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서비스 실패상황에서 여행기업 종사원의 감성지능이 서비스회복노력에 미치는 영향 -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나용근 ( Yong Geun Na ),윤선미 ( Sun Mi Yun ),노수정 ( Soo Jung No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서비스실패 상황에서 서비스제공자인 여행사 종사원의 개인역량으로 감성지능과 서비스회복 능력의 영향력을 살펴보며, 인적자원의 비중과 활용도가 큰 여행사 기업에서 서비스제공자인 종사자의 개인역량과 관련된 감성지능과 서비스회복 노력 및 고객지향성의 변수가 고객에 대한 서비스회복에 있어 종사원의 노력 상황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에 관해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감성지능의 감성활용, 감성조절, 타인감성이해, 자기감성이해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고객지향성은 서비스회복노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셋째, 감성지능은 서비스회복노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결과를 해석해 보면, 감성지능과 서비스회복노력 간의 관계에 있어, 고객지향성은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성활용, 감성조절, 타인감성이해 및 자기감성이해 요인은 서비스회복노력에 긍정적인 영향력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나 감성지능과 서비스회복노력 사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직무 특성상 감정을 많이 필요로 하는 여행사의 직무에서 감성지능에 따라 종사원의 서비스회복노력에 차이가 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ployees travel agent emotional intelligence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rvice recovery efforts in travel agenc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09 employees in travel agency which were located in Seoul. And then it was analyzed by using a SPSS WIN 12.0 version of software package and used for the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 - regression. The emotional intelligence(use of emotion, regulation of emotion, other’s emotional appraisal, self-emotional appraisal) has been conceptually and empirically demonstrated to be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ravel agent. Furthermo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customer orientation and service recovery efforts. Also, customer orientation acted a part mediator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rvice recovery efforts. This result was showed that it were of great importance factors to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rvice recovery efforts. Therefore, it is deeply needed to study that the concep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rvice recovery efforts.

      • KCI등재

        패밀리레스토랑 종사원의 감성지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나용근(Yong Geun Na),배금광(Gum Kwang Bae),변광인(Gwang In Byun) 한국관광연구학회 2015 관광연구저널 Vol.2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ner psychological state of the employee and family restaurants. Moreover, by inducing the proper relationship constitutes a satisfactory financial performance, and to derive th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the interaction with the customer`s employee self-efficacy and family restaurant that occur in the process. Data were collected from Family Restaurant such as Ashley, Mad for garlic, Outback Steak house, VIPS which were located in Seoul. Out of 310 questionnaires distributed, 257 were finally analyzed for the test. SPSS 12.0 program was used for verifying research model.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was reveal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employees. Third, self-efficacy h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amily restaurant employees with higher self-efficacy are expected to have higher intimacy and unity, so that the enhanced commitment is contributive for task accomplishment. In conclusion, emotional intelligence is expected to enhance the general task accomplishment level in family restaurant .

      • KCI등재

        여행사 종사원의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개인 창의성의 매개효과

        나용근 ( Yong Geun Na ),변광인 ( Gwang In Byu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6 觀光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심리적자본, 개인 창의성 및 조직몰입의 관계를 파악하고,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개인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국내 10개 여행사의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으며, 319부를 회수하여 유효하지 않은 설문을 제외하고 289부를 중심으로 SPSS Win. Ver.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심리적자본은 개인 창의성와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인 창의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개인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개인 창의성은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부분매개하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여행사 종사원들의 심리적자본의 하부 요인들과 개인 창의성 및 조직몰입에 대해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각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함께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자본 강화 및 개인 창의성 발휘를 위해 여행사 조직 차원의 실무적 시사점을 얻었으며,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에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capital, individual creativ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verified the mediated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ity in this relationship using the SPSS WIN 12.0 version of software package.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off-line surveys of travel agency`s employees from 10 different travel agency. Among the 319 answers from voluntary participating employees, 289 answers were finally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dividual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Individual creativ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ndividual creativity had a meaningful influence by partially mediat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but completely mediated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focused on psychological capit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s on showing personal creativity and has importance in the point that it has sugges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dividual creativity to reinforce thi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positive way. Posi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suggests a theoretical meaning on providing a future direction for the study and practical meaning on providing ideas to reinforce the employees` psychological capital and personal creativity. The details of this study are followed in the main text.

