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시각, 청각 및 일상생활활동의 관계에 대한 인지기능의 매개효과

        남상훈(Sanghun Nam),홍익표(Ickpyo Hong)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1

        목적 : 노화에 따른 인지 및 신체기능의 저하는 노인 대상에 흔한 증상이다. 노화에 따른 대표적인 기능저하로 시각과 청각,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의 제한이 있다. 이에 따른 많은 연구들이 각 변수 간의 관계성을조사하였다. 하지만 네 개의 변수 간의 관계성을 파악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시각및 청각과 일상생활활동 간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건강보험자료 공유서비스에서 노인 장기요양 DB의 36,7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독립변수로 시각과 청각 변수를 추출하였고 종속변수로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변수를 추출하였다. 매개변수로는 인지기능 변수를 추출하였다. 추출한변수들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여성이 27,250명(74.12%)으로 대부분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82.91세(SD = 5.92)이었다. 시각과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간의 인지기능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시각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간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이 30%, 시각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간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이 42%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청각과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간의 인지기능 매개효과는 기본적일상생활활동에서 50%,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서 53%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결론 : 노화에 따른 기능저하와 관련된 예방 프로그램은 많은 국가사업으로 진행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의결과를 활용한 시각, 청각,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의 관계를 감안하여 예방 프로그램을 수립한다면성공적인 노화를 도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typical decline in function due to aging includes limitations in vision, hearing,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 and hearing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thods :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6,767 persons from the long-term care database on older adults provid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haring Service. The extracted variables were: (i) independent variables: visual and hearing; (ii) dependent variables: basic and instrumental daily living activities; and (iii) mediator variables: cognitive fun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xtracted variables. Results : Cognitive func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of 30%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 and basic daily life activities and 42% in the relationship with instrumental daily life activities. The mediating effect was 50%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and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53% in the relationship with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clusion : Prevention programs for functional decline due to aging are in progres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stablishing a prevention program would help promote successful aging.

      • 가상 완드 스타일의 직관적인 변형을 지원하는 공간 스케치 시스템

        남상훈(Sanghun Nam),채영호(Youngho Chai)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공간 스케치에서 그리고자 하는 모델의 종류에 따라 효율적인 입력장치가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범용적인 공간 스케치 시스템에서 다양한 형태의 완드 형태를 지원하여 그리고자 하는 모델 또는 모델의 특정 부분에 적합한 완드의 형태를 바꾸어 가며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간 스케치를 수행할 수 있다. 모델을 스케치 하는 중에 완드의 형태를 변형하기 위하여 기존의 메뉴를 사용하지 않고, 완드의 자세 또는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완드의 타입과 형태를 바꾸는 완드 스타일을 제안하였으며, 완드의 입력 데이터를 격자 기반의 드로잉 기법을 사용하여 공간 스케치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According to the target object for designer to sketch, an effective style or shape of input device can be defined differently. The general spatial sketching system that support various types of wand assist sketching effectively as changing suitable wand shape to the part of a target object. We suggest the idea of changing wand style by altering the posture of a 3D wand. This allows a designer to work in an intuitive way without being interrupted by complicated menus. We implement the various wand styles to the spatial sketching system with cubic-based drawing technique.

      • 정의된 육면 격자의 공간 타일링에 의한 3차원 모델링

        남상훈(Sanghun Nam),채영호(Youngho Chai)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2

