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Civil Service Reform in Participatory Government:Civil Service System in Transition

        남궁근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07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22 No.1

        This paper analyzes the recent reform initiatives of the civil service system in Korea. The modern civil service system was founded during the Park Jung-Hee Administratio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can be summarized as a merit-based, rank-oriented, closed career, and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The Korean civil service system was instrumental during the period of government-led growth. However, the 1997 financial crisis and the ensuing economic recession instigated the Korean government reform program, including civil service reform. As the package of civil service reform policies has been formulated and implemented during the Kim Dae-Jung and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s, the Korean civil service system is experiencing a paradigm shift from a rank-oriented, closed-career, seniority-based, and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to a job-oriented, open-career, performance- based, and decentralized system. This article outlines three factors explaining the transformation. For Korean civil service reform to be successful, implementation is requi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article discusses several tasks that are necessary for fully achieving the reform goals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 KCI등재

        행정학자 시민단체 참여 활동의 성과와 한계: 경실련, 참여연대, 시민행동, 행개련을 중심으로

        남궁근 한국행정학회 2007 韓國行政學報 Vol.41 No.4

        This paper describes contribu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ers' participation i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on Government Reform. After introducing theories of market failure, government failure, and participatory governance as rationales for NGO participation, the historical growth of NGOs and their relation with the government in Korea were briefly reviewed. The activities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ers participating in NGO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cases of Citizens' Coalition on Economic Justice (CCEJ),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PSPD), Citizens' Action, and the Citizens' Coalition for Better Government (CCBG). Characteristics of their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roles at the initial stages of NGO formation, policy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within the organization or the organization's governance. It was pointed out that their activities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agenda-setting and policy formation in the fields of anti-corruption policies, civil service reform, budgetary reform and monitoring, decentralization policies, and democratization of politics and administration.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they could not consistently devote much time to the NGO activities, and that they did not prefer radical alternatives and methods of participation such as protest demonstrations. NGO, Government Reform,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er 우리나라 행정학자들이 시민단체 활동을 통하여 추구하고자 했던 행정개혁의 성과와 한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행정학자의 시민단체 참여 배경으로 우리나라 시민단체 현황을 개관하고 이론적 근거로 시장실패와 정부실패의 보완논리, 그리고 참여 거버넌스론을 살펴보았다. 행정학자의 시민단체 참여 현황을 대표적 시민단체인 경실련, 참여연대, 함께하는 시민행동, 행개련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행정학자의 참여를 형성단계에서의 참여, 조직의 거버넌스 참여, 그리고 정책 활동 참여로 구분하여 살펴 본 후,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행정학자들은 시민단체 활동에 참여하면서 반부패개혁, 인사개혁, 예산개혁과 감시, 지방자치, 정치와 행정의 민주화 등 행정개혁을 추진하는데 일정 정도 기여하였다. 한편 시간적 제약 등으로 지속적으로 시민단체 활동에 참여하기 어렵다는 점, 과격한 개혁대안이나 개혁방법을 선호하지 않는 경향 등이 그 한계로 지적되었다.

      • KCI등재
      • 고위공무원단 도입에 따른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주요국가 사례 연구

        남궁근,하태권,박천오,김영우 한국행정연구원 2005 기본연구과제 Vol.2005 No.-

        고위공무원은 국정운영의 핵심적인 주체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정부의 고위공무원들은 체계적으로 육성되고 관리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자기부처 출신자 임용현상의 관행화로 고위공무원을 범정부적으로 활용하기 곤란했고, 고위공무원들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육성체계가 미흡했으며, 이들의 성과를 제고하도록 유인하는 동기부여 시스템 역시 매우 미흡한 실정인 것이다. 한국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폭넓은 경험과 식견을 갖춘 핵심인재를 범정부 차원에서 통합ㆍ관리할 수 있는 인사시스템으로 고위공무원단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고위공무원단제도의 도입은 지금까지의 공무원 인사제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신중하고 심도 있는 연구와 검토를 거쳐서 실효성 있는 도입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 주요외국의 고위공무원단 도입사례와 도입성과 및 부작용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선진국의 경험이 우리나라에 제시하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국정부가 2006년 도입예정으로 설계한 고위공무원단 제도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평가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제도설계를 보완하고 이 제도를 원활하게 운영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senior civil service systems of foreign countries, and to draw some lessons for senior civil service system of Korea. In July 2006, The Korean government will introduce a new public personnel system, Senior Civil Service, in order to integrate and manage competent senior officers in the whole government sector. Before introducing the new personnel system which can fundamentally change the current public personnel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and evaluate the senior civil service systems of the foreign countries, and to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these countries. Chapters 2 and 3 of this research analyze and compare the major features, and the implementation results of senior civil service systems of Australia, Canada,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Chapter 4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enior civil service which will be introduced in July 2006, and analyzes the results of survey which was conducted to specialists in the field of public personnel management. Chapter 5 draws some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oreign countries and survey research.

      • KCI등재

        민주화 이후 역대 정부의 정책조정 비교분석: 조직 전문화, 정책조정 메커니즘, 조정역량의 변동패턴을 중심으로

        남궁근,우하린 한국행정연구원 2023 韓國行政硏究 Vol.32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autonomy and specialization of government organiz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policy coordination mechanisms, and the policy coordination capacity of previous administrations after the 1987 democratic transi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of experts, the autonomy and specialization of government organizations have gradually improved since the democratic transition, compared to the 1980s before democratization. In addition to the hierarchical tools, market-type and network-type tools have been utilized for policy coordination. However, organizational specialization and coordination performance showed a zigzag pattern(↝) that fluctuated considerably by administration. This is a different pattern from the U type(↺) in the UK, the horizontal type(→) in France, and the vertical type(↑) in the United States. To enhance government organizations’ expertise and strengthen future policy coordination capabilities, policy implications such as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olicy coordination mechanism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the succession of policy coordination systems through learning were suggested. It is also worth recalling that the administrations, which have improved their policy coordination capabilities and the level of specialization of ministries, were interested in institutional design and monitoring their operation by the center of the government, including the president. 본 연구에서는 민주화 이후 역대 정부별로 부처조직의 자율성 및 전문화 수준, 정책조정 메커니즘 활용의 특징, 그리고 정책조정역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문가 대상의 델파이 조사(Delphi) 결과, 민주화 이전인 1980년대와 비교하여 민주화 이후 부처조직의 전문성은 점차 제고되어왔으며, 정책조정 메커니즘은 계층형 위주에서 시장형과 네트워크형 도구들이 추가되어 왔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조직 전문화와 조정역량은 정부별로 변동이 상당히 큰 지그재그(↝) 패턴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국의 유턴형(↺), 프랑스의 수평이동형(→), 미국의 수직이동형(↑)과는 다른 패턴이다. 향후 정부 조직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정책조정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정책조정 메커니즘 설계와 운영, 학습을 통한 정책조정 시스템 승계와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책조정역량과 부처 전문화의 수준이 향상된 정부의 공통점은 대통령을 포함한 정부 핵심부가 제도설계에 관심을 가지고 제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직・간접으로 점검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