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교육 방안

        전수련(Su-Ryun Jeon),김선회(Seon-Hwoi Kim),남동수(Dong-Soo Nam),이태욱(Tae-Wuk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는 데이터를 수집, 조작, 가공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사회이다. 외국의 경우,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걸맞게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부터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 단순한 정보의 검색 및 활용 교육에 그치고 있다. 심지어 초등 정보영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교육 역시 컴퓨터 과학의 타 영역에 비해 매우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초등학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교육 방안을 교육 내용 및 수준,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내용 및 수준의 경우 초등학생이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과제를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조작, 응용하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평가하기는 과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 수준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력, 협력적 태도의 종합적 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 컴퓨터교육 : HCI 관점에서의 Computational Thinking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

        전수련 ( Su Ryun Jeon ),남동수 ( Dong Soo Nam ),이태욱 ( Tae Wuk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6 No.1

        본 논문에서는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관점에서의 Computational Thinking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Computational Thinking은 컴퓨팅의 기본 개념들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을 설계하며 시스템 상황 속에서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 접근 방법이다. 이 같은 접근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HCI)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초등학생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생활 가전을 주제로 추상화 과정을 거치고 사용자 특성에 맞게 새롭게 설계해보는 과정을 통해 Computational Thinking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 초등 정보영재의 알고리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중심의 컨텐츠 개발

        전수련(Su-Ryun Jeon),남동수(Dong-Soo Nam),이태욱(Tae-Wuk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2

        창의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영재 교육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 영재를 위한 연구는 수학이나 과학 영재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며, 특히 초등 정보영재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은 창의적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보다 학습자의 수준에 맞지 않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사용법이나 문법 위주의 교육에 치중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초등 정보영재의 알고리즘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생활 중심의 컨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주제를 선정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Polya의 문제해결모형을 토대로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고 그 안에서 알고리즘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알고리즘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컨텐츠를 설계하였다.

      • 초등 정보영재의 리더십 향상을 위한 SNS 활용 전략

        전수련(Su-Ryun Jeon),김선회(Seon-Hwoi Kim),남동수(Dong-Soo Nam),이태욱(Tae-Wuk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1

        영재교육의 목표는 개인의 자아실현 및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우리의 영재교육이 지적인 영역에 치중한 결과, 우리나라 영재의 리더십 수준은 미국의 일반 학생과 비슷하다는 분석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지적능력만 뛰어난 영재는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타인을 배려하고 소통하며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인재상과는 거리가 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도구로 SNS를 활용하였다. SNS는 다양한 자료를 검색, 공유할 수 있고 사람사이의 관계 맺기, 타인과의 소통을 기반으로 하기에 리더십 교육의 목표 실현에 적합한 특징을 지녔고, 컴퓨터나 인터넷 등 첨단 기기의 사용을 즐기는 정보 영재의 특성과도 일치하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유투브, 위키피디아, 트위터 등의 SNS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제작하고 간단한 메시지로 타인과 소통하며, 위키에서 협업하여 과제를 수행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대인관계와 조직능력, 타인과 공동체 배려 등 리더십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 포스터 : 정보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로봇 활용 학습 프로그램

        전수련 ( Su Ryun Jeon ),김선회,남동수 ( Dong Soo Nam ),이태욱 ( Tae Wuk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7 No.1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로봇 활용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프로그래밍은 복잡하고 추상적인 개념에 대한 실체적 경험을 제공하기에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훌륭한 도구라 할 수 있다. 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사용법과 문법 위주라는 과거 프로그래밍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이끌어 문제해결력 향상이라는 목표 도달에 더욱용이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피코 크리켓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실생활과 밀접한 주제를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만들어보고, 프로그래밍하여 실제 물리적인 공간에서 시뮬레이션 해보는 과정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초등 정보영재의 알고리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주제의 이야기 쓰기 교수.학습 프로그램

        전수련(Su-Ryun Jeon),남동수(Dong-Soo Nam),이태욱(Tae-Wuk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1

