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Rezeption und Umformung des westlichen Nationsbegriffes in Korea

        나인호 한국독일사학회 2015 독일연구 Vol.- No.30

        본 연구는 서양의 국민 및 민족개념이 1900년경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가를 다룬다. 본 연구는 개념의 번역이란 번역자의 고유한 맥락에서 나온 고유한 생산물이므로 원래적인 의미의 변화란 피할 수 없는 것임을 강조하는 개념사적 시각에 입각하여 진행된다. 서양의 민족 및 국민 개념의 수용사는 서양 제국주의의 동아시아 침략과 맥을 같이한다. 중국·일본에서와 유사하게 한국에서도 내우외환의 위기를 극복하기위한 위로부터의 개혁 시도들이 있었다. ‘부국강병’, ‘문명개화’의 슬로건 하에 한국의 엘리트들, 즉 개화파 지식인들은 일본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근대국가 및 근대사회의 수립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서양의 국민 및 민족개념은 이러한 맥락에서 수용되었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이미 1860/70년대에 동아시아에서 영어의 'nation' 개념을 최초로 ‘國民’으로 번역하였다. 그는 ‘people'과 'nation'을 ‘國民’으로, 또 'nation'을 ‘國家’로 번역하면서 서양의 근대 ‘민족/국민’ 개념과 흡사하게 ‘people', 'nation', 'state'를 동일시하였다. 이후 일본에서는 ‘國民’ 개념이 일본의 미래국가를 둘러싼 논쟁 속에서 투쟁개념으로 사용되면서 1890년대가 되면 정치적 기본개념으로서 확고히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개화파 지식인들은 ‘國民’ 개념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특히 후쿠자와의 제자이자 자신의 스승의 작품 『서양사정』을 모델로 『서유견문』을 쓴 유길준 조차 ‘國民’ 대신에 전통적 어휘인 ‘國人’을 사용하였다. 국민 개념을 지칭하기 위해 개화파는 전통적 어휘인 ‘인민’, ‘백성’, ‘동포’를 선호하였다. 물론 이러한 단어들은 개화파의 담론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았다. 그들은 무엇보다 이러한 단어들을 종래의 하층민, 피치자 등의 의미가 아닌 ‘모든 신분이나 계급, 통치자와 피치자’를 포괄하는 동등한 국가 구성원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특히 ‘동포’는 민족/국민 국성원의 평등과 형제애를 강조하는 은유로 빈번히 사용됨으로써 ‘民族’의 개념적 등가물로 기능하였다. 동시에 기존의 수동적 피지배민을 의미하던 ‘인민’, ‘동포’는 점차로 정치적 행동주체, 더 나아가 주권자의 의미로 변화되기 시작했다. 아이러니하게도 국망 전야(1905-1910)에 가서야 ‘國民’ ‘民族’ 개념이 정치적 기본개념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매일신보』의 경우 1908년이 되면 그 빈도수에서 ‘국민’이 ‘인민’을 능가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민족’ 또한 빈번히 사용되었다. 물론 여기에는 한국의 미래국가를 둘러싼 논쟁에서 ‘국민’을 ‘신민’으로 동일시하려는 시도부터 개화파의 ‘인민’ 개념과 동의어로 사용하려는 시도, 나아가 ‘국민’을 서양의 국민/민족 개념의 의미에서 주권자로 이론화하려는 시도까지 다양한 의미론적 경쟁이 있었다. 또한 ‘국민’이 ‘민족’과의 밀접한 맥락 속에서 논의되기 시작했다. ‘민족’이라는 -당시의 기준에서- 외래어는 독일의 ‘Nation' 개념, 즉 Kulturnation의 번역어이다. 동아시아에서의 독일 ’Nation' 개념의 수용에는 무엇보다 스위스 출신으로서 독일에서 활동한 국법학자 블룬츨리(Johann Caspar Bluntschli)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다. 그는 18세기 독일 계몽사상가들 이후 관행화되었던 영어 및 프랑스 어권의 정치적 'nation'과 독일어의 문화적 ‘Nation'의 엄격한 구별에 입각하여...

      • KCI등재
      • KCI등재

        개념과 역사적 실제

        나인호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8

        The conceptual history recently grows fashionable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Premising an interaction between the concept and the historical reality, this new discipline studies how these are intertwined. This paper discusses six theoretical axioms of conceptual history for analyzing such a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m as follows:1. A history is not possible without language, but the former can’t be reduced as the latter. 2. A concept should not be regarded as an idea but a linguistic construction. Therefor, the research object of conceptual history is not a history of concept itself but of how the concept was used.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and the historical reality is unstable. Thus, a concept is not the object of definition but of interpretation. 4. The concept is not only an indicator, but also a factor of reality. 5. Those who control the concept rule the reality. 6. The historical reality means a tense relationship between the ‘past present’ and the ‘present past’. 최근 국내학계에서 개념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개념사는 개념과 역사적 실제 사이의 상호영향을 전제한 채 이 둘이 서로 어떻게 얽혀있는가를 탐구한다. 이 글은 개념과 역사적 실제의 얽힘을 풀기위한 개념사의 이론적 공리 여섯 개를 상론한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언어 없이 역사는 불가능하지만 역사는 결코 언어로 환원될 수 없다. 2. 개념은 관념(이념)이 아니라 언어적 구성물이다. 따라서 개념의 역사가 아니라, 개념 사용의 역사가 중요하다. 3. 개념과 역사적 실제의 관계는 불안정하다. 따라서 개념은 정의의 대상이 아니라 해석의 대상이다. 4. 개념은 실제의 지표이자 동시에 그 요소이다. 5. 개념을 통제하는 자가 현실을 지배한다. 6. 역사적 실제란 ‘과거의 현재’와 ‘현재화된 과거’ 사이의 긴장관계이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