이 작품에 대한 문학사적 평가에 대한 점검은 이 작품이 어떻게 재구성되어 전쟁기의 대표작으로 호명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 작품은 1950년대 영웅주의나 대중적 영웅주의를 반영한 성과작으로 불렸는데, 유일사상체계가 구축된 후에는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체제를 대변하는 대표작으로 호명되었다. 더 나아가 2000년대에는 1950년대 초반의 평가와 달리 ‘작가의 대표적 단편소설’ 혹은 ‘전시 소설문학의 성과를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상찬되었다. 그런데 이 작품은 김정일 시대엔 ‘김정일의 선군 정치’와 김정은 시대엔 ‘김정은의 선군혁명영도’와 결합하는데, ‘국제 관계 동학’의 압력 아래에서 김정일이나 김정은을 중심으로 한 북조선 체제의 목소리, 즉 체제 결속이나 체제 수호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작품으로 호명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두 남녀의 ‘심리의 굴절’ 또는 ‘감정의 파동과 발전’을 통해서 두 주인공의 성장을 제시했던 이 작품은 여러 변용 과정을 거치면서, 이제는 체제 결속이나 체제 수호의 공허한 목소리만 울리는 작품으로 재발견된 것이다. 이런 공허한 목소리 이면에는 북조선 체제의 심각한 균열의 징후를 봉합하려는 의지가 담겨져 있다. 즉, 이는 체제 결속의 목소리가 높으면 높을수록 균열의 징후가 더욱더 선명하다는 말이다. Hwang Geon`s short story The Burning Island involves an essential study not only on problems about its various block books but also on problems about its creation, adaptation, process of transfiguration and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literary history. In particular, the inspection for evaluation on this work from the viewpoint of literary history enables me to confirm how it was reconstructed and called a typical work during the Korean War. The work was named a fruitful work of reflecting heroism or popular heroism during the 1950s and a typical work of speaking for the North Josun system at the top of Kim Ilsung after unique idea system was constructed. During the 2000s, unlike its evaluatio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50s, it was admired as the authors typical short story or a typical work of showing the result of wartime novel literature. And it was combined with ‘Kim Jungil`s Military-first Politics’ during Kim Jungil`s Age and with ‘Kim Jungeun`s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eadership’ during Kim Jungeun`s Age, and is being named a work of speaking for a voice of the North Josun system centering on Kim Jungil or Kim Jungeun, that is, a voice of system solidarity or guard under the pressure of ‘dynamics of international interface’. In other words, Hwang Geon`s The Burning Island which presented the growth of both hero and heroine through their ‘psychological refraction’ or ‘emotional undulation and development’ was transfigured and has now been rediscovered as the work where only the vain voice of system solidarity or guard resounds. The other side of the voice contains the will to suture a sign of a serious rupture on the North Josun system. Namely, the louder a voice of system solidarity becomes, the clearer a sign of rupture becomes.

      • KCI등재

        유일사상체계의 ‘서곡’ -1950년대 후반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중심으로-

