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동형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 특허 동향 분석

        남기혁,금영섭,강성주,허성진,최완,김명준,Nam, Gi-Hyeok,Geum, Yeong-Seop,Gang, Seong-Ju,Heo, Seong-Jin,Choe, Wan,Kim, Myeong-Ju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3 No.2

        최근 웹의 성공을 토대로 기존의 공개 소프트웨어 제공 방식을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누구라도 쉽게 소프트웨어와 콘텐츠를 사용하고 제작하고 유통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여기에 소프트웨어나 콘텐츠를 특정 서버에 의한 중앙 집중적인 방식으로 관리하지 않고, 개인이 이동식 저장 장치를 통해 휴대하면서 어떠한 단말기에서도 동일한 작업 환경에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형 소프트웨어 플랫폼 관련 기술은 아직 명확히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기술 분야로서 SaaS, 웹, 이동형 소프트웨어라는 세 가지 기술 키워드를 토대로 접근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웹 서비스, 온디맨드 컴퓨팅 등과 같은 기존의 서버 중심 기술 외에도 위의 세가지 키워드를 포괄하도록 여덟 가지 세부기술 분야로 분류하여 특허를 검색한 후 국가,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별 특허 동향을 연도별 추이와 함께 정리한 후, 세부기술 분야별 동향도 분석하였다.

      • 독거노인의 사회적 참여도를 예측하기 위한 MMSE 오각형그리기 검사의 유용성

        남기혁(Gi Hyeok Nam),김정우(Jung Woo Kim),박기창(Ki Chang Park),김태희(Tae Hui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7 사회정신의학 Vol.22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건강한 독거노인의 사회적 참여와 MMSE(Mini-Mental Status Examination)를 이용한 시공간 능력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지역사회 독거노인 중 우울증, 인지 장애 및 신체 장애가 없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MMSE pentagon test로 시공간 능력을 평가하였고, 외출빈도로 사회적 참여를 측정 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참여도에 따른 특징을 비교한 다음, 남녀별 사회적 참여도에 시공간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 총 대상자는 675명(남자 : 168명, 여자 : 507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76.4±5.8세(남자 : 75.6±5.6세, 여자 : 76.7±5.8세)였다. 여성과는 달리 남성에서는 시공간 능력이 손상되어 있을 수록 사회적 참여가 낮았다(OR 0.32, 95 % CI : 1.2-7.94, p=0.019). 결 론 : 남성 노인은 우울증, 다른 인지 기능의 손상 및 신체적 장애와 관계없이 시공간 능력의 감소가 사회적 참여도의 저하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사회적 관심과 조기 개입이 필요한 독거노인들에게서 MMSE의 새로운 활용법을 고려해야 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ospatial abilities using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and the social engagement in healthy elderly living alone.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the elderly who had no depression, cognitive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among participants in the surve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a rural area. The visuospatial ability was evaluated by MMSE pentagon test and the social engagement was measured by frequency of going out.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high and low social engagement 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then evaluated the effect of visuospatial ability on social engagement by separating men and women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There were 675 participants (man : 168, women : 507) and their average age was 76.4±5.8 years (man : 75.6±5.6 years women : 76.7±5.8 years). The impairment of visuospatial ability was associated with low social engagement in men (OR 0.32, 95% CI : 1.2-7.94;p=0.019) but in women.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ow social engagement in elderly men may be relate to decline of visuospatial ability regardless of depression, impairment of other cognitive functions, and physical disabilities. As a result, we need to consider new application of MMSE in community, especially, i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ho need social att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 알코올 의존에 따른 니코틴 의존과 수면의 질

        김현숙(Hyun-Sook Kim),김정우(Jung Woo Kim),남기혁(Gi Hyeok Nam),민성호(Seongho Min),고상백(Sang-Baek Koh),김태희(Tae Hui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8 사회정신의학 Vol.23 No.2

