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발성 동시성 조기위암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회진 ( Hoi Jin Kim ),이준행 ( Jun Haeng Lee ),이준상 ( June Sang Lee ),문태건 ( Tae Gun Moon ),재준 ( Jae J. Kim ),이종철 ( Jong Chul Rhee ),노재형 ( Jae Hyung Noh ),손태성 ( Tae Sung Sohn ),성 ( Sung Kim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4

        Background: With the progress of limited surgery and endoscopic treatment for early gastric cancer (EGC), multiple synchronous EGCs, a cause of recurrence, become more impor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synchronous EGCs with an emphasis on features of preoperatively undiagnosed lesion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496 patients who underwent a gastrectomy for EGC at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4. Results: Twenty-four patients (4.8%) had multiple synchronous EGCs with 24 main and 27 accessory lesions. Multiple synchronous EGCs showed male predominance (p=0.03). Other characteristics including lymph node metastasis were the same as with single EGC. Out of 27 accessory lesions, six lesions (22%) were not detected preoperatively in six patients (25%). Macroscopically five lesions were flat and one lesion was depressed. Five lesions were located at the anterior or posterior wall of the middle and low third portion and one lesion was located at the lesser curvature side of the upper third portion of the stomach. Two lesions were 4 mm, one lesion was 8 mm, two lesions were 12 mm and one lesion was 15 mm in size (mean diameter = 9.1 mm). Histologically, four lesions were of the differentiated type and two lesions were of the undifferentiated type. Conclusions: Multiple synchronous EGCs have sam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s a single EGC except for male predominance.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a synchronous lesion, one should examine the entire stomach precisely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anterior, posterior wall and lesser curvature side of the same or neighboring area of a known EGC lesion before treatment. (Korean J Med 72:360-367, 2007)

      • 제2분과 : 식물상 및 식생관리 ; 중왕산 천연활엽수림에서 고로쇠나무 종자낙하량 및 종자활력의 연년변이 연구

        김회진 ( Hoi Jin Kim ),갑태 ( Gab Ta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고로쇠나무의 결실량 연년 변이 및 결실에 영향하는 기상요인을 파악하고자,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의 천연활엽수림에서 종자트랩을 설치하여 낙하종자량을 2009년부터 2014 까지 조사하였다. 연도별 낙하종자량과 몇 기상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2009년부터 2014년까지의 종자 낙하량은 각각 55,700, 4,060, 60,900, 45,670, 403,450 ea/ha였으며, 2014년에는 310ea/ha로 평년에 비하여 매우 적은 양이었다. 2013년은 고로쇠나무 종자풍년(masting year)이었다고 판단된다. 종자활력 간 종자립수는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가장 많은 낙하종자는 피해 또는 부후된 종자이며 평균 47.88%였고, 다음으로 쭉정이 종자, 미발육 종자, 건전종자 순으로 낮아졌다. 건전종자는 6.7~31.0% 범위, 평균은 16.74%로 가장 낮았다. 종자풍년인 2013년에 건전종자는 평년(320~17,840립/ha)보다 월등히 많은 125,070립/ha이 숲바닥에 떨어졌다. 한편 피해 또는 부후종자의 비율이 38%로 가장 낮았으나, 종자립수는 153,310립/ha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종자풍년에 천연갱신을 위한 충분한 종자가 공급됨을 암시하고, seedpredator satiation hypothesis를 지지한다고 사료된다. 활엽수종의 종자생산에 대한 장기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도시 포장 면 종류에 따른 열 현상 및 살수로 인한 열저감 효과 분석

        김회진(Kim,Hoi-Jin),배설빔(Bae,Seol-Bim),장유진(Jang Eu-gene)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21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2

        The thermal environment in the city is gradually increasing with climate change and the risk is also increasing. Various technologies are required to prevent or respond to summer heat wav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mmer heat phenomenon by type of major pavement in the city, and analyzed the effect of feeling according to the type of pavement after watering and the appropriate time for optimal and effective watering. would like to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base data for designing to respond to heat waves during urban planning through thermal analysis by type of pavement in the city.