        남원진 ( Nam Won-ji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80

        이 글은 1950년대 후반 조선작가동맹 기관지의 결절지점을 기초로 하여,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의 층위를 점검하고자 한다. 조선작가동맹 기관지사에서, 기존 연구와 달리 각 기관지의 1959년 1월호는 제3차 조선작가동맹 전원회의가 강제적으로 만든 굴절지점이며, 더 나아가 1959년 7월호의 익명의 편집위원회 체제는 제2차 조선작가대회 이후 편집위원회의 자율성 강화에 대한 그 역풍의 최종적 결과인데, 다성적 목소리를 억압하여 단성적 목소리만을 강요하는 단일지도체제로 나아가는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 1959년 4월 제4차 전원회의는 공산주의 문학 건설과 부르주아 사상 잔재 비판이라는 두 축의 최정점에 위치한 회의인데, 한때 조선작가동맹 지도기관을 이끈 핵심분자였던 홍순철 및 안막, 윤두헌, 서만일 그리고 조중곤, 김순석, 박태영, 김명수 등의 비판을 총결하는 자리이다. 1957년 11월 제2차 전원회의에서 홍순철은 ‘8월 전원회의 사건’과 직접 관련되어 ‘반당종파분자’로 호명되어 정치적으로 숙청된다. 이와 달리 안막, 윤두헌, 서만일은 ‘당적 지도’ 문제와 연관되어 ‘제명’되며, 조중곤, 김순석, 박태영, 김명수는 부르주아 사상 잔재 비판과 관련되어 ‘해임’된다. 제4차 조선작가동맹 전원회의에서는 북조선 사회에 대한 부정성이 아니라 사회주의 고조기에 합당한 긍정성, 이를 기초로 한 긍정적 주인공, 즉 공산주의자의 전형 창조가 그 미학적 과제로 제시된다. 이 전원회의 이후 북조선 문예계에서는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의 영향 아래에서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이 발전했다는 북조선 ‘만’의 문학사가 정리된다. 항일혁명투쟁사가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의 위에 군림하는 것. 이는 제2차 조선작가대회 체제에서 기존 체제를 비틀고 헤집는 해방적 기능을 담지한 다성적 목소리를 소거하여, 북조선 지도체제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또는 침묵을 강요하는 단성적 목소리로 수렴되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표징이다. 이런 조선작가동맹의 단성적 체제 또는 단일지도체제는 유일사상체계로 나아가는 길의 ‘징후’이다. 여러 논의가 필요하지만, 북조선 문학장의 급격한 변동, 즉 조선작가동맹 조직기관의 재정비나 작가와 작품의 재평가와 선별 작업, 미디어 체계의 일원화뿐만 아니라 조선문학에 대한 항일혁명문학의 지배 등이 이를 일차적으로 예증한다. 이런 단성적 체제는 유일사상체계로 나아가는 길의 ‘서곡’에 해당된다. Based on the inflection point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ngress of Josun Writers in the late 1950s,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level of the 4th plenary session of the Congress of Josun Writers. In the history of the Congress of Josun Writers, the January’s issue in 1959 of each organization is a refraction point that was forcibly created by the discourse of Kim Il Sung’s communist culture, and the July edition of the anonymous editorial committee in 1959 is the result of its backlash against strengthening autonomy after the 2nd North Josun Writer’s Convention, which is an important milestone in moving toward the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that suppresses multiple voices and forces only one voice. And in April 1959, the 4th plenary session was the culmination of criticism of communist literature establishment and bourgeois ideology remnants, and it was a place to collect criticism from Hong Soon Cheol, An Mak, Yoon Doo Heon, Seo Man Il, Cho Joong Gon, Kim Soon Seok, Park Tae Young, and Kim Myung Soo, key members who once led the leadership of the Congress of Josun Writers. At the 2nd plenary session in November 1957, Hong Soon Cheol was executed as an ‘anti-party sectarian’ directly related to the ‘August Faction Incident’. On the other hand, An Mak, Yoon Doo Heon, and Seo Man Il were ‘removed’ in connection with the issue of ‘Communist Leadership’, while Cho Joong Gon, Kim Soon Seok, Park Tae Young, and Kim Myung Soo were ‘disappointed’ in connection with criticism of the remnants of bourgeois ideology. In addition, at this plenary session, the creation of a positive character, was presented as an aesthetic task, not a negativity toward North Josun society, but a reasonable positivity at the time of the rise of Chollima. After the 4th plenary session, North Josun’s won literary history that Josun proletarian literature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the 1930s is summarized in North Josun’s literary and artistic field. The history of the struggle for the anti-Japanese revolution reigns over Josun’s proletarian literature. This eliminated the multiple voices containing the liberating function of twisting and digging through the existing system, representing the voice of the North Josun leadership system, or symbolizes the convergence of monolithic voice that forces silence and this monolithic system or a single leadership system of the Congress of Josun Writers corresponds to the ‘prelude’ to the path to the monolithic ideological system.

