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TC를 사용하는 이동위성통신을 위한 분산된 시공간 부호화 전송 방법

        김희욱,강군석,안도섭,Kim, Hui-Uk,Gang, Gun-Seok,An, Do-Seop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2007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 No.1

        A mobile satellite broadcasting service including an ancillary terrestrial component (ATC) takes advantage of the satellite's inherent capability to provide broadcast service over global coverage. We consider the downlink transmission concept using ATC with space=time code (STC) for the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We do not regard ATC as simply a repeater but consider it as an antenna for STC. First transmission scenarios for an application of STC are represented. Next, we apply STC in the mobile satellite system including ATC and compare the system performance in the proposed architecture of ATC to that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 simulation results a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ownlink transmission concept for the mobile satellite broadcasting service. ATC를 이용한 이동 위성 방송 서비스는 위성 통신의 고육 특징인 광역성에 따라 글로벌 커버리지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지에서도 끊김 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ATC를 사용하는 이동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위해 ATC에 시공간 부호를 적용한 하향링크 전송 개념을 제안한다. 여기서 ATC는 기존의 시스템에서와 같은 단순히 중계기가 아니라 시공간 블록 부호를 적용하기 위한 하나의 안테나로 고려된다. 먼저 시공간 부호를 적용하기 위한 전송 시나리오를 제안하고 다음으로 고려하는 전송 시나리오에서 시공간 블록 부호를 ATC에 적용하여 기존의 하향링크 전송방법과 모의 실험을 통해 성능 비교를 한다. 모의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하향링크 전송 방법에 비해 다이버시티 이득으로 인한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네트워크기반 무인기 제어용 통신 연구개발 동향

        김희욱,홍태철,김대호,임광재,안재영,Kim, H.W.,Hong, T.C.,Kim, D.H.,Lim, K.J.,Ahn, J.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7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2 No.4

        무인기의 기술 발전에 따른 운송, 통신중계, 교통감시, 산불감시 진화, 재해 재난대처 등 무인기의 민간 및 공공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무인기는 국가 공역으로의 운항이 요구되는데, 국가 공역으로의 안전한 진입을 위해서는 유인항공기 조종사에 의한 시각 감지 및 회피와 동일할 수준의 안전성을 제공하는 탐지 회피 능력과 함께 신뢰성 높은 무인기 제어용 통신링크 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외 기술 개발 및 표준화 동향을 바탕으로 국가 공역에서의 무인기의 안정적 진입을 위해 필요한 무인기 지상 제어용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2.1GHz 위성주파수 활용 기술동향

        김희욱,강군석,장대익,Kim, H.W.,Kang, K.S.,Chang, D.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9 No.3

        2.1GHz 위성주파수는 지상업무(고정 및 이동업무)와 함께 위성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용으로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파음영 해상 지역에서 불통 해소 및 재난재해 지역에서의 긴급통신을 위한 위성 휴대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의 무선 트래픽 급증에 따른 지상이동 통신망 주파수 부족의 대안으로 고려해 볼 수 있어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2.1GHz 위성주파수의 위성/지상 겸용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2.1GHz 위성주파수 특징 및 국내외 활용동향을 파악하고 2.1GHz 위성주파수의 위성/지상 겸용 활용을 위한 기술적 및 표준화 이슈를 살펴보고자 한다.

      • 드론 원격 식별 규정 및 표준화 동향 분석

        김희욱,강군석,김대호,Kim, H.W.,Kang, K.S.,Kim, D.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6 No.6

        Drone remote identification (ID) capability is essential to ensure public safety, help law enforcement, and secur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national airspace. Remote ID technology can be used to differentiate compliant drones from illegal drones that pose a potential security risk by providing airspace awareness to the civil aviation agency and law enforcement entities. In addition, the increased safety and efficiency obtained by mandating remote ID will make it possible to operate drones over populated areas and beyond visual lines of sight. In addition, remote ID will allow drones to be safely integrated into unmanned traffic management systems and the national airspace. Remote ID devices can be categorized by type, i.e., broadcast remote ID or network remote ID. The broadcast remote ID, which has high technical maturity and will be applied in the near future, is primarily considered to ensure the security of drones. The network remote ID, which is being developed and tested and will be applied in the distant future, can be used additionally to ensure the safety and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airspac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rends on regulation and standardization activities for drone remote ID primarily in the United State and Europe.

      • 무인기 제어 전용 통신 기술 표준화 동향

        김희욱,강군석,이병선,Kim, H.W.,Kang, K.S.,Lee, B.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3 No.3

        Considering the increased demand for unmanned aircraft systems (UASs) in various commercial and public sectors,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a UAS into a national airspace program for manned aircraft operations. For the safe operation of a UAS in a national airspace program, in addition to the detection and avoidance capability at a similar level of "see and avoid" by pilots of manned aircraft, a highly reliable control and non-payload communication (CNPC) link is needed for unmanned aircraft vehicle (UAV) control at a similar level as aircraft control by manned aircraft pilot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on the UAS CNPC network technology for the safe integration of UAS into a national airspace program.

      • KCI등재

        가상현실 기반의 무기체계 군수지원성 설계 검증 방안 : 사례연구

        김희욱,이학표,이승용,강성욱,허길환,Kim, Heewook,Lee, Hakpyo,Lee, Seungyong,Kang, Sungoug,Heo, Gilhwan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6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9 No.1

        State-of-the-art design S/W and other 3D systems are used for design and development of weapon system. It is possible to detect problems of design through 3D or VR(Virtual Reality) in advance, and then reduce the development cost by finding solutions before prototype production. Therefore, we can increase efficiency for supportability of weapon system. In this study, we first propose a design verification procedure. Then we verify design of weapon system, underwater guided weapon, as a case study. Finally, we suggest alternatives for underwater guided weapon under development with DMS(Digital Maintenance System) and ICIDO from the point of view of ILS(Integrated Logistics Support). Developed S/W, DMS, draws maintenance procedures for components. Commercial S/W, ICIDO, verifies cable maintainability.

      • 개인 휴대형 이동위성통신/방송 서비스 개발 현황 및 전망

        김희욱,강군석,안도섭,Kim, Hui-Uk,Gang, Gun-Seok,An, Do-Seop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3 No.3

        개인 휴대형 이동위성통신/방송 기술은 2GHz대의 L 대역이나 S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소형의 휴대형 단말기를 통하여 양방향의 통신 및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우선 현재까지의 개인 휴대형 이동위성통신/방송 기술의 발전에 대해서 살펴본 후,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국내에서 연구가 진행중인 IMT-Advanced 위성접속기술에 대한 소개로 향후 개인 휴대형 이동위성통신/방송 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해 전망해 보고자 한다.

      • 무인기 제어용 무선통신 기술 및 표준화 동향

        김희욱,강군석,장대익,안재영,Kim, H.W.,Kang, K.S.,Chang, D.I.,Ahn, J.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5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0 No.3

        무인기의 기술 발전에 따른 운송, 통신중계, 교통감시, 산불감시 진화, 재해 재난대처 등 무인기의 민간 및 공공 수요 확대로, 무인기는 국가 공역으로의 운항이 요구되고 있으며 국가 공역으로의 안전한 진입을 위해서는 유인항공기 조종사에 의한 시각 감지 및 회피와 동일한 수준의 안전성을 제공하는 탐지회피 능력과 함께 신뢰성 높은 무인기 제어용 통신링크 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무인기 제어용 통신링크에서 요구되는 기술적 특징 및 국내외 기술/표준화 동향을 파악하고 고신뢰성 무인기 제어용 통신링크 확보를 위한 기술적 및 표준화 이슈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