        3차원 공간 모델링을 하기 위한 스케치 시스템의 경우, 3차원 공간상의 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디자이너의 의도를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3차원 공간상의 스케치는 공간 입력장치의 디자이너 사용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디자이너가 일반적으로 사용해 온 드로잉 방식인 다중의 스트로크를 데이터로 사용하여 의도한 모델링을 수행하게 된다. 다중의 스트로크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 공간상에 정의된 격자를 이용한 모델링 방식을 사용하였다. 곡면을 구성하기 위한 격자간의 관계 및 다중의 스트로크를 처리하기 위한 주변 격자간의 관계를 정리하고, 이를 이용한 스케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In case of the 3D Sketch System for spatial modeling. The use of 3D input devices in 3D environment is the best method to express designer' s intention. However, the designer' s 3D drawing skill is not accurate. So, we use the multiple strokes used generally by 2D sketch, Multiple strokes make the designer recognize model' s current drawing features and what he change. We use the cubic-based drawing method to calculate many surfaces in realtime. We arrange the relations of cubes for composing surfaces and multi strokes. We implement the sketch system taking cubic modeling and multiple strokes technique.

      • KCI등재

        Intuitive Spatial Drawing System based on Hand Interface

        Ginam Ko(고기),Serim Kim(김세림),YoungEun Kim(김영은),SangHun Nam(남상훈)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7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VR)-related technologies has resulted in the improved performance of VR devices as well as affordable price arrangements, granting many users easy access to VR technology. VR drawing applications are not complicated for users and are also highly mature, being used for education, performances, and more. For controller-based spatial drawing interfaces, the user’s drawing interface becomes constrained by the controller. This study proposes hand interaction based spatial drawing system where the user, who has never used the controller before, can intuitively use the drawing application by mounting LEAP Motion at the fron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HMD). This traces the motion of the user’s hand in front of the HMD to draw curved surfaces in virtual environments.

      • [디젤엔진부문] DME 엔진의 커몬레일 연료 분사시스템에 관한 연구 (베이퍼록 방지 장치 개발)

        양세문(Seemoon Yang),남상훈(Sanghun Nam),노부히코 토리고에(Nobuhiko Torigoe),김영길(Youngkil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1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11_1

        DME is one of the most attractive fuels for heavy duty engines in a near future. DME Engines for utilization technologies have a defect that fuel feeding in liquid state is unstable for aptness of vaporization in fuel supply systems. <br/> In this study, for resolving the defects of un stability, in stead of N₂Bomb method used formerly, We have tried to develope the new equipment and obtained good enough results, that is, its effectiveness can be proved in engine tests<br/>

      • KCI등재후보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이중과제 훈련의 인지기능 효과 : 체계적 고찰

        진연주(Jin, Yeonju),주유미(Ju, Yumi),남상훈(Nam, Sanghun),배수영(Bae, Suyeong),홍익표(Hong, Ickpyo)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3 No.2

        목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이중과제 훈련의 인지기능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 검색으로 PubMed, Embas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1년 1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로는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ual-task” OR “combined cognitive and physical training”을 사용하였다. 문헌 선정의 절차를 통해 3,060개의 임상 실험연구 중에서 5개의 연구가 선택되었다. 선정된 연구들은 대상 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 비뚤림 위험 평가, 이중과제 유형 및 중재 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총 5개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방법론적 질 평가의 총점 평균은 6.2점으로 ‘양호’로 나타났다. 비뚤림위험 평가 결과 선정된 연구 중 3편에서 배정순서 은폐, 참여자 및 연구자의 눈가림, 불완전한 결과처리 영역에서 위험도 높음으로 평가되었다. 이중과제 훈련 유형으로는 모두 동시적 이중과제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주의 집중력, 실행기능의 인지기능과 인지 선별 검사에서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이중과제 훈련은 치매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환경에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이중과제 훈련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Objective : The study aims to review the dual-task training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 From January 2011 to September 2021, we searched the peer-reviewed manuscript related to dual-task training for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using the PubMed, Embase databases. The five studies were selected from the 3,060 clinical trial studies related to dual-task training. Selective studies were analyzed for the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PEDro) scale, risk of bias, dual-task training type, intervention effect. Results : The selected five studies was average total score of the PEDro scale was 6.2, ‘good’. Three studies showed a high risk of bias. The dual task training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cognitive function of attention, executive function, and cognitive screening evaluation. Conclusion :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ference for applying the dual task training to the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in clinic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