      • KCI등재

        해방기 북조선 시문학사의 재구성에 대한 연구

        남원진 ( Won Jin Na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4

        이 글은 1940~1950년대 북조선에서 호명되었던 ``해방기 대표시``는 무엇일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했다. 북조선에서 출판된 1940~1950년대 저작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었던 시는 정문향의 「푸른 들로」(1946)와 조기천의 「백두산」(1947)이었다. 조기천의 서사시 「백두산」은 1947년에 『로동신문』에 연재된 후, 지속적으로 개작과 재개작의 과정을 거치면서, 현재 ``해방 후 수령형상문학의 새로운 단계를 열어놓은 의의 있는 작품``으로 재평가 받고 있다. 정문향의 서정시 「푸른 들로」도 여러 번 개작되었는데, 현재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로 재해석되고 있다. 또한 북조선 문예학자들이 공동집필한 최초의 조선문학사에 해당하는 1950년대 『조선 문학 통사(하)』(1959)에서도 냉전 체제의 압력에 의해 냉전 체제 속으로 편입시키려는 방향으로 시편들이 개작되었다. 북조선의 대표시가 개작되듯, 북조선의 평론이나 그 연장선상의 북조선 문학사도 이렇게 재구성된 시를 중심으로 재해석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과거를 지배한다는 것은 미래를 지배하는 일이며, 미래를 지배한다는 것은 현재를 지배하는 것이기에, 이는 지극히 당연한 원리이다. 현재의 정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언제나 과거의 조정은 불가피한 것이기에 말이다. 이러하듯, 『조선 문학 통사(하)』(1959)는 이를 예증하는 북조선 첫 집체작 문학사이다. This text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at the ``poems typical of the Liberation Period`` were which were called by name in North Josun in the 1940s and 1950s. The poems of Moonhyang Jung`s To the Blue field and Gichun Jo`s Mt. Paekdu(Baekdoosan) were commonly mentioned in the works of the 1940s and 1950s which were published in North Josun. Gichun Jo`s epic Mt. Paekdu (Baekdoosan) was serialized in Rodong Sinmun in 1947, continued to be adapted and readapted and is now being reevaluated as ``a significant work of opening a new stage of the President- Imaging Literature after the Korean Liberation of 1945``. Moonhyang Jung`s lyric To the Blue field was also adapted several times and is now being reinterpreted with North Josun-oriented history with Ilsung Gim as its top. Also, in the General History of Josun Literature (vol.2) in the 1950s, which was jointly written by the literary scholars of North Josun and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Josun literature history, the poems were adapted in the direction of being incorporated into the cold war system by its pressure. It is natural that as the poems typical of North Josun were adapted, North Josun`s criticism or literature history on its extension is also reinterpreted centering on this reconstructed poems. It is an extremely natural principle because to dominate the past is to dominate the future and to dominate the future to dominate the present. It is because it is always inevitable to adjust the past in order to maintain present legitimacy. Like it, the General History of Josun Literature(vol.2) is the first collaborative literary history in North Josun which exemplifies it.

      • KCI등재

        반공(反共)의 국민화, 반반공(反反共)의 회로 -반반공 내셔널리즘을 묻는다.

        남원진 ( Nam Won-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7 국제어문 Vol.40 No.-

        6·25 전쟁 이후 반공 내셔널리즘의 민족 정화 또는 민족 분단의 논리는 반공 국민의 생활 논리로 체득되기 시작한다. `반공으로 뭉치면 살고 헤치면 죽는다`는 반공 내셔널리즘의 명제는 국민의 생존 욕망을 자극하고 통합하려는 권력 의지가 발현된 한 양상이다. 그래서 반공 내셔널리즘의 명제는 위험하다. 이 글에서는 이런 반공 내셔널리즘의 허구성을 묘파한 남정현, 이강백, 황석영의 반동일화 전략을 주목했다. 특히 80년대 정치·사회학적 실천이 60~70년대 남정현, 이강백, 황석영의 작품에서 선취된다는 점에서 이들의 문학적 실천은 대단히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 그런데 광기와 살육의 기억으로 각인된 반공 내셔널리즘을 비판하는 반동일화의 문학적 전략이 이들이 거부하려던 내셔널리즘의 사고 체계 내에 갇히는 결과, 즉 대립하면서 닮아가기의 한 양상을 초래한 것이 문제였다. 너희의 칼로 너희를 칠 수 없듯이, 내셔널리즘의 전략으로 내셔널리즘을 넘어설 수 없다는 것. After the Korean war the nationalism of anti-communist and the logic of national separation is internalized into the logic of anti-communist living. The proposition of anti-communist nationalism circulated by the nation that united we stand, divided we fall` is one aspect of the power will which stimulates the desire for existence of the nation and mobilizes and integrates the nation. In the way the logic of the anti-communist nationalism is a very dangerous discourse in politics. In this paper I noticed Nam Jeong-heon, Lee Kang-baek and Hwang Seok-yeong`s strategy who penetrates the fabrication of anti-communist nationalism. Specially these literary practice is very noticeable in view that the political and social practice in 1980s is preoccupied in Nam Jeong-hyeon, Lee Kang-baek and Hwang Seokyeong`s works between 1960 and 1970. By the way the literary strategy of anti-identification criticizing anti-communist nationalism carved into the memory of madness and massacre is confined within thinking system of nationalism which they refuse, that is, it causes one aspect of being alike being confronted.