      • Microsatellite 표지자를 이용한 고로쇠나무 10개 집단의 유전변이

        김회진 ( Hoi Jin Kim ),정지희 ( Ji Hee Jeong ),조아르나 ( Aruna Jo ),용율 ( Yong Yul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고로쇠나무는 유망조림수종 중 하나로 조림을 위한 종자는 대부분 채종임분에서 생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종자공급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3개 채종임분을 포함한 고로쇠나무 10개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8개 microsatellite 표지를 이용하여 확인된 유전자좌당 평균 대립유전자수(Na)는 8.2개 였다. 고로쇠나무의 이형접합도 기대치(He)는 평균 0.684로 관찰치 0.628에 비해 다소높은 수준이었다. 집단간 분화 정도를 나타내는 FST 값은 0.084로 전체 유전변이의 약 8.4%가 집단분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도와 유전다양성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이형접합도는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지만 대립유전자 다양성은 유의한 상관을 보여(R=0.813, p=0.002), 북쪽에서 남으로 올수록 다양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고정계수(F)는 집단에 따라 -0.027에서 0.155 범위의 값을 보였으며 평균은 0.082로 이형접합체가 기대치에 비해 약 8.2% 부족하여 전체적으로 근친교배의 영향을 다소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채종임분 3개 집단의 고정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아(F, 0.095~0.155) 근친교배의 영향이 큰 편이었다. 반면, 유전다양성(He, 0.712~0.736)은 다른 임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조사된 고로쇠나무 채종임분 3개 집단은 유전다양성은 풍부한 편이었지만 근친교배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전적으로 우수한 종자 생산을 위해서는 적절한 유전간벌 등 구체적인 채종임분 관리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Most of the seeds for forestation of A. pictum subsp. mono, one of promising forestation species, have produced from designated seed production stands. In this study,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10 populations of A. pictum subsp. mono including 3 seed stands were analyz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seed sources. Averag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was 8.2 based on 8 microsatellite loci. Observed(Ho) and expected heterozygosity(He) were 0.628 and 0.684, respectively. The FST value was 0.084, which means 8.4% of total genetic variation is due to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10 populations. Allele divers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atitude (R=0.813, p=0.002) that means population in northern part of Korea have more genetic diversity than those of southern area. However,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y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atitude. The fixation index were ranged from -0.027 to 0.155 with an average of 0.082. Especially, three seed stands of the populations detected relatively high level of inbreeding(F, 0.095~0.155). However the genetic diversities(He, 0.712~0.736) in 3 seed stand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other populations. In conclusion, three seed stands of A. pictum subsp. mono have relatively abundant genetic diversity but have more influenced by inbreeding. Therefore it needs to prepare a specific management strategy for the seed stands to prevent genetic erosion in seeds produced.

      • KCI등재

        중왕산 천연활엽수림에서 고로쇠나무 낙하종자량 및 종자활력의 연년변이 연구

        김회진 ( Hoi Jin Kim ),갑태 ( Gab Ta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4

        To examine the interannual variation of seedfall and seed viability rates of Acer pictum subsp. mono (APSM), we investigated the annual seedfall and seed viability of APSM in the natural broadleaved forest in Mt. Jungwang, Gangwon-do, from 2009 to 2014. The amounts of annual seedfalls from 2009 to 2014 were revealed to be 5,700, 4,060, 60,900, 403,450 and 310 ea/ha respectively. 2013 is presumed to be the masting year since large amounts of seedfall were revealed,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years in the study period. Also, the amount of seed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eed viabilities. Most fallen seeds were damaged or decayed, accounting for 47.88% of the total, followed by empty seeds, undeveloped seeds and sound seeds in that order. The percentage of sound seeds ranged from 6.7 to 31.0%, which marks the lowest average with 16.74%. In the masting year, 2013, a significantly larger number of sound seeds fell at 125,070 ea/ha, on the forest floor than in the other years (320~17,840 ea/ha). Meanwhile, the ratio of damaged or decayed seeds was the lowest at 38%, although the number of those seeds was the largest, 153,310 ea/ha, for the same year.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surplus seeds are supplied for natural regeneration in the masting year, supporting the seed predator satiation hypothesis. More long-term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seed production of broadleaved trees.

      • 임상 굵기가 고로쇠나무의 천연갱신에 도움이 되는가?

