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전자선 조사한 아몬드(Prunus amygosalus L.)와 땅콩(Arachis hypogaea)에서 유래한 지방분해산물 분석

        정인선(In Seon Jeong),김재성(Jae Sung Kim),황인민(In Min Hwang),최성화(Sung Hwa Choi),최지연(Ji Yeon Choi),노은영(Eun Yeong Nho),나임칸(Naeem Khan),김병숙(Byung Sook Kim),김경수(Kyong Su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1

        아몬드와 땅콩의 비조사 시료와 1, 3, 5, 10 kGy로 전자선을 조사한 시료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의 생성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방을 n-hexane으로 추출하여 florisil column으로 분리 및 GC/MS로 분석하였다. 전자선 조사된 아몬드와 땅콩에서 유래한 hydrocarbon류는 oleic acid에서 1,7-hexadecadiene(C<SUB>16:2</SUB>)과 8-heptadecene(C<SUB>17:1</SUB>), linoleic acid에서 1,7,10-hexadecatriene(C<SUB>16:3</SUB>)과 6,9-heptadecadiene(C<SUB>17:2</SUB>), 그리고 palmitic acid에서 1-tetradecene(C<SUB>14:1</SUB>) 및 pentadecane(C<SUB>15:0</SUB>) 생성되었고, oleic acid와 palmitic acid에서는 C<SUB>n-2</SUB>, linoleic acid에서는 C<SUB>n-1</SUB> 화합물이 보다 더 높게 생성되었다. 전자선을 1, 3, 5, 10 kGy의 선량별로 조사한 시료에서 생성된 hydrocarbon류의 함량은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고 비조사 시료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oleic acid와 linoleic acid에서 유래한 1,7-hexadecadiene(C16:2), 8-heptadecene(C17:1)과 1,7,10-hexadecatriene(C<SUB>16:3</SUB>) 및 6,9-heptadecadiene(C<SUB>17:2</SUB>)의 경우 아몬드와 땅콩 모두에서 다른 hydrocarbon류에 비해 전자선 조사에 의한 생성량이 높게 나타난바 전자선 조사유무 판별 marker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Food irradiation has recently become one of the most successful techniques to preserve food with increased shelf lif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ydrocarbons in almonds (Prunus amygosalus L.) and peanuts (Arachis hypogaea) induc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The samples were irradiated at 0, 1, 3, 5 and 10 kGy by e-beam and using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 fat, and content was extracted. The induced hydrocarbons were identifi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major hydrocarbons in both irradiated samples were 1,7-hexadecadiene (C<SUB>16:2</SUB>) and 8-heptadecene (C<SUB>17:1</SUB>) from oleic acid, 1,7,10-hexadecatriene (C<SUB>16:3</SUB>) and ,9-heptadecadiene (C<SUB>17:2</SUB>) from linoleic acid and 1-tetradecene (C<SUB>14:1</SUB>) and pentadecane (C<SUB>15:0</SUB>) from palmitic acid. Concentrations of the hydrocarbons produced by e-beam were found to be depended up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in both almonds and peanuts. The Cn-2 compound was found to be higher than Cn-1 compound in oleic acid and palmitic acid, while in case of linoleic acid, Cn-1 compound was higher than Cn-2 compound. The radiation induced hydrocarbons were detected only in irradiated samples, with 1 kGy or above, and not in the non-irradiated ones. The production of 1,7-hexadecadiene (C<SUB>16:2</SUB>), 8-heptadecene (C<SUB>17:1</SUB>), 1,7,10-hexadecatriene (C<SUB>16:3</SUB>) and 6,9-heptadecadiene (C<SUB>17:2</SUB>), in high concentration gave enough information to suggest that these may be the possible marker compound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in almonds and peanuts.

      • KCI등재후보

        죽로차의 생엽과 반발효차의 휘발성 화합물 비교

        전동복(Dong-Bok Jeon),이순임(Sun-Im Lee),김재성(Jae-Sung Kim),홍영신(Young-Shin Hong),정인선(In-Seon Jeong),최성화(Sung-Hwa Choi),노은영(Eun-Yeong Nho),최지연(Ji-Yeon Choi),나임칸(Naeem Khan),서혜영(Hye-Young Seo),김경수(Kyong-Su Kim 한국차학회 2012 한국차학회지 Vol.18 No.1

        죽로차 생엽과 반발효차의 휘발성 화합물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생엽에서는 총 93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분석되었으며 alcohol류가 32종으로 함량은 75.9 ㎎/㎏으로 동정되었다. 그 외 화합물로 aldehyde류, ester류, hydrocarbon류, keton류, 함질소화합물류, acid류 등의 함량은 22.7 ㎎/㎏으로 확인되었다. 반발효차에서는 총 76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분석되었으며, alcohol류가 23종으로 함량은 59.0 ㎎/㎏이 확인되었다. Aldehyde류, ester류, hydrocarbon류, ketone류, 함질소화합물류, acid류 등 화합물은 44.9 ㎎/㎏으로 확인되었다. 죽로차 생엽에서 다량 동정된 휘발성 화합물은 (E)-2-hexenal, phenylethyl alcohol, geraniol 그리고 linalool이 총화합물의 31.5%를 차지하였고, 반발효차에서 각각 0.3, 1.2, 3.1 및 4.4 ㎎/㎏으로 동정되어 발효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반발효차에서는 (E)-nerolidol, indole, ethyl acetate, coumaran, (Z)-jasmone 등이 주요 화합물로 확인되었고, peak area의 합계는 전체 화합물의 31.0%에 해당되었으며, 이들의 함량을 생엽과 비교 했을때 많은 양이 증가하였다. C6 화합물은 생엽에서 7.8 ㎎/㎏ 동정되었으며, 반발효차에서는 1.0㎎/㎏으로 많은 양이 감소하였다. Terpenoid의 화합물은 생엽과 반발효차에서 28.2 ㎎/㎏ 및 24.9 ㎎/㎏으로 확인되었다. 관능기별 함량은 alcohol류과 aldehyde류를 제외한 ester류, ketone류, hydrocarbon류, 함질소화합물류의 함량은 발효시 증가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volatile compounds among fresh and semi-fermented leave of Zukro tea. Volatile compounds were extracted the using SDE method and analyzed by GC/MS. A total of 93 and 76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fresh and semi-fermented leave, respectively. Alcohols were the predominant chemical group, with a proportion of 76.96% and 56.85% in fresh and semi-fermented leaves. The major alcohol compound in both samples was phytol, which had a higher aroma threshold and resulted from hydrolysis of chlorophyll. Terpenoid compounds were present at 29.1 and 24.9 ㎎/㎏, in fresh and semi-fermented leaves, respectively. Terpene alcohols such as linalool and geraniol were present as major volatile compounds at concentrations of 7.8 and 14.4 ㎎/㎏ in fresh leaves of Zukro tea,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hese two terpene alcohols were 4.4 and 3.1 ㎎/㎏ in semi-fermented leaves. C6 compounds were present at 7.8 ㎎/㎏ in fresh leaves but decreased to 1.0 ㎎/㎏ in semi-fermented leave. The contents of esters, ketones, hydrocarbons, and N-containing compounds all increased after semi-fer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