        연구목적 :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에서 주관적 수면의 질은 저하되어 있다. 니코틴 의존과 수면 질 사이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며, 특히 알코올 의존에 따라 비교된 연구도 거의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1) 니코틴 의존 특성, 2) 니코틴 의존과 수면의 질 사이의 연관성, 3) 알코올 의존에 따른 니코틴 의존과 수면 질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 법 : 한 지역의 집중 금연 캠프 프로그램에 참여한 193명의 남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니코틴 의존의 정도는 Korean Nicotine Dependence Syndrome Scale (이하 NDSS) 로 측정하였으며, NDSS는 ‘추동(Drive)’, ‘우선순위(Priority)’, ‘연속성(Continuity)’, ‘내성(Tolerance)’, ‘정형성(Stereotype)’의 5개 하위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수면의 질은 Korean version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이하 PSQI)로 측정하였다.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이하 AUDIT)를 통해 정상 음주군과 알코올 의존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니코틴 의존과 수면 질 사이의 연관성은 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연령, 체질량지수, 신체 질환, 알코올 의존, 스트레스를 보정하여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정상 음주군(108명)과 알코올 의존군(85명)의 평균 연령은 58.66±10.29세, 53.45±10.22세였다(p=0.0006). 알코올 의존군은 수면 잠복기가 더 길었으며(1.40±0.87 vs 1.71±0.91, p=0.018), 더 자주 수면 약물을 사용하였다(0.40±0.91 vs 0.13±0.53, p=0.011). 전체 대상자에서 NDSS와 PSQI 사이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0.229, p=0.001). NDSS 하위척도 중 ‘추동’(r=0.185, p=0.01), ‘우선 순위’(r=0.196, p=0.0006), ‘연속성’(r=0.16, p=0.026), ‘내성’(r=0.203, p=0.005) 이 PSQI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알코올 의존군에서는 NDSS 총점, NDSS 하위 척도와 PSQI 사이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시, 전체 대상자와 정상 음주군에서 NDSS 총점과 ‘우선순위’와 ‘내성’ 하위 척도는 PSQI에 영향을 미쳤다. 결 론 : 정상 음주군과 알코올 의존군의 흡연자들에서 수면의 질 저하를 관찰할 수 있었지만, 니코틴 의존과 수면 질 저하의 관련성은 정상 음주군에서만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정상 음주군에서는, 니코틴 의존의 치료 또는 금연이 주관적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Subjective quality of sleep is impaired in smokers compared with non-smokers, but the association between nicotine dependence (ND) and sleep quality (SQ) has not been well-characterized, especially according to alcohol depend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1) the nicotine dependence characteristics, 2) the associations between ND and SQ and 3) the associations between ND and SQ according to alcohol dependence. Methods : We recruited 193 male smokers who had participated in one area’s intensive smoking cessation program. The severity of nicotine dependence was measured with Korean Nicotine Dependence Syndrome Scale (NDSS), which collects data on five subscales including : 1) drive ; 2) priority ; 3) continuity ; 4) tolerance ; and 5) stereotype. To evaluate subjective sleep quality in smokers, Korean version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was used. We divided the group of smokers into the Non-alcohol dependence (NAD) group and the Alcohol dependence (AD) group by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Associations between ND and SQ were examined in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controlling for age, BMI, clinical illness, alcohol dependence, and perceived stress.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NAD group (n=108) and the AD group (n=85) was 58.66±10.29 and 53.45±10.22 years (p=0.0006). The AD group had longer sleep latency (1.40±0.87 vs 1.71±0.91, p=0.018) and frequent use of sleep medicine (0.40±0.91 vs 0.13±0.53, p=0.011). The whole participant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DSS and the PSQI (r=0.229, p=0.001). Among the NDSS’s subscales, the drive (r=0.185, p=0.01), the priority (r=0.196, p=0.0006), the continuity(r=0.16, p=0.026), and the tolerance (r=0.203, p=0.005)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SQI. However, the AD group had no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DSS, NDSS’s subscales and the PSQI.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NDSS’s total score, the priority and the tolera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PSQI in the whole participants and the NAD group. Conclusion : Although both NAD and AD group smokers had poor sleep quality, nicotine dependence are associated with poor sleep quality in the NAD group. Treatment of nicotine dependence or quitting smoking may improve subjective sleep quality especially in non-alcohol dependence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