      • KCI등재

        냉전 체제, 일제와 미제

        남원진(Nam, Won Jin)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1

        한설야의 1951년 판본 「승냥이」는 1950년 12월 24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원회의 뒤에 있었던 문학예술인들의 좌담회에서 한 김일성의 담화에 의거하여 창작된 작품이라고 말해진다. 이런 「승냥이」를 원작으로 하는 「승냥이」 작품군은 여러 번의 개작과 각색을 통해서 미제의 표상과 북조선의 반미관을 창출했다. 여러 번의 개작과 각색, 특히 시나리오 「승냥이」의 창작을 통해서 일제와 미제의 협력적 관계를 제시하면서 제국주의에 대한 집단적 저항과 조선인들의 승리라는 낙관적 전망을 제시했다. 이런 「승냥이」 작품군은 냉전 체제의 압력에 의해서 탄생했던 것이다. 여기서 미제의 표상으로 호명된 「승냥이」의 원형은 식민지 시대 일본인이 조선인을 죽인 후 시체를 화장한 사건을 변형한 것이었는데, 일제의 이미지를 미제에 덧씌우는 변형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것이었다. 이런 「승냥이」는 재해석과 확장을 통해서 무한 반복되었는데, 냉전 체제에 의해 주어진 의식과 무의식에 따라 끊임없는 변형과 확장의 과정을 거쳤다. 즉, 북조선에선 1950년대 냉전 체제의 압력에 따라 일제의 이미지를 덧씌운 미제를 창출하는 한편 미제의 이미지에 대한 재해석과 확장을 거쳤던 것이다. 이러하듯 과거에 대한 끊임없는 재해석과 확장은 현재의 냉전 체제를 합리화하고 정당화하는 역할을 했던 것이다. 그래서 과거의 지배는 현재를 확장시키고 또한 미래도 창출한다. Han, Sulya’s a Korean wolf was created by the Discourse of Kim Il-sung. Through several variations, this work has made a representation of American imperialism and the North Korea’s anti-Americanism. In addition, this variant suggested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Japanese imperialism and American imperialism. This work presents an optimistic view of the Koreans’ collective resistance and victory. In addition, the representation of American imperialism was made after the deformation process of the overlay image of Japanese imperialism. The representation of a Korean wolf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and expansion was repeated constantly. Eventually these works by the pressure of the Cold War was born. By the way, the re-interpretation of the past is rationalization of the Cold War. Therefore domination of the past extends the present. Furthermore this has created a future.

      • KCI등재

        애정과 영웅: 황건의 『행복』의 창작과 평가의 부침에 대한 연구

        남원진(Nam, Won Jin) 한국근대문학회 2014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5 No.1

        1953년 발표한 황건의 『행복』은 1950년 가을 낙동강 일대 인민군 후퇴 직전 한 야전병원에서 취재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주인공의 성장을 통한 행복의 의미를 드러낸 문제작이다. 1950년대 초반에는 ‘애국주의나 영웅주의’를 바탕으로 하여 ‘내면 세계의 추구’라는 점을 강조한 반면, 1950년대 중반 이후에는 내면 세계의 강조에서 ‘당’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평가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조선 문학 통사(하)(1959)에서 『행복』에 대한 평가가 사라졌던 것이, 『조선문학사』(1945~1958)(1978)나 『조선문학개관(2)』(1986), 『조선문학사(11)』(1994)에서는 복원된다. 여기서『조선문학사』(1945~1958)나『조선문학사(2)』에서는 인민군 용사들의 투쟁과 애국심, 대중적 영웅주의를 형상화한 성과작의 하나로 ‘주인공의 성장’에 맞춘 평가가 이루어진 반면, 조선문학사(11)에서는 인민군 전사들의 영웅적 성격을 형상한 우수한 작품의 하나로 ‘애정 윤리’에 관한 문제를 중심에 둔 평가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여기서 『행복』과 「불타는 섬」을 비교해보면 흥미로운데, 발표 당시 황건의 『행복』은 「불타는 섬」보다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되지만, 1950년대 중반 이후 두 작품에 대한 평가가 역전되면서 『행복』은 사라졌다가 유일 사상체계가 구축된 후 복원된다. 1950년대 애정 문제에 대해서 논했듯, 『행복』은 1990년대 다시 애정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서 평가되면서 위상이 상승하지만 ‘전쟁기 소설문학의 성과를 보여 주는 대표작’으로 호명된 「불타는 섬」의 평가를 넘어선 것은 아니다. 이런 사실은 ‘애정 윤리’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지만 여전히 ‘영웅주의’라는 북조선 문학의 근본적 관점을 넘어설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지속적으로 영웅을 호명하고 전쟁에 대해 이야기할 수밖에 없는 북조선 문학의 현실을 반증하는데, 이는 영웅 없는 시대에 끊임없이 영웅을 창조할 수밖에 없는 북조선 문학의 난제가 놓여 있다.