        김회진 ( Hoi Jin Kim ),갑태 ( Gab Ta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천연림을 구성하는 어떤 수종집단의 갱신은 대부분 종자비(seed rain)로 낙하된 종자 또는 매토종자가 발아하여 치수, 성목으로 자라면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는 발아에 적합한 입지조건이 필요하며, 발아묘를 가해하는 동물, 다른식물들의 방해, 열악한 환경조건에서의 생존능력 등이 관련된다(Kimmins, 1997). 한편 Grubb(1977)은 천연갱신에는개화, 수분 및 결실을 포함한 활력 있는 종자생산, 발아,정착, 성장 등의 단계가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천연림의 생태적 영속성이 유지되려면 가장 먼저 충분한 종자,건전종자가 환경공간에 공급되는 일이 이루어져야 한다. 종자생산의 연년변이와 이에 대한 원인과 생태학적 변화에 대한 이해가 숲의 갱신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건전종자의 생산은 어떤 종의 천연림 생태계에서 지속적인 생존에 가장기본적인 요건이며, Masaki et al. (2007)은 치수발생 밀도는 낙하종자 밀도로 설명됨을 보고하였다. Wesolowski etal. (2015)은 보호지역 천연림에서 우점하는 5종의 종자생산 연년변이가 현저함을 보고했으며, 종자생산의 습성은 수종마다 다르며 나름대로 생존을 위한 여러 가지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졌다. 북반구 수목의 종자생산 연년변이는 진화의 전략이며, 내생적 종자 생산주기(결실주기)는 관찰되지 않았고, 종자생산의 연년변이는 실무율의 법칙(all ornone law)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정규분포함을 보고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수액을 음료용으로 이용하고 목재도 특수용도로 활용되며, 조림수종으로 조림수요가 있는 고로쇠나무의 천연갱신에 임상긁기(Figure 1)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종자풍년(masting year)인 21013년 가을, 양구군 해안면의고로쇠 채종림에서 소형방형구(2×2m)를 4곳에 설치하고 종자낙하량, 치수발생량, 치수의 생육상태를 2015년 가을까지 조사하였다. 발아묘가 발생한 이후 주기적으로 경쟁식생을 제거하는 작업과 발아묘의 생육상태 및 개체수를 확인하였다(Figure 2, 3). 현재까지의 주요 결과는 고로쇠나무의 발아묘의 형태적특성, 발아묘의 피해양상, 시기별 발아묘의 개체수 등에 대한 주요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2013년 종자풍년 이후에 2014년 봄에 다량의 발아묘가 발생하고 발아묘는 경쟁과 잎벌레류의 피해로 개체수가 점차 줄어드는 변화를 보였다. 고로쇠나무림 내에서 생육 중인 치수들이 드문드문 분포하는 것을 고려하면, 다수의 발아묘가 생존하는 것은 부정기적이나 종자풍년 이듬해 발생하는 다량의 발아묘가 피해발생에도 불구하고 다수 생존하여 천연갱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라 사료된다. 앞으로 일정기간 추가적인 조사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강원도 중왕산 당단풍나무의 개화, 결실, 종자 낙하량 및 종자활력

        김회진 ( Hoi Jin Kim ),갑태 ( Gab Tae Kim ) 한국임학회 201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5 No.1