        정보화시대에 요구하는 인재는 문제를 인식하고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 다양한 전문가들과 함께 창의적인 사고를 통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인물이다. 정보영재교육의 목표 역시 창의적 인재를 기르는 데 있으나,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 교육은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사용법이나 문법 위주의 교육, 정렬 및 탐색과 같은 알고리즘 그 자체에 치중함으로서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인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필요한 사고력, 즉 사고 과정에 대해 안내하고 생각하는 알고리즘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방안으로 실생활 주제의 이야기 쓰기를 활용하는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반성적 사고와 창의성을 기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이야기 쓰기 활동에서 출발하여 사건 요소 추출과 시간적 질서 분석하기, 순서도로 알고리즘 표현하기, 동료 학습자와 토의하기 등의 과정을 통해 알고리즘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e-러닝: m-러닝 2 ; Social Media를 활용한 정보영재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수련 ( Su Ryun Jeon ),남동수 ( Dong Soo Nam ),이태욱 ( Tae Wuk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5 No.2

        영재교육의 목표는 개인의 자아실현 및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우리의 영재교육이 지적인 영역에 치중한 결과, 우리나라 영재의 리더십 수준은 미국의 일반 학생과 비슷하다는 분석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지적 능력만 뛰어난 영재는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타인을 배려하고 소통하며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인재상과는 거리가 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도구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였다. 소셜 미디어는 타인과의 소통, 참여, 커뮤니티 등 리더십 교육의 목표 실현에 적합한 특징을 지녔고, 컴퓨터나 인터넷 등 첨단 기기의 사용을 즐기는 정보 영재의 특성과도 일치하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유투브, 위키 기반의 스프링 노트, 트위터 등의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제작하고 간단한 메시지로 타인과 소통하며, 위키에서 협업하여 과제를 수행해나가는 과정에서 또래 반장집단에 비해 부족하다고 지적된 대인관계와 조직능력, 타인과 공동체 배려등 영재의 개인 간 리더십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 포스터 : 초등 정보영재를 위한 PBL(Problem Based Learning)기반 데이터베이스 학습 프로그램 개발

        전수련 ( Su Ryun Jeon ),김선회 ( Sun Hwoi Kim ),남동수 ( Dong Soo Nam ),이태욱 ( Tae Wuk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6 No.2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영재를 위한 PBL(Problem Based Learning)기반 데이터베이스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PBL은 비구조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실제적인 현실 상황에서의 문제를 기초로 학습자들이 협동학습을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교육방법이다. 이러한 PBL은 실제생활과 연관된 문제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추상적인 개념 이해를 돕고 학습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기에 데이터베이스의 추상적인 개념 이해가 어렵기 때문에 단순한 정보의 검색 및 활용에 그치고 있는 우리나라의 데이터베이스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학습자들은 자신의 생활에서 흔히 만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에 대한 이해 및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계산 그리드에서의 시변 쿼럼 상태 예측을 기반으로 한 QoS 제약 자원 재구성 방법

        김병상(Byungsang Kim),윤찬현(Chan-Hyun Youn),남동수(Dong Su Nam),이봉한(Bong Hw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1 No.5

        Quality of Service (QoS) 제약을 통한 자원관리 정책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서비스를 보장해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쿼럼 시스템은 중복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의 무결성과 가용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사용자의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시스템 자원 및 네트워크 자원의 QoS를 만족시킬수 있는 쿼럼 기반의 자원관리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우리는 쿼럼 시스템내의 자원에서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시간을 통하여 자원의 상태예측을 하고 기대되는 자원의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자원의 재구성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자원의 재구성은 현재의 가용한 쿼럼내의 자원의 집합을 요구되는 서비스 수준으로 새롭게 재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원 재구성 정책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우리는 인공심장혈류해석 병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자원의 재구성 방식이 자원의 재구성 방식을 채택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완료시간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실행환경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Quality of Service (QoS)-constrained policy has an advantage to guarantee QoS requirements requested by users. Quorum systems can ensure the consistency and availability of replicated data despite the benign failure of data repositories. We propose a Quorum based resource management scheme, which includes a system resource and network resource, both of which can satisfy the requirements of application QoS. We also propose the resource reconfiguration algorithm based on temporal execution time estimation method. Resource reconfiguration means that reshuffling the current available resource set for maintaining the quality level of the resources. We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resource reconfiguration mechanism with a Heart Hemodynamics analysis. Our approach shows the increase of the stability of execution environment as well as decrease the completion time compare to the method that is not adapted the resource reconfigu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