      • KCI등재

        ‘현대조선문학선집’의 구성 원리와 균열 양상

        남원진(Nam, Won-jin) 한국근대문학회 201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9 No.2

        이 글은 ‘현대조선문학선집’의 구성 원리와 균열 양상을 점검하는 한편, 북조선 문학의 인식적 지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선집’은 각 작품에 새로운 의미를 발굴하여 재해석한 정전집, 즉 조선문학을 새롭게 구성한 문화정치적 기획의 산물이다. 즉, 1950년대 중반 이후 조선문학을 재배치하고자 했던 근대 기획은 프롤레타리아문학, 특히 이는 ‘사회주의 사실주의’ 문학을 중심핵으로, 북조선식 조선문학의 지도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하지만, 김일성이 지도한 항일무장투쟁의 침투로 조선문학의 재배치는 균열의 양상을 드러낸다. 이는 근대문학 갈래에 ‘가요’의 배치, 즉 ‘혁명(아동)가요’를 전면화하려는 문화정치적 기획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목적론’에 따른 ‘자의적 왜곡’의 한 극단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이 기획은 유일사상체계가 구축된 후, 만들어진 주체문학, 특히 ‘항일혁명문학’의 특이한 형태의 원형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는 근대문학 갈래의 해체라 할 만하다. 하지만 이는 근대문학의 역동성 또는 근대문학의 탐욕성의 일부이기도 하다. 그런데, ‘프롤레타리아문학’을 넘어서 ‘항일혁명문학’으로 나아감은 무엇인가? 북조선의 역사, 또는 북조선의 정통성과 관련된 문제는 아닐까? 김일성과 주체사상의 원형은 1930년대 김일성이 지도한 항일무장투쟁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유일사상체제가 구축된 후, 주체문학은 김일성이 ‘창작’한 것으로 재구성된, 항일혁명문학이 중심핵으로 재배치 되어 있다. 이는 한반도 남쪽 중심의 역사에서 가려졌던 한반도 북쪽의 역사, 즉 식민지 시기 주변부의 역사에 불과했던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의 역사를 중심부의 역사로 배치하고자 한 북조선 문학권력이 가졌던 욕망의 파편이 아닐까? 이런 역사의 발현이 ‘항일혁명문학’으로 나아간 것이 아닐까? 이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는다. This text checks the rearranging principle and split aspect of ‘A Selection of Modern Josun Literature’, while it chooses to provide a cognitive map of North Josun literature. The ‘selection’ is a product of cultural and political planning which has newly ‘re’arranged a collection of canons where each work was reinterpreted by finding a new meaning in it, that is, Josun literature. Namely, the modern planning aiming at ‘re’arranging the literature after the middle of the 1950s chooses to reconstruct a map of North Josun-style Josun literature with proletarian literature, especially, literature of ‘socialist realism’ as its central nucleus. However, the penetration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guided by Kim Il-sung gets the rearrangement of the literature to reveal a split aspect. It is due to the cultural and political planning of arranging ‘songs’ in the branch of modern literature, that is, generalizing ‘revolutionary(juvenile) songs’. But it can be said to be one extreme of ‘arbitrary distortion’ according to ‘teleology’. Also, the planning provides a peculiar form of archetype for the self-reliance literature made after the unique idea system was constructed, in particular,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And it can be said to be the disorganization of the branches of modern literature. It is also part of the dynamicity or avarice of modern literature. And what proceeds towards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beyond ‘proletarian literature’? Isn’t it the issue related to North Josun’s history or orthodoxy? Kim Il-sung and the archetype of self-reliance ideology find roots in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guided by Kim Il-sung in the 1930s. Accordingly, self-reliance literature was reconstructed as his creation, and ‘re’arranged with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as its central nucleus. Isn"t it a fragment of desire had by the literary power of North Josun that wanted to arrange as the history of the central part the history of the north of the Korean Peninsula hidden in the history centering on its south, that is, the history of hi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which was but the history of the peripheral part in the colonial period? Didn’t the revelation of such history proceed towards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I still question about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