        천연활엽수림의 천연갱신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당단풍나무의 개화·결실, 종자낙하, 종자활력을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하였다. 당단풍나무 꽃은 산방화서에 양성화와 웅성화가 달렸으며, 화서 내에서 성형태간 개화시기가 달랐다. 양성화가 먼저 개화하는 개체에서는 암술이 수분되어 자라기 시작한 꽃에서는 수술은 더 이상 성숙하지 않고 소실되었으며, 웅성화가 먼저 개화하는 수술이 발달한 꽃에는 암술은 흔적으로만 존재하였다. 다른 개체에서의 화분이 꿀벌, 애꽃벌류 및 꽃등에류에 의하여 수분이 이루어지는 이형자웅이숙(heterodichogamy)의 성 형태로 자가수분을 회피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었다. 종자 낙하량은 310~234,840 ea/ha의 범위로 평균은 70,780 ea/ha이었다. 종자생산에 있어 연년변동이 심하며, 최대치가 최소치의 760배 가량이었다. 당단풍나무의 연년종자생산은 정규분포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성숙한 종자 중에서 피해 또는 부후종자가 59.3%로 가장 많았고, 건전종자가 23.9%, 미발육 종자 9.2%, 쭉정이종자 7.6% 등으로 나타났다. 건전종자 생산량을 좌우하는 요인은 개화기인 5월 중,하순에 화분매개충의 활동과 어린 자방이 자라는 시기에 흡즙성 해충의 밀도와 활동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사료된다. 당단풍나무의 천연갱신은 종자풍년 이듬해에 발아와 생장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갭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낙엽활엽수의 천연갱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개화결실 특성과 비산 전후 종자 피식 문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To examine the natural regeneration in the natural mixed-broadleaved forest, flowering, fruiting, seed-fall, and seed viabilities of Acer pseudosieboldianum (Ap) were investigated in Mt. Jungwang, Gangwon-do, from 2009 to 2015. The flower of Ap consisted many male and bisexual flowers on the corymb. Flowering dates are differed between sex morph in the same inflorescence. Stamens are stop growing and disappeared after pollinated pistil begin to grow in bisexual flowers, and male flowers have vestial pistil. The flowers of Ap might be pollinated by Apis mellifera, Andrenidae spp. and Syrphinae spp. Ap had some mechanism to prevent from self pollination with heterodichogamy. Mean annual seedfall of Ap was 70,780 ea/ha (ranged 310~234,840 ea/ha). Annual seedfall of Ap varied severely, and the maximum was about 760 times the minimum. Annual seed production of Ap might be to a normal distribution. Rates of damaged or decayed seeds are highest 59.3%, and those of sound seeds are 23.9%, Those of undeveloped and empty seeds are 9.2% and 7.6%, respectively.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sound seed production might be the density and activities of insect pollinators and sucking pest in the flowerwing period, middle-late May. Successful regeneration of Ap might be in masting year and on the gap sites with proper conditions to germinate and grow. To understand the natural regeneration of deciduous hardwoods, further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fruiting, pre- and post-dispersal seed predation, and annual variation on these factor should be needed.

      • KCI등재

        중왕산 몇 활엽수 종자의 야생동물에 의한 2차 분산

        갑태 ( Gab Tae Kim ),김회진 ( Hoi Ji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1

        야생동물에 의한 활엽수 종자의 2차 분산율과 관련 야생동물을 확인하고자, 온대중부의 천연활엽수 혼효림이 분포하는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9월 하순에 4수종의 종자를 배열한 seed-tray를 설치하여 10월 하순까지 야생동물에 의한 2차 분산율과 야생동물을 3년간 조사하였다. 신갈나무 종자가 평균 87.2%의 2차 분산율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당단풍나무 종자 33.1%였으며, 고로쇠나무 종자 29.2%, 복장나무 종자는 13.6%로 2차 분산율이 가장 낮았다. 2차 분산도 신갈나무가 단풍나무류 세 수종보다 빠르게 진행되었다. 2차 분산에 관여하는 야생동물은 다람쥐(Siberianchipmunks)가 가장 빈번하게 방문하였고, 다음은 청설모(Korean squirrel), 멧돼지(Wild boar) 순이었으며, 드물게 방문한 종은 담비(Yellow-throated marten)였다. 신갈나무 종자는 대부분 멧돼지가 직접 소비하였거나, 다람쥐나 청설모 등이 물어가 소비하거나 분산저장한 것이라 추정된다. 대부분의 단풍나무류 종자는 직접 설치류들에 의해 소비되고 일부만 분산저장되는 것이라 추정된다. 야생동물의 포식과 분산저장으로 늦가을에 숲 바닥에 남아있는 건전종자는 거의 없었다. 연구 대상지에서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당단풍나무와 복장나무의 치수발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숲에 서식하는 멧돼지는 종자 포식자이며, 설치류는 종자 포식자 또는 분산자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야생동물에 의한 종자의 2차 분산율, 소비와 분산저장량 및 관련 야생동물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o examine the proportion of secondary seed dispersion by wildlife and to identify the related wildlife, Wemeasured seed removal rates and related wildlife at the natural mixed broadleaved forest in mountain Jungwang,Pyeungchang-gun in middle part of Korean peninsula, seed-tray contained four kind of tree seeds were setted from mid-september to late-October for three years. Mean seed removal rates(MSRR) of acorn(Q. mongolica)is shown the highest values 87.2%, next MSRR of samara(A. pseudosieboldianum) does 33.1%, MSRR of samara(A. pictum subsp. mono) does 29.2%. and then SRR of samara(A. mandshuricum) does only 13.6%. Acorns are removed more faster than samaras. Among the related wildlife, Siberian chipmunks most frequently visit seed tray, and ordered Korean squirrel, Wild boar, and Yellow-throated marten. Most secondary dispersed acorns might be consumed by Wild boar, and small portions does comsumed or scatter-hoarded by rodents. Most secondary dispersed samaras might be consumed by rodents, and small portions does scatter-hoarded by rodents. A few sound seeds are remained on the forest floor in late October owing to the seed consunption and seed hoarding by wildlife. We observe seedling establishment of four broadleaved tree species. From these results, We proved Wild boar is seed comsummer, and rodents are seed consummer and seed disperser. Further studies on secondary seed dispersion, seed consumption and hoarding and related wildlife should be needed.