      • KCI등재
      • KCI등재

        특급호텔 조리 종사원이 인지하는 상사의 무례함이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효과

        나용근(Na, Yong-Geun),김영중(Kim, Young-Joong) 한국외식경영학회 2021 외식경영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조리 종사원들이 인지하는 상사의 무례함이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341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 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상사의 무례함은 소진의 하위차원인 고갈과 냉소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고갈, 냉소주의 및 무효능감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개인-직무 적합성은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상사의 무례함으로 인해 조리종사원은 소진에 노출되어 이직의도가 증가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upervisors incivility on deluxe hotel culinary employees’ burnout and turnover inten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simultaneously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sample for the survey was collected from 341 culinary employees’ in deluxe hotel.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it was found that rudensee of supervisor inciv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rnout.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at burnou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연구논문 : 스키리조트 종사원들의 감성지능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나용근 ( Yong Geun Na ),최원호 ( Won Ho Choi ),노수정 ( Soo Jung No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4

        감성지능이 다양한 영역에 걸쳐 조직 및 종사원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는데,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몰입과 건강, 이직 성향, 창조성, 창의성, 효율성, 조직성과, 고객의 충성심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스키 리조트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창의성의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적자원의 비중과 활용도가 큰 스키리조트에서 종사원의 노출된 서비스 환경에서 감성지능을 어떻게 발휘하며, 종사원의 감성지능이 창의성과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더불어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감성지능의 감성활용, 감성조절, 타인감성이해, 자기감성이해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창의성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셋째, 감성지능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창의성의 매개효과 결과를 해석해 보면, 감성지능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 창의성은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성활용, 감성조절, 타인감성이해 및 자기감성이해 요인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나 감성지능과 직무성과 사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직무 특성상 감정을 많이 필요로 하는 스키리조트의 직무에서 감성지능에 따라 종사원의 직무성과에 차이가 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performance and creativity of ski resort employe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09 employees in ski resort which were located in gangwon-do and then it was analyzed by using a SPSS WIN 12.0 version of software package and used for the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The emotional intelligence(use of emotion, regulation of emotion, other’s emotional appraisal, self-emotional appraisal) has been conceptually and empirically demonstrated to be related to job performance in ski resort. Furthermo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ity and job performance. Also, Creativity acted as a part mediator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This result showed the great importance of the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the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Creativity is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employees`` duties and serve to convince the community that called Ski Resort members. This is because it affects the job performance of the ski resorts in the ski resort operating strategies can be a major factor.

      • KCI등재
      • KCI등재

        개인-직무 적합성이 직무만족도 및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안기복(Ahn, Gi-Bok),나용근(Na, Yong-Geun),김영중(Kim, Young-Joong) 한국외식경영학회 2021 외식경영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조리 종사원들의 개인-직무 적합성의 하위차원인 수요-능력 적합성과 욕구-공급 적합성이 직무만족도 및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추가적으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조절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238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수요-능력 적합성과 욕구-공급 적합성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무만족도는 경력몰입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조절 효과는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조리 종사원들의 수요-능력 적합성과 욕구-공급 적합성은 직무만족도를 높여 경력몰입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son-job fit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simultaneously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Develop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50 employees working in nine foodservice industry located at Daegu and Gyungju area. A total of 238 survey respon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12 insincere respondents.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it was found that demand-ability fit, needs-supplies f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commitment. These founding provide several practical suggestions for managing employees to foodservice industry manager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explained as wel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