      • KCI등재

        우리나라 꿀풀과와 산형과 식물의 화기 구조와 방화 곤충

        갑태 ( Gab Tae Kim ),류동표 ( Dong Pyo Lyu ),김회진 ( Hoi Ji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1

        우리나라에 생육하는 꿀풀과와 산형과 식물들의 화기구조와 화분매개충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고자, 2010년 4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꽃을 찾는 곤충들을 조사였으며 꽃들의 화기구조를 관찰하였다. 꿀풀과 식물을 찾는 벌목 곤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21, 나비목 곤충들이 16의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꽃무지과를 비롯한 딱정벌레목과 꽃등에를 비롯한 파리목 곤충들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은 1로 매우 낮았다. 산형과 식물을 찾는 파리목 곤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27, 벌목 곤충들이 24, 꽃무지를 비롯한 딱정벌레목 곤충들이 21, 그리고 나비목 곤충들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은 13으로 나타났다. 식물종에 따른 화분매개충의 방화빈도 등급 합은 산형과의 기름나물이 2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구릿대가 13으로 높았으며, 꽃이 작은 편인 꿀풀과의 꽃층층이꽃, 석잠풀, 오리방풀이 등이 방화빈도 등급 합이 2로 가장 낮았다. 곤충 분류군별 방화빈도에서는 벌목 곤충이 57, 파리목 곤충이 46으로 높았으며, 나비목과 딱정벌레목 곤충은 23으로 낮은 편이었다. 참당귀는 방화곤충이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배초향 15종, 꿀풀 13종, 기름나물 13종, 구릿대 11종의 순으로 낮아졌다. 꽃층층이꽃과 오리방풀에서는 각각 좀뒤영벌과 어리황뒤영벌 1종만이 방화하였다. 딱정벌레목과 파리목 곤충들은 꿀풀과 식물의 꽃 보다 산형과 식물의 꽃에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파리목과 나비목 곤충들은 자주색에 비하여 백색의 꽃에 상대적으로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이 연구로 국화과 식물의 화기구조와 화분 매개 곤충 간의 상리공생적 상호관계를 어느 정도 파악하였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revealing the co-relationships between insect-pollinators and the plant species of Labiatae and Umbelliferae, insects visiting in flower and the flowers in Korea, were studied from April 2010 to August 2012. The sum of flower visiting degrees in Labiatae are shown 21 in Hymenoptera, 16 in Lepidoptera, and the lowest 1 in Diptera and Coleoptera, respectively. The sum of flower visiting degrees in Umbelliferae are shown 27 in Diptera, 24 in Hymenoptera, 21 in Coleoptera, and 13 in Lepidoptera, respectively. 17 pollinator species visited the flower of Angelica gigas, next 15 pollinator species did the flower of Agastache rugosa, 13 pollinator species did the flower of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13 pollinator species foraged on the flower of Peucedanum terebinthaceum. and then 11 pollinator species on the flower of Angelica dahurica. Only 1 pollinator species visited the flower of Clinopodium chinense var. grandiflora and Isodon excisus. Pollinators of Coleoptera and Diptera visit more frequently to the flowers of Umbelliferae than those of Labiatae. Pollinators of Lepidoptera and Diptera visit more frequently white flower than purple one. This study found out that mutualistic relations between plants and insect pollinator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